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
사전(25)
- 어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겔(gel)을 형성한다. 이것이 어묵이다. 가열방법이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어묵은 일본에서 처음 만든 것으로 일본말로 가마보코(蒲鉾 포모)라 한다. 이것은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실정시대, 1336∼1573) 중기에 의식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御墨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0_D_0015 御墨 도구 기타 孟城 李仁老 破閑 D_03_04_16 대동운부군옥 3권 4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語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0_S_0015 語黙 인간 기타 言議, 兩非, 兩是, 亂邦, 樞機, 玉堂, 諸員, 聚話, 老吏, 絶倒, 爲人, 有變, 退縮, 無別 國初 三角山, 荊州 黃翼成喜, 司馬徽, 劉表 S_09_01_17 성호사설 9권 1장 17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대신어 : 오뎅, 어묵(オデン)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0608 오뎅, 어묵 아항 オデン 꼬치전골 꼬치전골 우리말 도로찾기 문교부 1948 6 2 5 음식출전우리말 도로찾기[문교부]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음식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오뎅, 어묵(오뎅)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0609 오뎅, 어묵 아항 오뎅 여긔는 오뎅하고 술일세 여기는 오뎅하고 술 뿐일세. 廉想涉 三代 朝鮮日報 2 朝鮮日報社 1931 1 2 2 음식출전朝鮮日報[朝鮮日報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음식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93)
- 人事門3_語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語默 凡言議, 兩非近乎訕, 兩是近乎諛. 如不得是非之正, 與其諛也, 寧訕. 然居亂邦, 應接事物, 樞機不密, 禍之招也, 故默之爲貴也. 玉堂有鶴, 豹直諸員聚話, 或謂尾黑, 或謂翅黑, 不能決. 卽問老吏, 吏對曰: “彼固是, 此亦不非.” 問: “何居?” 對曰: “鶴飛, 則翅黑...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4_墨久難洗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墨久難洗 墨在鉛板, 經年則難洗. 墨一也, 恐無久近之別, 久益不去, 以此知習俗之難變. 然一洗二洗, 期於墨盡, 可矣. 以其難而棄者, 卽知過不改者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萬物門2_朝鮮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朝鮮墨 吾東白硾紙、狼尾筆爲天下所寶. 至於墨, 專用油烟, 比松煤, 深黑不及, 而滋潤過之. 中國則大抵皆松也. 東坡云“兩合爲良”, 此未曾有試矣. 然韓子蒼詩云: “王卿贈我三韓紙, 色若截肪光照几, 錢侯繼贈朝鮮墨, 黑若點漆光浮水.” 東墨亦爲詩家所重, 如此. 雖謂以小兒眼睛爲度,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石榴圖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絲囊 零落宣和御墨香;猶喜樹頭霜露少, 南枝有子殿秋光。자료구분서화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與孫元老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三卷 與孫元老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3 與孫元老 元老侄孫秀才屢得書感慰十九郎墓表本是老人欲作今豈推辭向者猶作寶月志文況此文義當作但以日近憂畏愈深飲食語默百慮而後動想喻此意也若不死終當作耳近來須鬢雪白加瘦但健及啖啜如故爾相見無期惟當勉力進道起門戶爲親榮老人僵仆海外亦不恨也...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7)
- 빨치산 치하의 힘들었던 날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마 못먹어. 그 누린내 나는 그걸 인제 요 만-씩헌 푸대를 줘. 그렁게 쑥허고 섞어서 인자 쪄갖고. 그걸 인제 집어묵고 물 묵고. 그래 끼니를 챙기는기라. [조사자 : 끼니가.] 그러고 기양도 집어묵으면 또 달짝지근허니 또 먹을만 해. [조사자 : 우유가리가?] 우유가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 국군과 인민군 사이에서 살아남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난 다니신거잖아요?] 피난다닐때는 이북에서 좀 힘들었지. 업고 댕기니까 . 그 라고 또 피난 와가지고 인자 배급 주고 그때는 우유를 마이 이런 솥으로 하나 끓이가 깡통 같은거 가지고 가면 한모굼썩 안 주나? 그것도 배급에 얻어묵고 멀거이 끓이가 한모굼씩 주더라고. 피란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2년 4월 19일
- 해병대에 자원입대해 참전한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팔거이니냥을 그렇게 해서 게서 말 붙이고 영 처 년식구들이넹 저. 물부터 얻어묵어보랭 거기서 겨으믄 가까이서 얼굴이라두 볼수있다네 다. 그러지 마라잉. 댕겼다고 그래 휴가오고난게 그래저래 하난. 아 이게 저 동네 바로 위 동일주민이게. 우리 할망이. 아 그래 우리 형수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 지리산 빨치산 토벌대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가 잘 알고 있는데 정은조라고. 그래 우 리가 나온께 얼마나 기쁘던지 서로 부둥껴안고. 이리 했는데 그때부터 인자 우리가 마음을 놓고 그당시 묵고살기가 참 또 힘이 들고. 못 묵고 살았어. 어디를 얻어묵기가 힘이 들고. 그런께 뭐 지 서직원들이 그것인께 밥을 얼마든지조사지역경남 산청 | 조사일2013년 1월 20일
- 마지막 빨치산 정순덕과의 추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고 그래 생기야 되는데 뻣뻣한 그거를 마구 먹어도 배가 안 아프더란 다. 그래갖고 병원에 있어가 병원에 후송을 해갖고 그래가 제대해고 나왔어. [조사자 : 그런 것 치고는 그래도 오래 사셨다 다행히.] 옛날에는 공부도 뭐 암것도 엄섰는디 공 부도 몬하고 못 얻어묵고조사지역경남 산청 | 조사일2013년 1월 21일
신문·잡지(23)
- 大津久ム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津久ムラ(-) 인천 大津久ムラ - 新町 9 - - 어묵(蒲鉾),튀김(テンプラ) 제조판매 17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大津久ムラ(-)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어묵(蒲鉾),튀김(テンプ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三井所新(山口蒲鉾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三井所新(山口蒲鉾店) 인천 三井所新 山口蒲鉾店 內里 98 - - 어묵(蒲鉾),튀김(テンプラ) 제조판매 16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대표표제어三井所新(山口蒲鉾店)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어묵(蒲鉾),튀김(テンプ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高原源三郞(高原水産工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原源三郞(高原水産工場) 원산 高原源三郞 高原水産工場 仲町1 - - 어묵(蒲鉾)상 제조판매 159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高原源三郞(高原水産工場)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어묵(蒲鉾)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間留藏(間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間留藏(間商店) 원산 間留藏 間商店 幸町 - - 어묵(蒲鉾)상 제조판매 249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間留藏(間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어묵(蒲鉾)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吳長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吳長善(-) 원산 吳長善 - 海岸通6 - - 어묵(蒲鉾)상 제조판매 20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吳長善(-)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어묵(蒲鉾)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1)
-
어묵 / 魚─ [생활/식생활]
흰색의 물고기살을 으깨어 소량의 소금·설탕·녹말 등을 섞어 반죽한 것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 가열, 응고시킨 음식. 물고기살의 근원섬유(筋原纖維)인 단백질은 3% 정도의 소금을 첨가하여 가열하면 응고하여 센 탄력을 지닌 겔(gel)을 형성한다. 이것이 어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