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업권” 에 대한 검색결과 1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정한 수역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로, 우리 나라 <수산업법>상의 은 행정관청의 면허에 의하여 일정한 수면에서 배타적으로 일정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함. [내용] 우리 나라에서 제도가 창설된 것은 1909년이다....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8138 아항 公海에關은 공해에 관한 은 石鎭衡 平時國際公法 미상 1907추정 146 한) : 신중진, 개화기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국어학회, 2007...
    출전平時國際公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농축산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하겸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 병인양요 때에는 순무사중군(巡撫使中軍) 이용희(李容熙)의 종사관이 되어 난리를 수습하였고, 1870년 신도진절제사 재임시에는 중국의 어선이 경계를 침범하여 어로하는 것을 나포하여 주민의 을 보호하였다. 또한, 강계도호부사 겸 청북병마우방어사로 있을 때...
    이칭별칭 우석(禹碩)| 사헌(思軒)
  • 어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있었던 한국인 어민들에 대해서 주도권을 장악하고 우리 나라의 연안어업을 완전히 지배하였다. 법제상으로도 일제식민지통치의 <어업령>(1911)과 <조선어업령>(1929)을 제정하여 우리 연안 어촌민의 을 제한함으로써 연안어촌과 어업의 발전을 더욱 제약하였...
  • 어촌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촌계는 어업면허의 우선권을 갖게 되었고 비법인 어촌계도 을 취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촌계는 의 주체가 되었다. 1977년부터 한 때 자연마을 단위의 어촌계를 통합하여 법인어촌계로 개편하는 작업이 추진되었으나, 1979년에 이르러 이러한 개편작업은 중단되었다...

고서·고문서(9)

  • 한국에서 일본 의 확대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한국에서 일본 의 확대 바이페르트 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1900. 9. 21 1900. 11. 2 서울 베를린 No...
    대표표제어한국에서 일본 어업권의 확대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한국에서 일본 의 확장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한국에서 일본 의 확장 바이페르트 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1900. 10. 13 1900. 11. 26 서울 베를린 ...
    대표표제어한국에서 일본 어업권의 확장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호엔로에-실링퓌어스트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日露戦役ノ際帝国軍隊ニ魚類供給ノ為メ韓国沿海ヘ本邦漁民出漁一件(忠清、黄海、平安、三道獲得ノ件)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러일전쟁에 참전하는 일본 군대에 공급할 어류 확보를 위해 충청 황해 평안 3도 연안의 어업권을 획득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하야시 공사와 고무라 외무대신 등이 주고 받은 문서
    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外務省外交史料館 | 발신일1904.3.14-6.29
  • 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十七巻・産業・商事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5062016101506_014 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十七巻・産業・商事 韓國忠清黄海平安三道沿岸ノニ関シ韓國政府ト協定ス 한국 충청・황해・평안 3도 연안의 에 관해 한국정부와 협정함 국립공문서관 類00978100 0...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서울의 국내외 정세에 관한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30801 보고 서울 정세 조용하나 갈수록 부패하고 정부세력 약화. 한국 내 일본의 영향력 날로 증대중. 이미 을 장악한 상태에서 조선 땅 1/3에 달하는 황무지 개간권 요구한 일로 조선 내 반발. 조선을 곡창으로 삼겠다는 일본공사 하야시의 발언. 미국공사...
    대표표제어서울의 국내외 정세에 관한 보고 | 발신자잘데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신문·잡지(20)

