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영청” 에 대한 검색결과 7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7)

사전(3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 2359명으로 향군의 약 4배에 달하였다. 하번 가운데의 군사들은 지역별로 무예에 능한 수령을 겸파총(兼把摠)으로 임명해 그 훈련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지휘부에는 정상적인 지휘계통 이외에 군무를 관장하는 낭청(郎廳 : 종사관) 2명, 군사훈련 담당관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중앙에 설치된 오군영(五軍營) 중 왕을 호위하던 군영.
    정의조선 후기 중앙에 설치된 오군영(五軍營) 중 왕을 호위하던 군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Eoyeongcheong | MR표기Ŏyŏng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남소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의 분영(分營). [내용] 서울 남부 명철방(明哲坊 : 현재 중구 장충동)의 남소문 옆에 있었다. 청사는 모두 194칸이었다. 여기에는 초관(哨官) 1인과 지방군 12인이 입직하였는데, 후에 9인으로...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영군문(五營軍門) 어영사(御營使), 이귀(李貴), 삼군문(三軍門), 북벌(北伐)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인조~고종 윤훈표 인조 고종 [정의]...
    상위어오영군문(五營軍門) | 관련어어영사(御營使), 이귀(李貴), 삼군문(三軍門), 북벌(北伐)
  • 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서 수행한 각종 업무를 일기체로 기록한 책. [서지적 사항] 불분권 133책. 필사본. 서체는 해서로부터 초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조대에서 고종대까지 지속된 의 등록으로서 일지의 형식을 취했으므로 원사료적 성격...

고서·고문서(367)

  • 둔전 (일성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둔전에 관한 사항에 대해 일성록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작성자와 생산년도는 미상이며 순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자료는 모두 88매이다.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7154 B00715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3年 10月 5日_016 ○啓曰, 本廳所管, 通津文殊山城女墻修築及江都甲串水門改造之役, 今已完畢之意, 敢啓。 傳曰, 知道。 以上出謄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87 B00648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8年 11月 23日_009 ○大臣·備局堂上引見入侍時, 江都城門樓丹靑僧人四名, 依禁衛營論賞例, 空名帖成給事。 以上謄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476 B00847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3年 10月 5日_016 ○啓曰, 本廳所管, 通津文殊山城女墻修築及江都甲串水門改造之役, 今已完畢之意, 敢啓。 傳曰, 知道。 以上出謄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203 B035203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5月 26日_015 ○讀申目, 南海縣本廳納米船致敗, 拯米待秋改色捧納事。 達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9)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중앙에 설치된 오군영 중 왕을 호위하던 군영. 1623년의 인조반정으로 국내 정세가 어수선하고 국제적으로 후금과의 관계가 위급해진 가운데 설치. 어영군은 당시 수도 방어의 책임을 맡고 있던 훈련도감과 더불어 중앙군의 핵심이 되었다. 그러나 재정의 어려움으로

  • 별후부천총 / 別後部千摠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3품으로 무관직이다. 은 1영 5부제로 이 5부를 좌·우·중·전·후로 나누고 이의 책임지휘무관을 천총이라 하였다. 그러나 1680년(숙종 6)에 영종진을 에 소속시켜 그곳 만호가 의 파총(把摠)을 겸하게 하

  • 권무청 / 勸武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양반자제들에게 무술을 장려하기 위하여 훈련도감과 에 설치한 특수 병종. 인조 때 지위와 문벌이 좋은 양반의 자제들을 뽑아 권무청이라 이름하고 군사훈련을 시킨 적이 있었고, 효종 때는 훈련도감과 에서 양반자제들을 선발하여 훈련시키고, 성적이 우수

  • 동영 / 東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의 한 분영. 의 본영은 서울 남소문 동쪽에 있었는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신영(新營)·남소영(南小營)·동영·집춘영(集春營) 등을 설치하였다. 공해(公廨)의 하나는 선인문(宣仁門) 밑에, 다른 하나는 경희궁 개양문(開陽門) 밑에 있었다.

  • 파총 / 把摠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군영·관리영·총리영 등에 두었던 서반 관직. 오군영 및 수원의 총리영, 개성의 관리영, 강화도의 진무영 등에 두었다. 훈련도감·금위영·에는 각각 5인, 총융청에는 3인, 수어청에는 2인의 파총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 금위영과 에는 각 지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