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문정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한글맞춤법통일안
- 국어
- 교과서
-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
연구성과물(21)
사전(13)
- 어문정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가가 국민이나 식민지인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언어의 사회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방법. [내용] 어문정책은 일반적으로 언어정책 또는 언어계획이라고 부르며 광의와 협의로 구분해볼 수 있다. 광의로는 언어의 선택적 목표‧...이칭별칭국어정책
- 국립국어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연구 활동을 관장하는 국가 기관. [개설] 국어 정책은 국민의 언어생활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정책 방향이 조심스럽게 설정이 되고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그런데 맞춤법, 한글...이칭별칭국어연구소|국립국어연구원
- 신순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회장, 1971년 대한상사협회 중재위원을 지냈다. 1977년 어문정책 시정촉진회장, 1984년 불교정법회장직을 지냈다. 논문으로 「자유심증의 법칙」이 있다. 『한국을 움직이는 사람들』(중앙일보사, 1995) 『6만의 파워 엘리트』(중앙일...
- 국한회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휘사연구와 사전학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준다. 「개화기(開化期)의 어문정책(語文政策)과 표기법문제(表記法問題)」(이병근, 『국어생활』4, 1986.3) 「최초(最初)의 국어사전(國語辭典) 국한...이칭별칭국한회화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맡고 있다. 현재 한국어문교육연구회는 학술연구기관으로서 학술 활동에 전념하고,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부분은 (사)한국어문회가 맡고 있다. 1998년 2월 총 151명의 국회의원 서명을 첨부하여 ‘어문정책 정상화와 한글전용법 폐기를 위한 청원’을 국회에 낸 바...
고서·고문서(1)
- 〈한국지명총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창립 이후 우리나라 어문정책 세우기와 강연,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전류를 편찬하였다. 대표적인 국어 사전으로는 1957년에 간행한 〈조선말큰사전〉(1957)을 비롯하여 〈중사전〉(1958), 〈소사전〉(1960)이 있다. 지명 사전으로 1966~...대표표제어〈한국지명총람〉 해제 | 편저자한글학회 | 권수20책( 18권 )
기초학문(6)
- 몬테네그로 언어상황과 어문정책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혁재, 게재일 : 200707202 권혁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7 몬테네그로 언어상황과 어문정책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한국 근대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철의, 게재일 : 200409301 송철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4 한국 근대초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정책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어문정책과 조선문예물 번역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2880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학회 2013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어문정책과 조선문예물 번역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대 계몽기의 어문정책 : 〈구한국관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재영, 게재일 : 200207886 허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2 근대 계몽기의 어문정책 : 〈구한국관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근대계몽기의 어문정책(1) : 『한성순보(주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재영, 게재일 : 200408358 허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민족 문화학회 2004 근대계몽기의 어문정책(1) : 『한성순보(주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04
기타자료(1)
- (어문정책자료) 맞춤법,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개정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어문정책자료) 맞춤법,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개정안 (어문정책자료) 맞춤법,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개정안 교육 문헌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교육과...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학술원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2)
-
어문정책 / 語文政策 [언어/언어/문자]
국가가 국민이나 식민지인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언어의 사회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방법. 어문정책은 일반적으로 언어정책 또는 언어계획이라고 부르며 광의와 협의로 구분해볼 수 있다. 광의로는 언어의 선택적 목표·방법·결과에 관한 해결에 집중된다. 협의로는 한
-
홍무정운역훈 권3~16 / 洪武正韻譯訓卷三~十六 [언어/언어/문자]
한자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편찬한 한글주음운서. 보물 제417호. 편찬목적은, 첫째 정확한 중국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둘째 속음의 현실성을 불가부지한 것으로 보고 이를 표시하였으며, 셋째 『홍무정운』을 중국표준음으로 정하고자 한 것이며, 넷째 세종의 어문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