  • 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조선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조선일보 조선일보(朝鮮日報) 1931년 1월 17일 미기재 신석우(申錫雨) 경성(京城) 조선_1931년 1월 16일 차압 치안 한국어 굴, 1. 「영흥...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조선일보 | 출판물명조선일보(朝鮮日報) 1931년 1월 17일
  • 交涉無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년젼에 궁부 소관으로 화약졔죠소와 직죠소에 고용든 아국인 기이명이 긔계 슈로 귀국엿더니 일아젼이 되 졍부에셔 고 공식의 졀 치못엿다고 봉급지발을 쳥구고  함경 강원 경상 삼도 연안에 을 엇은일이잇고로 그갑 일만원을 쳥구...
    게재일1906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주한 미국대사의 한일회담 진행과정에 관한 보고와 논평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한 미국대사가 한일회담 진행과정에 관해서 보고하고 논평하는 글임. 재일 한인의 처우와 국적 처리 문제, 선박 반환 문제, 청구권과 설정 문제 등에 대해 보고하고 있음. 당시 주한 미국대사였던 무쵸는 재일 한인의 처우와 국적 처리 문제, 선박 반환 문제에 대해서는...
    대표표제어주한 미국대사의 한일회담 진행과정에 관한 보고와 논평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미 국무부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원출처: 한국전쟁 자료총서 62 | 키워드한일회담 진행과정, 주한 미국대사, 무쵸, 청구권 문제, 어업권 경계 설정
  • 일본 측의 부당한 요구로 한일회담 중단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을 제기하고 독도에 대한 강탈 야욕을 보임으로 인해 결국 한일회담이 중단되었음을 보도하고 있음. 일본은 분명 대일강화조약에서 한국에 대한 모든 권리와 청구권을 포기하기로 되어있음에도 대일강화조약을 말소해버리자고 궤변을 늘어놓고 있으며 재일교포의 영주권 문제나 문...
    대표표제어일본 측의 부당한 요구로 한일회담 중단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민주신보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한일회담 중단, 대일 강화조약 말소, 죽도, 재한 일본인재산, 어업권
  • 日淸條約槪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부설계고 신민둔셔 봉텬간텰도 쳥국셔사계고 장츈령에셔 길림간은 쳥국셔 부셜계 고 압록강에 각국이 유로 교통기로고 텰도슈비병은 아국이텰병면 일본도텰병고 연안 획득과 식념과 잡곡슈츌 금지치안거슨 일본이 쥬장계 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72)

  •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의 소유변동_5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 수산업 발전사 한국 수산업 발전사 (1) 조선시대부터 식민지기까지 이 현대의 수산업법의 형태로 이행되는 역사적 과정을 학습한다. (2) 근대적 제도
    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의 소유변동_5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 수산업 발전사 한국 수산업 발전사 (1) 조선시대부터 식민지기까지 이 현대의 수산업법의 형태로 이행되는 역사적 과정을 학습한다. (2) 근대적 제도
    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의 소유변동_5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 수산업 발전사 한국 수산업 발전사 (1) 조선시대부터 식민지기까지 이 현대의 수산업법의 형태로 이행되는 역사적 과정을 학습한다. (2) 근대적 제도
    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 근대적 어업법의 도입과 의 소유변동_5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 수산업 발전사 한국 수산업 발전사 (1) 조선시대부터 식민지기까지 이 현대의 수산업법의 형태로 이행되는 역사적 과정을 학습한다. (2) 근대적 제도
    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 조선 후기 수산업과 조세제도_1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 수산업 발전사 한국 수산업 발전사 (1) 조선시대부터 식민지기까지 이 현대의 수산업법의 형태로 이행되는 역사적 과정을 학습한다. (2) 근대적 제도
    강좌제목한국 수산업 발전사 | 강의자송경은 교수

연구과제(1)

  •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창현 | 목포대학교 | 2023 | 국내 | 전남

주제어사전(4)

  • / [경제·산업/산업]

    일정한 수역에서 어업을 할 수 있는 권리. 우리나라에서 제도가 창설된 것은 1909년이며, 그 뒤 몇 차례의 개정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존속되고 있다. 재산권으로서의 에는 이상과 같은 각종 제한이 가해지고 있는 것이다. 또, 은 존속기간도 한정되어

  • 제주도통어전연운동 / 濟州島通漁展延運動 [역사/근대사]

    개항 후 일제의 침해에 맞서 제주도 해역의 을 수호하기 위해 전개되었던 경제자주권 수호운동. 제주도의 주생업인 어업을 일본인 어로자의 침해로부터 수호해야 하는 입장에서, 조선 정부는 일본을 상대로 일본인 어부들의 제주도 통어(通漁 : 出漁)를 지연시키기

  • 한일의정서 / 韓日議定書 [역사/근대사]

    또한 대한제국은 5월 18일자 조칙으로 한국과 러시아 간에 체결되었던 일체의 조약과 협정을 폐기한다고 선언, 같은 해 6월 4일 ‘한일양국인민어로구역에 관한 조약’을 체결 충청, 황해, 평안 3도 연안의 을 일본인에게 넘겨주었다.

  • 흑하사변 / 黑河事變 [역사/근대사]

    공사 요시자와가 중국 북경에서 캄차카반도 연안의 에 관한 협정을 맺었는데, "소련 영토 안에서 일본에 대적하는 한국독립군을 육성하면 양국 간의 우호관계에 큰 지장을 초래 할 것"이라고 위협하여, 한국독립군의 무장을 해제시키겠다고 약속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해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