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숙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54)
- 어숙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 문인.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호는 야족당(也足堂), 예미(曳尾). 할아버지는 좌의정세겸(世謙)이며 아버지는 감찰(監察)맹렴(孟濂)이다. 평릉찰방(平陵察訪)숙정(叔貞)의 아우이다. 서얼 출신으로 중국어에 뛰...이칭별칭 야족당(也足堂)|예미(曳尾)
- 고사촬요(攷事撮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07 문헌 고사촬요(攷事撮要) 고사촬요 攷事撮要 1554년에 어숙권(魚叔權)이 조선 명종(明宗)의 명을 받아 편찬한 백과사전. 3권 3책. 조선시대의 외교정책인 사대교린(事大交隣)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사항들을 모아 상,중,하 3권...유형분류문헌
- 무세포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광대소학지희(廣大笑謔之戱)의 하나. [내용] 조선 중종 때의 학자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에 소개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청에서 무세포를 너무 심하게 거두어들였으므로, 매번 세금을 걷는
- 정평부사말안장사는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광대 소학지희(笑謔之戱)의 하나. [내용] 조선시대 광대 소학지희(笑謔之戱)의 하나. 조선 중종 때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 稗官雜記≫에 소개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종 때 정평부사 구세장(具世璋)은 탐욕스럽기...
- 著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J_0009 著書 경서·경학 二百年間, 傳世, 小說, 未刊行, 泯沒 我朝 徐居正, 李陸, 金時習, 南孝溫, 曹伸, 成俔, 金正國, 申光漢, 魚叔權, 李耔, 沈守慶, 權應仁, 李濟臣, 許篈, 李廷馨, 車天輅 筆苑雜記, 東人詩話, 靑坡劇...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0)
- 고사촬요(攷事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고사촬요(攷事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사촬요(攷事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사촬요(攷事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고사촬요(攷事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주제어사전(6)
-
어숙권 / 魚叔權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 문인. 할아버지는 세겸, 아버지는 맹렴이다. 숙정의 아우이다. 서얼 출신으로 중국어에 뛰어나 외교에 이바지했으며 시를 평론하는 데에 일가를 이루었다. 저서로 <고사촬요>, <패관잡기> 등이 있다.
-
고사촬요 / 攷事撮要 [종교·철학/유학]
1554년(명종 9) 어숙권이 편찬한 유서. 조선시대 사대교린을 비롯, 일상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일반 상식 따위를 뽑아 엮은 것이다. 어숙권의 원찬에서부터 1771년(영조 47) 서명응이 ≪고사신서≫로 대폭 개정, 증보하기까지 무려 12차에 걸쳐 간행되었다. 지역별
-
패관잡기 / 稗官雜記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에 어숙권이 지은 수필집. 6권. 권두에 주원장의 홍무 원년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선왕조의 건국과 함께 명나라에 내왕한 사절들과 요동·일본·대마도·유구 등지에 관련된 유사·풍속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였고, 당시의 사환·일사·시인·묵객들의 언행과 재인·기예·축첩·동
-
고사신서 / 攷事新書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서명응이 사대부와 관리 및 일반 선비들이 항상 기억해 두어야 할 사항을 기록하여 1771년에 편찬한 유서(類書). 15권 7책. 어숙권(魚叔權)의 『고사촬요 攷事撮要』를 대폭 개정, 증보한 것이다. 후기교서관인서체자본(後期校書館印書體字本)과 전사자
-
주의집람 / 奏議輯覽 [언어/언어/문자]
기록이 책에는 없으나,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 권2에 의하면, 이문(吏文)의 참고서로서 최세진(崔世珍)의 주관으로 『이문집람(吏文輯覽)』·『박고집람(駁稿輯覽)』·『주의택고집람(奏議擇稿輯覽)』과 함께 1541년(중종 36)에 편찬되었다고 한다. 한글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