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모장군” 에 대한 검색결과 1,6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30)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하관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 하계는 과의장군(果毅將軍)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무산계 하계의 과의장군은 1466년(세조 12) ()으로 개칭되어...
    이칭별칭과의장군
  • 황효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성현(成俔)의『용재총화』에 의하면, 악곡의 절주(節奏)에 뛰어났던 그는 세조의 사랑을 받아 ()에 이르렀다. 그리고 다른 전악들보다 음악이론에 밝았으므로 1486년『주례(周禮)』의 춘관(春官) 대사악(大司樂)에 관하여 임금에게 상소도 하...
  • 계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3품 하계(下階) 문‧무관의 품계. [내용]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堂下官) 최고위계로서 자궁(資窮)이라고도 한다. 동반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서반은 ()이 이에 해당한다. 이 위계까...
    이칭별칭자궁(資窮)
  • 당하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조의(朝議)를 행할 때 당상(堂上)의 교의 (交椅)에 앉을 수 없는 관원 또는 그 관계(官階). [내용] 동반(東班)은 정3품(正三品)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이하, 서반(西班)은 () 이하, 종친(宗親)은 창선대부...
  • 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外命婦)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

고서·고문서(1,578)

  • 7 第七統統首展力副尉兼司僕徐能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六南牧防 7 第七統統首展力副尉兼司僕徐能上 統第一戶 展力副尉兼司僕徐能上年伍拾貳癸酉本達城父嘉善大夫徐世龍祖原從一等功臣折衝將軍行釜山僉節制使仁忠曾祖 通政大夫工曹參議熙外祖正兵朴有元本慶州妻良女...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六南牧防
  • 1729년 () 행오위도총부경력(行五衛都摠府經歷) 임수창(任壽昌) 추증교지(追增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京畿道庄土文績_제19책 : 京城中部貞善坊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100. 崇德二年-丁丑-四月二十二日行忠武衛副司勇李茂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906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19책 : 京城中部貞善坊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19-101 100. 崇德二年-丁丑-四月二十二日行忠武衛副司勇李茂前明文 가옥매매문기 1 101-105 55.8x74cm 한지, 관인...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송병선용양위부사직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行龍驤衛副司直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송병선용양위부사직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行龍驤衛副司直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2)

  • 부산신항 배후철도 구간 문화재 지표조사 결과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0.김해 유하리지석묘군 21.김해 내덕 유물산포지 22.김해 용두산유적 23.김해 칠산유적군 24.김해 하공 유허비 25.김해 응달리 표본시굴대상지 26.김해 응달리유물산포지 27.부산 와용마을 적석군 28.부산 와용리 유물산포지 29.부산 범방동 삼층석탑(부...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철도청 | 발굴지역경상남도
  • 도미묘 180.진해 청천진지 181.진해 비 182.진해 박종손묘비 183.진해 이경팔비 184.진해 박영규묘비 185.진해 김재홍비 186.진해 이원배비 187.진해 유세휘비 188.진해 손상민비 189.진해 안골왜성 190.진해 새뜰 토기산포지 191.진해...
    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경상남도‧진해시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하관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 하계는 과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무산계 하계의 과의장군은 1466년(세조 12) 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그리고 정3품 당하관에 해당되는

  • 당하관 / 堂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조의를 행할 때 당상의 교의 에 앉을 수 없는 관원 또는 그 관계. 동반(東班)은 정3품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이하, 서반(西班)은 () 이하, 종친(宗親)은 창선대부(彰善大夫) 이하, 의빈(儀賓)은 정순대부(正順大夫) 이하의 품계를 가진 사

  • 숙인 / 淑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3품 당하 작호. 문무관 정3품의 당하관인 통훈대부(通訓大夫)·()의 적처(嫡妻)와 종3품의 중직대부(中直大夫)·중훈대부(中訓大夫)·건공장군(建功將軍)·보공장군(保功將軍)의 적처에게 내린 작호이다.

  • 계궁 / 階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하계 문·무관의 품계.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 최고위계이다. 동반은 통훈대부, 서반은 이 이에 해당한다.

  • 이형진 / 李衡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6∼1757). 1721년(경종 1) 생원시 합격 후 영릉참봉·의영고봉사·정읍현감·공조좌랑··돈령부도정 등을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