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울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어울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 사람 이상의 주검을 한데 묻는 무덤. [개설] ‘합장묘(合葬墓)’라고도 한다. 홑무덤[單葬]에 대응하는 말이다. 희생(犧牲)으로서 순장자(殉葬者)를 넣은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어 선사시대‧역사시대에도 그 예가 많이...이칭별칭합장묘(合葬墓)
- 은율운성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덩이 속에 나무덧널을 설치한 것이다. 덧널은 부장품을 넣기 위한 딸린 덧널〔副槨〕과 나무널을 넣기 위한 덧널로 구분되어 있고 홑무덤 또는 어울무덤〔合葬墓〕으로 되어 있다. 대형 나무덧널무덤은 보통의 나무덧널무덤보다 규모가 크고 덧널에 널이 2개씩인 합장묘이다.
- 대안태성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된 덮개돌은 지면에 놓여 있다. 돌널무덤은 화강암의 판석을 사용해 장방형으로 만들었다. 널무덤에는 봉토가 있는 것과 없는 것, 홑무덤과 어울무덤 등이 있다. 제10호묘는 남녀 두 시체가 각각 다른 구덩이에 매장된 특이한 형식이다. 널무덤의 종류는 구덩이에...
- 배리삼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검받침을 만들었다. 따라서 이 고분은 두 사람의 시신이 동서방향으로 봉안된 어울무덤[合葬墓]이라 할 수 있다. 널방과 널길의 모든 벽면과 천장 그리고 주검받침의 측면에는 석회를 두껍게 발랐다. 이 고분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북벽과 동서 양벽의 일부에 연속해 마...이칭별칭경주삼릉|삼릉|경주배리삼릉 | 연계항목배리삼릉(拜里三陵)
- 울릉도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렸고 입구부분은 돌과 흙으로 막혀 있었다. 널에 넣은 시체는 머리를 입구쪽으로 하여 돌방의 서쪽 깊숙이 안치되었다. 뒤쪽에 있는 또 하나의 널은 머리를 서쪽으로 하여 집어넣은 어울무덤〔合葬墓〕 혹은 추가장묘(追加葬墓)였다. 부장품은 도장무늬〔印花文〕의 긴목병,...
주제어사전(1)
-
어울무덤 / 合葬墓 [역사/선사시대사]
두 사람 이상의 주검을 한데 묻는 무덤. 합장의 종류에는 같은 시기에 죽은 사람들을 편의상 함께 매장하는 경우, 죽은 시기가 다른 이들을 애당초 계획을 세워 순차적으로 묻는 추가장(追加葬)의 성격을 띤 경우(이 경우는 보통 부부 또는 가족의 경우가 많으며, 좁은 의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