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85)
사전(754)
- 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어형변화(語形變化)를 가지게 되는 단어에서 어간(語幹)을 제외하고 어말(語末) 위치에 오는 형태소(形態素, morpheme). [내용] 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
- 어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지학에서, 판심 아래위를 물고기의 꼬리 모양으로 장식한 것을 이르는 말.정의서지학에서, 판심 아래위를 물고기의 꼬리 모양으로 장식한 것을 이르는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eomi | MR표기ŏm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어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용언 및 서술격 조사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정의용언 및 서술격 조사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 | 문광부표기eomi | MR표기ŏm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외에는 이를 파기할 수 없다는 신앙적 관계, 즉 신어미ㆍ신딸의 혈연관계로 이것은 계약관계가 아니라 신적 관계를 기초로 형성된 영원한 관계이다. 다른 하나의 허구적 친자관계는 무녀와 신자와의 관계이다. 신자는 주로 어린이가 되는데 그 부모에 의해 무녀에게 ‘이름을...
- 간난어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금돌의 아내이다. 만득 모자가 하는 이야기를 몰래 엿듣고 바로 원식의 아내에게 달려가 만득의 이야기를 일러바친다. 금돌이를 사주하여 만득이를 죽이도록 하고, 원식의 아내에게 모든 내용을 말하며 비위 맞추기에 애쓴다. 금돌이가 만득의 피가 묻은 옷을 가져다주자 바로 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0)
- 거란대자(契丹大字) 동사 연결어미(動詞連結語尾)의 초보적 연구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이성규 | 게재정보 : 몽골학
- 거란대자(契丹大字) 동사 종결어미(動詞終結語尾)의 초보적 연구 [한국 고대사 관련 북방민족의 고유문자 표기자료 및 관련사료 연구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이성규 | 게재정보 : 몽골학
- 학습자 코퍼스를 이용한 한국어 연결어미 연구 [Urban Aspirations in Seoul: Religionand Megacities in Comparative Studies |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tudy of Religious and Ethnic Diversity]저자 : 진염평김용 | 게재정보 : 동방학술논단 1, 게재일 : 201403유형논문
- 한국어 학습자 선어말어미 “-었-”의 사용 양상 연구 [Urban Aspirations in Seoul: Religionand Megacities in Comparative Studies |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tudy of Religious and Ethnic Diversity]저자 : 주소염김용 | 게재정보 : 동방학술논단 1, 게재일 : 201403유형논문
- 한국어 고급교재의 련결어미 항목선정 및 제시방안 탐구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허봉자 | 게재정보 : 중국조선어문 3 , 게재일 : 201705유형논문
고서·고문서(1,950)
- 친어미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친어미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전현(桦甸县) 조선족소학 2 2 친어미, 어디있다는것, 알아야되지요, 한번, 만나라도,...대표표제어친어미 | 성씨이
- 口之於味目之於色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40 孟子要義 卷二 ITKC_MP_0597A_0340_040_0340 口之於味目之於色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어미 가슴(유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098 창가 신수안 노래모음집 Ⅰ‧Ⅱ 22148 어미 가슴(유희) 〈#28〉 어머니 가슴은 잠드는 가슴 얼굴만 묻으면 잠이 오지요 어머니 가슴은 꿈 나는 가슴 머리만 대면요 꿈이 오지요 어머니 가슴은 비단 솜 가슴 고단해 누우면 포근합니다구분창가
- 한국어 복합종결어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한국어 복합종결어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한국어 복합종결어미 허경행 許慶行 박문사 서울 2010 언어사전; 한국어;대표표제어한국어 복합종결어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외국인을 위한 활용어미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외국인을 위한 활용어미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외국인을 위한 활용어미사전 안배근 著 학예사 전주 2010 학습사전;...대표표제어외국인을 위한 활용어미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구술자료(56)
- 어미 타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분준 할머니가 노래를 부르라고 하자 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1982-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 제보자김순이
- 열녀천의 시어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 어미는 남이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이야기는 앞의 애기 장수와 비슷한 내용이었다. 즉 여자 때문에 큰 뜻을 이루지 못한다는 것이다. 청중들도 동감을 표시했다.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안강읍 | 제보자하봉연
- 외아들과 홀어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가 끝나니 ?싱겁시리한 이야기 하나 하까요?하면서 제보자가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제보자는 이야기 도중에 자주 웃었으며, 때로는 웃느라고 이야기가 잠깐 중단되기도 했다. *조사일시1980-02-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1동 | 제보자김놈이
- 홀어미 위해 놓은 다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도깨비담을 청하면서, 도깨비가 다리를 놓는다거나, 돈을 가져다 주는 등의 이야기를 간단히 예로 들었더니, 도깨비 이야기는 아니지만 오 형제가 과부 어미를 위해 다리 놓은 이야기가 있다면서 구연했다.*조사일시1983-08-08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동구 지묘동 | 제보자최부교
기초학문(97)
- 부사형 어미와 접속 어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현경, 게재일 : 200207408 유현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2 부사형 어미와 접속 어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d499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기심, 게재일 : 198511955 남기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다 1985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1985
