[전체] “어윤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유길준
- 윤치호
- 참의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선무사
연구성과물(182)
사전(119)
- 어윤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⑥ 재결감세(災結減稅), ⑦ 도량형의 통일, ⑧ 지방수령의 5년 이상의 임기 보장, ⑨ 조운선제도(漕運船制度) 개혁, ⑩ 역로제도 개혁 등이다. 고종은 이 개혁안을 경청해 어윤중과 오랫동안 논의했으나, 개혁안은 결국 채택되지 못하였다. 그 뒤 갑오경장 때는 자신...이칭별칭 성집(聖執)| 일재(一齋)| 충숙(忠肅)
- 어윤중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1848년 경기도 광주에서 어약우(魚若愚)의 3대 독자로 태어났고 충청도 보은에서 성장하였다. 본관은 함종(咸從)이다. 자는 성집(聖執), 호는 일재(一齋), 시호는 충숙(忠肅)이었다. 그의 함종 어씨 가문은 18세기 이래 실학자 계열의 집안이었다. 어윤중은 1868...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어윤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청나라 주재 중에 본국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청나라 대신 이홍장에게 내란을 평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 임오군란 후 민비에 의해내각의 일원이 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어윤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민왕후[명성황후]가 정권을 다시 잡으면서 축출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어윤중(魚允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515 인물 어윤중(魚允中) 어윤중 魚允中 1848 1896 조선 말기의 문신 및 정치가.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집(聖執), 호는 일재(一齋). 충청도 보은(報恩) 출신. 1868년 지방 유생 50명을 뽑아...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60)
- 與朝鮮魚允中議妥中朝通商章程入奏 議論中朝通商章程派員督辦商務及設關收稅各事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1882년 10월 11일 북양대신서리 이홍장이 총서에 보낸 공문이다. 조선 어윤중과 중한통상장정의 의논, 상주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2.10.11.
- 魚允中面呈通商章程質疑四條及筆談問答所商變通會寧義州市易與部議相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1882년 11월 7일 북양대신 이홍장이 총서에 보낸 공문이다. 어윤중이 공함으로 제출한 통상장정 4개 조항, 호조 발급, 변민 무역, 홍삼 세칙, 병선‧상선 정기 왕래 사항을 전달하고 있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2.11.07.
- 派東邊道陳本植與朝鮮陪臣魚允中會勘邊界並於中江地防設立關卞以爲互市之地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1883년 2월 26일 군기처가 총서에 보낸 공문이다. 동변도 진본식을 파견, 조선배신 어윤중과 변계를 감안하게 하고, 중강지방에 관변을 설립, 호시 지역으로 삼도록 지시하고 있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3.02.26.
- 종정연표(從政年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183 B077183 동래 東萊 정치행정 高宗實錄 十八年(1878) 十二月 고종실록_11812014_001 ○十四日。 召見東萊府暗行御史魚允中。 復命也。【本年正月中, 秘命趙準永、朴定陽、嚴世永、姜文馨、趙秉稷、閔種默、李永、沈相學、洪英植、魚允中等, 前往日本視察, 而名稱...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어윤중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물을 청해서 마시고 난 뒤에 어사이야기가 생각난다고 하더니 긴 이야기라면"<page id="74"/>서 시작했다.*조사일시1984-05-04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 제보자박연복
- 어윤중이 죽음에 이른 어사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림지 주변의 어씨와 관련한 이야기를 묻자, 어윤중과 관련해서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09. 07. 22(수) | 조사장소제보자(이종환)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날기실11 | 제보자이종환
기타자료(1)
- 17.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일 미상 미상 미상 M.A.포젤, 봉피스, 이토, 이홍장, 주복, 마젠충, 조영하, 김홍집, 어윤중 한일 병합 1910년 10월 11일 각서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국 병합이 기정사실이 된 만큼, 한국을 그런 결과로 이끈 정치적 사건들은...집필자미상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10월 12일 | 발신자미상 | 수신자미상
주제어사전(7)
-
어윤중 / 魚允中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정치가(1848∼1896). 일본 조사시찰단. 청국 문의관. 동래암행어사로 일본신사유람단에 참가했고, 문의관으로 조미수호조규에 합의하고, 서북경략사로 청나라측과 중강무역장정·회령통상장정을 협정하였다. 이후 병조·호조참판을 지냈고, 갑오경장 내각 때 탁지부
-
계하자문책 / 啓下咨文冊 [역사/근대사]
1881년부터 1882년까지 청나라에 보낸 자문을 모아 통리기무아문에서 편찬한 관찬서.자문록. 2책. 필사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서 편찬하였다.제1책은 1881년의 것으로 김윤식(金允植)·어윤중(魚允中) 등 영선사(領選使) 일행의 청나라에서의 활약상과 60여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정치·법제/외교]
1882년 8월 23일(음력) 조선과 청 사이에 체결된 수륙통상조약. 1882년 8월 천진에 도착한 어윤중은 이홍장, 마건충 등을 만났다. 조선과 청과의 통상조약 협상때에도 마건충은 청 정부 대표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은 전문과 8개조의 본문으
-
선무사 / 宣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난의 수습을 위해 파견되었다. 그 두드러진 예로는 1862년(철종 13) 임술민란 때 조구하·이삼현 등을 삼남지방에 파견한 일과 1893년(고종 30) 동학교도의 보은집회 때 어윤중을 양호선무사로 파견한 일을 들 수 있다.
-
유길준 / 兪吉濬 [역사/근대사]
1856∼1914.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가·정치가. 1881년 어윤중의 수행원으로 신사유람단에 참가, 우리나라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 됐다. 《한성순보》 발간의 실무를 맡으나 민씨 세력의 견제로 여의치 않자 주사직을 사임한다. 갑신정변 이후 주모자와 친분관계로 가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