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록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24)
- 남이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할 때에는 항상 관대하고 공평하였으며, 시비와 사정(邪正)을 변론하는 데 의연한 태도를 취하였다고 한다. 문장에도 능하여 왕명을 받들어 어록(語錄)을 교정 또는 교열하여 『어록해(語錄解)』를 찬하여 1669년 현종에게 진정하였다. 시호는 장간(章簡)이다.이칭별칭 중휘(仲輝)| 의졸(宜拙)| 장간(章簡)
- 정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부터 인망(人望)에 부응(浮應)하는 인물이라는 탄핵을 받은 바 있었다. 이 후 간성군수ㆍ시강원진선을 거쳐 1668년 장령에 이르렀으며, 이 해에 죽었다. 『어록해(語錄解)』를 중수, 간행하였다. 초시(初諡)는 정절(貞節)이었으나 뒤에 문절(文節)로 개시되었다....이칭별칭 안숙(晏淑)| 부익자(孚翼子), 포옹(抱翁)| 정절(貞節), 문절(文節)
- 어록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7년(효종 8)에 정양(鄭瀁)이 편찬하여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중국 속어사전(俗語辭典). [내용] 1책. 목판본. 권말에 한어집람자해(漢語集覽字解), 부록 및 저자의 발문이 붙어 있다. 저자의 발문에 의하면 『어록해』란 본래 이황...
- 어록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9년(현종 10) 왕명에 의하여 남이성(南二星)이 정양(鄭瀁)의 『어록해』를 개수하여 간행한 중국의 속어사전(俗語辭典). [내용] 1책. 목판본. 체재는 어록해 범례, 어록해, 어록해 발(跋)로 나뉘었고, 여러 이본이 있다.
- 어록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9년 백두용(白斗鏞)이 편찬하고 윤창현(尹昌鉉)이 증정(增訂)하여 한남서림(翰南書林)에서 간행한 중국 속어사전(俗語辭典). [내용] 1권 2책. 목판본. 『주해어록총람(註解語錄總覽)』이라고도 한다. 남이성(南二星)의 『어록해』를 토...이칭별칭주해어록총람(註解語錄總覽)
고서·고문서(5)
- 소설어록해(小說語錄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소설어록해(小說語錄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어록해한언문(語錄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어록해한언문(語錄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見書慰慰 今番失望之歎 甚是怪事 而産婦無頉 極可爲幸 乳道用麥芽則可絶 而後番乳道 亦爲大害云 須勿用也 姑爲饋幼女 次次用減乳之方 俾無乳頉似好 減乳之方 問諸婦人用之也 語錄解 汝弟借於人謄抄 而亦不纖悉耳 不一一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西廂記?? 語錄解類의 상호 관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효민, 게재일 : 201355839 김효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3 ??西廂記?? 語錄解類의 상호 관계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4)
-
어록해 / 語錄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남이성(南二星) 등 편, 목판본, 불분권 1책(46장). 1669년 왕명으로 성리학 서적에 나오는 어록에 대하여 이황(李滉)과 유희춘(柳希春) 등이 각자 주석한 것을 1657년에 정양(鄭瀁)이 간행한 책인 원간《어록해(語錄解)》에서
-
주해어록총람 / 註解語錄總覽 [언어/언어/문자]
어록과 이두를 모아서 설명한 책. 1권 2책. 목판본. 『어록해(語錄解)』에 『수호지』·『서유기』·『서상기』·『삼국지』 어록과 이두를 수록한 이문어록(吏文語錄)으로 되었다. 1919년 서울의 한남서림(翰南書林)에서 간행되었다. 항목배열과 설명 등이 모두 『어록해』에
-
몽어유해 / 蒙語類解 [언어/언어/문자]
大)』·『첩해몽어(捷解蒙語)』와 함께 이 책을 개간하였는데, 이 세 책에 대한 서문인 「몽학삼서중간서(蒙學三書重刊序)」에 의하면 그 중 『몽어유해』는 주로 자음(子音)을 고쳤고, 「보편(補編)」과 『어록해(語錄解)』를 새로 추가하였다고 한다. 본서는 상권·하권·보편·어
-
몽어유해보편 / 蒙語類解補編 [언어/언어/문자]
몽어유해』 중에서 빠진 1,600여 단어를 모아 ‘몽어유해보’라 이름하고, 또 조사나 어미 등 문법형태소 수백을 모아서 『어록해(語錄解)』를 만들어 권말에 붙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