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물전”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급증하고 거래 상품의 취급이 여러 모로 손쉬웠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난전(亂廛)이 성행, 어느 각전보다 빈번하게 난전 시비가 속출되기도 하였다. ≪각전기사 各廛記事≫ 난전조(亂廛條) 3권의 대부분이 난전 기사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은 어느 전보다 난전...
  • 이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시기에 어물 시장권을 둘러싼 내외물전의 투쟁 양상은 주목된다. 내은 외의 팽창을 반목하여 관권과 결부하여 외전의 폐지를 주장하는가 하면, 외전에 대한 상품도집을 억제함으로써 내전에 종속시키려 하였다. 또한 외전과 신흥 상인세력인 중도아‧도고 등이 이현‧칠...
  • 상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존속 수준에 미달하거나 초과할 때는 적정 수요를 유지하기 위한 상권의 확대와 분할이 이루어진다. 이 점은 뒤에서 조선 후기 서울 의 상권 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셋째, 교통‧수송의 조건이다. 이 조건은 상품의 수송은 물론 구매자의 접근을 좌우한다...
  • 수세보민계(收稅補民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요한 비용을 충당하자고 건의하였다. 국역(國役)을 담당하던 시전(市廛) 상인 가운데 하나인 내외(內外) 사람들이 어선이나 상선(商船)이 경강(京江)에 도착하여 거래를 하면 난전(亂廛) 행위라고 협박하며 염가로 생선을 구매하였기 때문이다[『영조실록』 5년 9월...
    상위어계(契)
  • 칠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칠패에서는 시전과 마찬가지로 미곡‧포목‧어물 등을 비롯한 각종의 물품이 매매되었는데, 그 중에서 ()이 가장 규모가 크고 활발하였다. 당시 서울의 시전상인(市廛商人)들이 판매하는 상품은 대개 지방의 생산자가 직접 서울로 와서 팔거나 또는 행상이 개입해 생산자...

고서·고문서(21)

  • 木廛·綿紬廛·紙廛·苧布廛·布廛·內·外·望門床廛·新床廛·東床廛·妙床廛·壽進床廛·九里床廛·綿子廛·鉢里廛·帽子廛·鞋廛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內·外市民等, 以爲渠廛諸般國役外, 大小宴禮所供支?所需, 瀋陽使禮單所封及各營門設粥甘藿等進排, 俱係莫重, 而至於文魚·全鰒·紅蛤·海蔘·廣魚·大口·海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국, 흑룡강성, 찌찌하르시, 형제, 생사, 경상북도, 대구시, 성주군, 기억, 아버님, 성함, 김씨, 어머님, 성씨, 백씨, 6남매, 딸3, 아들3, 맏이, 큰오빠, 씨름, 마을, 씨름대회, 송아지, 상금,
    대표표제어안녕 | 성씨
  • , 조선, 촌장, 가정, 도문, , 할아버지, 사망, 할머니, 자식들, 데리고, 신안진, 촌장, 조카, 회계, 어머니, 차씨, 외삼촌, 국제기자, 중국, 막내삼촌, 수고
    대표표제어력사 | 성씨
  • 해방전, 촌장질, 고모, 찾고, 외할머니, 표씨, 도문, , 아버지, 북지, 장사, 떠나고, 어머니, 세상뜨고, 할머니, 족하, 사망, 수고, 옥체건강, 축원, 딸, 오씨
    대표표제어아버지 | 성씨

구술자료(1)

  • 부모의 싸움을 멈추게 한 죽은 딸의 그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하는데, 그때 이야기에 등장하는 미녀도를 직접 보았던 기억까지도 제보자에게는 생생하게 남아 있다고 한다. 일본인 제보자 마츠자키 료코와 묘엔 이치로가 이야기판 청자로 참여하였다. 시모노세키에서 을 하는 부부에게 딸이 하나 있었다. 딸은 부모의 사이가 좋지 않아서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0)

  • 紫巖居金召史가前徐氏所生徐聖元이가有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紫巖居金召史가前徐氏所生徐聖元이가有대近間에來徃며爲業다기大幸히알엇더니一日은家券을暫給면得債循用고數朔後還元爲要故로許給矣러니不幾日에仍謀賣家지라問其委節則各處所負太多야報給云니抑屈無地야廣布오니勿論內外國人고此悖類에게切勿見欺시오 金召史 告白
    게재일1900년 9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依幕紛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가례시 관광로 의막에 분경이대단 작일에징상삼병뎡삼명이 의막쳬를 가지고죵로에가셔 긔왕붓첫든 영셔로 쓴의막쳬를고 붓치려즉 그쥬인이말기를 쇼위군인명으로 의막쳬붓치러단니것이 직무냐즉 그 병뎡쇼답이 상관의 지휘라지라 그사이 말기를 나라는 이갓...
    게재일1907년 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瘧疾及類似症神奇無雙 解 瘧 至 寳 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와 향슈와 비누와 각종신약을 타졈 보다 염가로 팔오니 다소간 애고시믈 복망복망 總製發售所 漢城中署 종로동의젼골 共 愛 堂 藥 房 告白 代理 製造所 漢城鐘路 內 慈惠약房 漢城特約店 漢城中署 壽進洞 博愛堂藥房 漢城西署新門外石橋上 普濟院약房 漢城南署 小廣橋洋屋...
    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瘧疾及類似症神奇無雙 解 瘧 至 寳 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와 향슈와 비누와 각종신약을 타졈 보다 염가로 팔오니 다소간 애고시믈 복망복망 漢城中署종로동의젼골 總製發售所 共 愛 堂 藥 房 代理 製造所 鐘路內 慈惠약房 漢城特約店 中署壽進洞 博愛堂藥房 西署新門外石橋上 普濟院약房 南署小廣橋洋屋 紙廛在家 西署大平洞 慈化院약...
    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瘧疾及類似症神奇無雙 解 瘧 至 寶 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와 향슈와 비누와 각종신약을 타졈 보다 염가로 팔오니 다소간 애고시믈 복망복망 漢城中署 종로동의젼골 總製發售所 共 愛 堂 藥 房 代理 製造所 鐘路內 慈惠약房 漢城特約店 中署壽進洞 博愛堂藥房 西署新門外石橋上 普濟院약房 南署小廣橋洋屋 紙廛在家 西署大平洞 慈化院...
    게재일1907년 6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육주비전 가운데 수산물을 취급하던 시전. 북어·관목(貫目 : 말린 청어)·꼴뚜기·민어·석어(石魚 : 조기)·통대구(通大口)·광어·문어·가오리·전복·해삼·가자미·곤포(昆布)·미역·김·파래·우뭇가사리 등 각종 수산물을 취급하던 상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