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유봉”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2(현종 13)∼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순서(舜瑞), 호는 기원(杞園). 세공(世恭)의 9대 손이고, 수운판관(水運判官) 한명(漢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기도관찰사 진익(震...
    이칭별칭 순서(舜瑞)| 기원(杞園)
  • 어유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8(숙종 4)∼1752(영조 2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지원(志遠). 집현전직제학 변갑(變甲)의 후손이고, 수운판관(水運判官) 한명(漢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기도관찰사 진익(震翼)이고, 아...
    이칭별칭 지원(志遠)
  • 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권상하 문하의 이간과 한원진(韓元震) 사이에서 시작되었다. 권상하가 한원진의 설에 찬동하자 이것이 점차 확대되어 전국의 석학들의 관심거리가 되었다. 이간의 설을 지지하는 이재(李縡)‧박필주(朴弼周)‧() 등의 낙하(洛下: 서울) 학자들...
    이칭별칭 공거(公擧)| 외암(巍巖), 추월헌(秋月軒)| 문정(文正)
  • 성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임금이 이미 발포한 명령. 得因筵白 姑寢成命 稍以爲幸, (), 22-24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안앙지통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스승을 잃은 아픔. 遂菴先生之喪 忽已三年 安仰之痛 吾黨同然, (), 22-24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3)

  • 18330 B018330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5年 8月 16日_003 ○下直, 衿川縣監, 瓮津縣令趙之重, 陽智縣監李祥麟, 文義縣監睦林, 鳳山郡守崔世珪, 巨濟縣令趙相殷, 淸江萬戶朴景瑞, 淸城僉使崔萬厦, 景陽察訪金啓明, 寅化堡萬戶劉啓漢,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和爲校理, 趙尙命爲正言, 爲戶曹參議, 林象靖爲白川郡守, 安錞爲臨陂縣令, 李潤身爲軍威縣監, 高處亮爲鎭海縣監, 李炫爲司饔主簿, 李潝爲東萊府使, 李日蹲爲義州府尹, 洪好人爲北兵使, 金潝爲平安兵使, 副護軍金有慶·金鎭商·沈錥·李濰·具樹勳·權興駿·朴來章·姜碩厚, 副司直洪鉉輔·...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曰, 臣亦於筵中, 以此事仰達, 而聖敎每以一二携貳之論, 歸於偏論。 然臣則以爲, 人之所見, 各自不同而然矣。 上曰, 左相終是不激之人, 而右相·趙載浩, 能如左相之不激乎? 至輝事, 左相嘗自以在位旣久, 不能請討引罪者, 其言亦公矣。 景夏曰, 左相此言, 亦豈不嚴於討逆乎? 上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포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니 구차하게 의견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는 내용이다. 答魚舜瑞 (12) (1672∼1744)에게 보낸 답서. 이 虛靈과 知覺을 마음의 體와 用을 나타낸 것으로 보면 문제될 게 없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朱子와 張南軒 등의 견해를 인용하며 知覺 역시 未發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주역대전 : 兌卦_효사-초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사특한 데로 휩쓸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상은 ‘화합함’이 되고 그 점은 ‘길함’이 된다. 韓國大全 【() (, 1672~1744):저자의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순서(舜瑞), 호는 기원(杞園)이다.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농암(農巖...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세공의 9대손, 한명 증손, 할아버지는 진익, 아버지는 사형, 어머니는 유거 딸이다. 경종의 장인 유구 형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집의, 사복시정, 호조참의, 승지, 세자시강원찬선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논어상설 / 論語詳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 『논어』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이 책은 본래 김창협(金昌協)이 편찬을 계획하여 목록과 편찬체제를 만들고, 문인 김시우(金時佑)와 함께 편찬을 시작했는데, 불과 수 편을 정리하고는 김창협이 세상을 떠나자

  •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

  • 농암선생사단칠정변 / 農巖先生四端七精辨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의 사단칠정에 관한 견해와 제자였던 의 『농암선생어록』을 동시에 수록한 유학서. 조선 성리학을 정초시킨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의를 절충한 김창협의 견해 및 그의 학문이나 출처, 유가경전의 주요 구절에 대한 해석 등을 폭넓게

  • 농연선생어록 / 農淵先生語錄 [종교·철학/유학]

    자였던 과 일상에서 주고받은 대화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77개 항목으로 정리되어 있다. 김창협은 다독보다는 회의를 통한 정밀한 사유가 독서의 요점임을 제시하면서 일상의 실천적 행위를 강조한다. 또한 유가경전의 주요구절에 대한 친절한 주석을 덧붙이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