- 결합형 어미의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석재, 게재일 : 201253267 최석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12 결합형 어미의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어 어미와 선어말어미의 형태론적 처리: 점화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희돈, 게재일 : 201152506 안희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언어과학회 2011 한국어 어미와 선어말어미의 형태론적 처리: 점화실험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1
- 終結語尾 ‘-立’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재영, 게재일 : 199606872 정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1996 終結語尾 ‘-立’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499유형논문 | 게재일1996
신문·잡지(155)
- 淸設學堂於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에 잇쳥인이 그슈를 알슈업 그들이 그곳에셔 녀를 장쟈 날노 증가 그 들은 어려셔 부터 미국학교에 입학야 영셔 통달나 한문에 소즉 장장셩후 본국에 소용이되지못다야 쳥국졍부에셔 한문학교를 미국에 건셜기로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2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츙쳥 북도 직산군 사 황산봉이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 북도 직산군 사 황산봉이가 판소에 호소 하기를 금년 봄에 어미와 갓치 상경 하엿다가 튜후에 고향에 단녀온즉 어미가 가야 상동 리모와 산다 하기로 차간즉 어미 말이 가 너를 아 고향으로 가고져 나 리가가 붓잡고 놋치 아니 고 네 의복과 네 부친...게재일1900년 1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金妾背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셔 긔젼골 등디에 김상집씨의 소실이 셰 녀아를두고 가야 그 아의 어미부르고우 모양은 참 가긍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비안군 아젼 박챵헌이가 부에 원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비안군 아젼 박챵헌이가 부에 원졍기를 본군문부를 마감로 본도관찰부에 하거즉 본부쥬 김익이가 셔긔 리만죠를 부동야 비안군에 무일이 잇다고 곳 착슈더니 날마다 형별며 뇌물을 밧치라 기에 돈삼쳔량 표를 써셔쥬고 돈을즉시쥬지 못엿더니 늙은어미를 군...게재일1900년 8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宜五一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강릉군거 리덕관이가 박문칠의쳐 리소와 결의남라고 잠통된지 오더니 그본부 쥭일계획으로 그계집과 계집의어미 리소와 모의고 그계집의 형의 셔방 조셩원의 집으로 모히기 인약고 본부 박가 유인야다가 간부 리가가 조셩원을식혀 본부 결박라즉 조가와 그계집...게재일1906년 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45)
-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19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20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21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22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용언 9주차. 내포절과 어미 23주차.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기타자료(18)
- (방언연구) 동사의 접속어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방언연구) 동사의 접속어미 (방언연구) 동사의 접속어미 (方言硏究) 動詞의 接續語尾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강옥 | 사료철명교육경남
- (특별기고) 이 지경으로 키운 어미가 죄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특별기고) 이 지경으로 키운 어미가 죄인 (특별기고) 이 지경으로 키운 어미가 죄인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소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교육논단) 한국어 종결어미의 통합범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한국어 종결어미의 통합범위 (교육논단) 한국어 종결어미의 통합범위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백광인 | 사료철명교육경남
- 왜가 백제의 승려 법장에게 한약을 달이게 하고 비단 등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下) 【원문】 (冬十月癸酉朔)庚辰 遣百濟僧法藏優婆塞益田直金鍾於美濃 令煎白朮 因以賜絁綿布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대표표제어왜가 백제의 승려 법장에게 한약을 달이게 하고 비단 등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5년(乙酉/신라 신문왕 5/唐 垂拱 1/倭 天武 14)
- 왜가 백제의 승려 법장에게 한약을 달이게 하고 비단 등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원문】 (冬十月癸酉朔)庚辰 遣百濟僧法藏優婆塞益田直金鍾於美濃 令煎白朮 因以賜絁綿布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대표표제어왜가 백제의 승려 법장에게 한약을 달이게 하고 비단 등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85년(乙酉/신라 신문왕 5/唐 睿宗 垂拱 1/倭 天武天皇 14)
주제어사전(82)
-
어미 / 語尾 [언어/언어/문자]
어형변화(語形變化)를 가지게 되는 단어에서 어간(語幹)을 제외하고 어말(語末) 위치에 오는 형태소(形態素, morpheme). 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용어미는 체언(곡용어간)에 붙고 활용어미
-
곡용어미 / 曲用語尾 [언어/언어/문자]
체언의 통사적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체언에 결합하여 곡용에 관여하는 문법 요소. 용언의 굴절을 활용이라 하고 체언의 굴절을 곡용이라 한다. 활용이 용언의 어간과 어미의 결합으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곡용 역시 체언이 어간이 되어 문법범주를 나타내
-
선어말어미 / 先語末語尾 [언어/언어/문자]
용언의 어간과 어말어미(語末語尾) 사이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의 총칭. 용언이 활용을 할 때, 용언의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를 어말어미(final ending)라고 하는 데 대하여, 그 출현위치로 보아 그보다는 선행하는 위치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를
-
약속문 / 約束文 [언어/언어/문자]
약속의 종결어미를 결합하여 화자가 약속 내용에 대한 수행 의지를 표현하는 문장. 약속문은 평서형 종결어미 중 약속을 의미하는 종결어미 ‘-ㅁ세, -ㄹ게, -마’ 등이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들 종결어미는 상대 높임법에 따라 ‘합쇼체’부터 ‘해라체’까지 다양하지만, 약
-
동명사 / 動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사·형용사, 즉 용언의 한 활용형. 알타이(Altai) 언어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서의 동명사는 부가어적(附加語的) 용법과 명사적 용법의 어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인데, 국어 문법에서는 전자를 관형사형 어미라고 하고 후자를 명사형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