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간” 에 대한 검색결과 5,3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46)

사전(1,98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내용]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과 활용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 자체가 자립형식인 체언이나 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어업(漁業)에 종사하던 사람.
    정의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어업(漁業)에 종사하던 사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eogan | MR표기ŏg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활용어가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
    정의활용어가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 | 문광부표기eogan | MR표기ŏg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3_D_1499 詩適 시 釣魚, 靜坐, 採蕨, 狸, 燕子, 竹, 小樓 及庵, 牧老, 三峯 瑣錄 D_20_01_94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9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9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D_0987 詞遠 시 春日詩, 野步詩 李奎報, 陳澕 詩話 D_11_01_02 대동운부군옥 11권 1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2)

고서·고문서(1,90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 남자 강원도 고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남강구 중산로 11호 3 2 , 철도역,
    대표표제어어간 | 성씨
  • 옛노래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옛노래집 김 여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건설가 4거21조 3분회 11동 1호 2 2 흘옛노래집, 노래...
    대표표제어흘어간옛노래집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옛노래 권 남자 경상북도 영덕군 영하회족자치구 은천시 알수없음 은천사범대학 2 2 흘옛노래, 8도민요...
    대표표제어흘어간옛노래 | 성씨
  • 엿노래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엿노래집 권 여자 경상북도 구미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어홍구사령진집현촌 2 2 흘엿노래집,
    대표표제어흘어간엿노래집 | 성씨
  • 3654 중국 총서 전송문 005 기타 全宋文873 鮮議侁墓誌銘 元祐二年八月 (중략) 旣至 奏罷萊蕪利國監鐵冶 及鹽法通商 東人大悅 又言高麗朝貢可令州郡禮之 其自欲商賈者聽 則其人便矣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 해당 기사의 元祐二年...
    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구술자료(335)

  • 자기 꾀에 넘 노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중국(한국계) 20161207_002_006_중국B_03_김설화_F_자기 꾀에 넘 노새 민담 자기 꾀에 넘 노새 2016. 12. 07(수) 오후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조사자 2인 박현숙, 김현희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장수가 쉬 바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깃대배기에 대한 이야기가 끝난 후 지명에 관하여 이야기를 끊지 않고 바로 이어졌다.
    조사일시2011. 01. 28(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1리 테마모텔 297-6 | 제보자황명기
  • 원혼 때문에 죽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속 구연하기를 청하자 애먹겠다며 이어 나갔다. *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금자
  • 야광주를 얻 중국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옆에서 듣기만 하던 제보자는 앞 이야기 끝내자 '나도 한자리 헐까' 하면서 이야기판에 끼어 들었다. 머리에 모자를 쓰고 담배를 피우면서도 위엄을 지키는 것이 인상적이다. *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 제보자김문선
  • 망 넘 놈 내 아들 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계속하다 목이 마른지 냉수를 청했다. 냉수를 마신 다음 다시 들려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4-08-02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 제보자강은상

기초학문(76)

  •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신, 게재일 : 2013
    43029 이상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3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ᄉᆞᇦ-} 통합 의 활용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양진, 게재일 : 2010
    41449 김양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10 {-ᄉᆞᇦ-} 통합 의 활용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音韻 變化에 의한 再構造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07
    40969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音韻 變化에 의한 再構造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X프/쁘-’용언의 기저형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승용, 게재일 : 2007
    41130 신승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달말학회 2007 X프/쁘-’용언의 기저형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변이형의 운율적 기능과 어휘표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시택, 게재일 : 2010
    39267 유시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0 변이형의 운율적 기능과 어휘표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66)

