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윤중” 에 대한 검색결과 1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2)

사전(1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⑥ 재결감세(災結減稅), ⑦ 도량형의 통일, ⑧ 지방수령의 5년 이상의 임기 보장, ⑨ 조운선제도(漕運船制度) 개혁, ⑩ 역로제도 개혁 등이다. 고종은 이 개혁안을 경청해 과 오랫동안 논의했으나, 개혁안은 결국 채택되지 못하였다. 그 뒤 갑오경장 때는 자신...
    이칭별칭 성집(聖執)| 일재(一齋)| 충숙(忠肅)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848년 경기도 광주에서 어약우(魚若愚)의 3대 독자로 태어났고 충청도 보은에서 성장하였다. 본관은 함종(咸從)이다. 자는 성집(聖執), 호는 일재(一齋), 시호는 충숙(忠肅)이었다. 그의 함종 어씨 가문은 18세기 이래 실학자 계열의 집안이었다. 은 1868...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청나라 주재 중에 본국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청나라 대신 이홍장에게 내란을 평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 임오군란 후 민비에 의해내각의 일원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민왕후[명성황후]가 정권을 다시 잡으면서 축출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515 인물 () 1848 1896 조선 말기의 문신 및 정치가.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집(聖執), 호는 일재(一齋). 충청도 보은(報恩) 출신. 1868년 지방 유생 50명을 뽑아...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60)

구술자료(2)

  • 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을 청해서 마시고 난 뒤에 어사이야기가 생각난다고 하더니 긴 이야기라면"<page id="74"/>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5-04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 제보자박연복
  • 이 죽음에 이른 어사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림지 주변의 어씨와 관련한 이야기를 묻자, 어윤중과 관련해서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07. 22(수) | 조사장소제보자(이종환) 자택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날기실11 | 제보자이종환

기타자료(1)

  • 17.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12일 미상 미상 미상 M.A.포젤, 봉피스, 이토, 이홍장, 주복, 마젠충, 조영하, 김홍집, 한일 병합 1910년 10월 11일 각서 한국 병합의 국제적 결과 한국 병합이 기정사실이 된 만큼, 한국을 그런 결과로 이끈 정치적 사건들은...
    집필자미상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10월 12일 | 발신자미상 | 수신자미상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정치가(1848∼1896). 일본 조사시찰단. 청국 문의관. 동래암행어사로 일본신사유람단에 참가했고, 문의관으로 조미수호조규에 합의하고, 서북경략사로 청나라측과 중강무역장정·회령통상장정을 협정하였다. 이후 병조·호조참판을 지냈고, 갑오경장 내각 때 탁지부

  • 계하자문책 / 啓下咨文冊 [역사/근대사]

    1881년부터 1882년까지 청나라에 보낸 자문을 모아 통리기무아문에서 편찬한 관찬서.자문록. 2책. 필사본.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에서 편찬하였다.제1책은 1881년의 것으로 김윤식(金允植)·() 등 영선사(領選使) 일행의 청나라에서의 활약상과 60여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정치·법제/외교]

    1882년 8월 23일(음력) 조선과 청 사이에 체결된 수륙통상조약. 1882년 8월 천진에 도착한 은 이홍장, 마건충 등을 만났다. 조선과 청과의 통상조약 협상때에도 마건충은 청 정부 대표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은 전문과 8개조의 본문으

  • 선무사 / 宣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난의 수습을 위해 파견되었다. 그 두드러진 예로는 1862년(철종 13) 임술민란 때 조구하·이삼현 등을 삼남지방에 파견한 일과 1893년(고종 30) 동학교도의 보은집회 때 을 양호선무사로 파견한 일을 들 수 있다.

  • 유길준 / 兪吉濬 [역사/근대사]

    1856∼1914.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가·정치가. 1881년 의 수행원으로 신사유람단에 참가, 우리나라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 됐다. 《한성순보》 발간의 실무를 맡으나 민씨 세력의 견제로 여의치 않자 주사직을 사임한다. 갑신정변 이후 주모자와 친분관계로 가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