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우야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83)
- 귀석의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조 명종 때 서울에 살던 배우 귀석(貴石)이 행한 놀이. [내용]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소개돼 있다. 명종이 대비전을 위해 베푼 잔치에서 귀석은 사초 네 가닥을 묶은 것을 쥐고 동헌에 앉아 자칭 수령이...
- 어우야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어우야담≫의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에도 줄곧 필사본으로 전하여 왔는데, 필사의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초사본(抄寫本)이 나타났다. 1964년 그의 종후손 제한(濟漢)이 가전의 잔존본에 여러 이본을 수집, 보충하고...
- 어우야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의 문신인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지은 설화집.정의조선시대의 문신인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지은 설화집.[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Eou yadam | MR표기Ŏu yad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유몽인(柳夢寅)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구성 및 형식] 작자의 설화집인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 있다. [내용]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남원에 살고 있는 정생(鄭生)이라는 사람이 같은 마을에 사는 처녀
- 진주의암사적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후 진주민들의 입으로 전해지다가 1620년(광해군 12)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당시 진주지역 사민들은 진주성이 함락된 날에 남강변에 제단을 마련하여 논개의 혼을 달래는 한편, 논개의 의로운 사적...연계항목진주의암사적비(晉州義巖事蹟碑)
고서·고문서(4)
- 어우야담(於于野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어우야담(於于野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어우야담(於于野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家乘遺事 【亦名〈繩繩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量,雖韓ㆍ富莫及也。柳夢寅《於于野譚》,亦載是說。 忠靖公,德宇宏廓,律身淸約,平居未嘗有疾言遽色,而人物臧否,未或形諸言。前後建節藩司,至於八九,而未嘗一坐於花紋之席,列郡爲具素簟黲席以供張,其好儉如此。逮觀察平壤,將受上官之饌,見房牖四角,先陳熬盆,公詢之,曰:“府故多蠅,陳粥令蠅集,乃進饌也。...권차명文集 卷十七 | 문체傳記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3)
- 〈어우야담〉에 관한 비판적 정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44126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02 〈어우야담〉에 관한 비판적 정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於于野談} 소재 〈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 설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혜정, 게재일 : 201141810 김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1 {於于野談} 소재 〈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 설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1
- 韓?中 ‘幻’ 敍事의 時空間的 敍述美學 -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선경, 게재일 : 201036334 정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회 2010 韓?中 ‘幻’ 敍事의 時空間的 敍述美學 -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유형논문 | 게재일2010
연구과제(1)
-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환국 | 동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7)
-
어우야담 / 於于野譚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유몽인이 편찬한 설화집. 5권 1책. 활판본. 권1은 인륜편, 효열·충의·덕의·은둔·혼인·처첩·기상·붕우·노비·배우·창기, 권2는 종교편, 선도·승려·서교·무격·몽·영혼·귀신·속기·풍수·천명, 권3은 학예편, 문예·식감·의식·교양·음악·사어·서화·의약·기
-
홍도 / 紅桃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몽인(柳夢寅)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의 설화집인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홍도라는 주인공의 신의와 전쟁으로 인한 한 가정의 수난을 중국과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그리고 있다. 임진왜란을 시대배경으로 하면서 남녀간의 애정을
-
제호시화 / 霽湖詩話 [문학/한문학]
우야담 於于野譚』에도 합철되어 있다. 『제호집』의 시화는 45항목이며 목활자본이다. 『시화총림』과 『어우야담』에는 각각 23항목과 17항목만 실려 있으며 필사본이다. 『제호집』의 시화는 앞머리에 시론에 관한 글을 실어 시어(詩語)에 대한 것, 압운(押韻)과 성률(聲律)
-
풍암집화 / 楓巖輯話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유광익이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자료를 연차순으로 수록한 야담집. 『어우야담』·『국당배어』·『부계기문』·『기재잡기』·『태평한화』·『용재총화』·『공사견문록』·『청파극담』·『동각잡기』·『추강냉화』·『석담일기』·『필원잡기』 등 총 45종에 달하는 문헌으로
-
계압만록 / 鷄鴨漫錄 [문학/구비문학]
듯이 대부분 전대의 기록에서 보고 베낀 것이다. 즉, 「허생전(許生傳)」·「야서혼(野鼠婚)」·「손순지매(孫順之埋)」·「이완(李浣)이 도적을 만난 일」 등 이미 널리 알려진 이야기들을 『어우야담(於于野譚)』·『천예록(天倪錄)』·『동패낙송(東稗洛誦)』·『계서야담(溪西野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