  • 작년에 부산항에셔 일본으로 들 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년에 부산항에셔 일본으로 들 금이 십칠만 팔쳔 삼 십일윈이라더라
    게재일1900년 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인 텰도 노키에 들 을 됴샤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인 텰도 노키에 들 을 됴샤 엿대 상등답 두락에 이십팔원식이오 즁등에 십륙원식이오 하등에 륙원식을 준다더라
    게재일1900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로들셔 인쳔지 가 텰도에 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로들셔 인쳔지 가 텰도에 들 뎐토가 삼만 륙쳔 구 삼십원 이십젼이오 남문밧 뎡거쟝 짓 집갑과 토디갑 쳔 이십 구원 삼십륙젼이오 인쳔항구 부두 근쳐의 텰도 뎡거쟝 짓 외국인의  갑 팔쳔 삼구원 칠십젼이니 경인 텰도의 디단갑 준 거시 합계 ...
    게재일1900년 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쳥국 북경으로 들 각국 병뎡이 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 북경으로 들 각국 병뎡이 일본은 이십명이오 미국병뎡은 오십이명이오 영국 법국 아라 다 칠십오명이오 리 십명이더라
    게재일1900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군은 북경들후에 은 이 오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군은 북경들후에 은 이 오십만량과 슈다 미곡을 엇엇다더라
    게재일1900년 8월 28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73)

  • 상록수 이야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전남 해남군 영안부락으로 농촌계몽운동을 하러 들 손정자는 문맹퇴치운동, 식생활 개선, 위생지도 등의 활동을 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2월 10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기타자료(104)

  •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幼稚園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교육 문헌 현대 평생교육 가정교육 취학전ㆍ특수교육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수일 | 사료철명여원
  •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國民學校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교육 문헌 현대 평생교육 가정교육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정동 | 사료철명여원
  • 21) 신라 흑수→고려 【번역】 여름 4월 을유일(29)에 흑수의 아오한(阿)이 200명을 이끌고 와서 의탁하였다. (󰡔高麗史󰡕 1 世家 1 太祖 1) 【번역】 여름 4월에 흑수의 아오간(阿)이 200명을 이끌고 와서 의탁하였다. (󰡔高麗史節要...
    대표표제어흑수가 고려에 의탁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1년(辛巳/신라 경명왕 5/발해 애왕 21/후백제 견훤 22/고려 태조 4 天授 4/後梁 貞明 7, 龍德 1/日本 延喜 21)
  • 신라가 당에 보낸 김운경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회창(會昌)원년 7월에 조서를 내려, “신라로 귀국한 관인으로서 먼저 신라에 들 선위부사·전(前) 충연주도독부사마·사비어대 김운경은 치주장사로 삼을 만하다.”라고 하였다. (󰡔舊唐書󰡕 199上 列傳 149上 東夷 新羅) 【번역】 회창 원년 7월에 칙서를...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김운경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1년(辛酉/신라 문성왕 3/발해 이진 12 咸和 12/唐 會昌 1/日本 承和 8)
  • 신라가 당에 보낸 사신 김포질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日本 天平 9) 신라 신라→당 【번역】 겨울 10월에 당에 들 사찬 김포질이 돌아왔다. (󰡔三國史記󰡕 9 新羅本紀 9 孝成王 1年) 【원문】 冬十月 入唐沙湌抱質迴 (󰡔三國史記󰡕 9 新羅本紀 9 孝成王 1年)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사신 김포질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1/唐 開元 25/日本 天平 9)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120)

  • /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과 활용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 자체가 자립형식인 체언이나 체언상당어구(體言相當語句)이므로 그냥 체언

  • 보조 / 補助 [언어/언어/문자]

    본디의 ()에 덧붙어서 그것을 돕는 . 보조의 갈래로는 하임[使動]의 ‘-이-, -히-, -기-, -리-, -우-, -구-, -추-’, 입음[被動]의 ‘-이-, -히-, -기-, -리-’, 낮춤[謙卑]의 ‘-옵-, -읍-, -습-, -오-, -ㅂ-, -

  • 그림 속으로 들 사람 / [문학/구비문학]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 도둑으로 잡혀가게 되자 자기가 그린 그림 속으로 들어가 숨어 버린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이다.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신이담(神異譚)이다. ‘그림을 타고 간 사람’으로도 불리며 널리 전해진다.

  • 만화단석 / 滿花單席 [정치·법제]

    꽃 문양이 들 단석. 단석은 홑겹으로 만든 자리를 말한다. 만화단석은 가례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하였다. 꽃문양이 들 단석을 연화단석, 채화단석이라고 하였다.

  • 어미 / 語尾 [언어/언어/문자]

    어형변화(語形變化)를 가지게 되는 단어에서 ()을 제외하고 어말(語末) 위치에 오는 형태소(形態素, morpheme). 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용어미는 체언(곡용)에 붙고 활용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