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간” 에 대한 검색결과 5,2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60)

사전(1,98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내용]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과 활용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 자체가 자립형식인 체언이나 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어업(漁業)에 종사하던 사람.
    정의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어업(漁業)에 종사하던 사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eogan | MR표기ŏg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활용어가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
    정의활용어가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 | 문광부표기eogan | MR표기ŏg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평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短橫杠預備橫杠隔板軍牌將金德獜等二人平牀軍牌將郭大興來往板軍牌將李基恭, (국장1800/152ㄴ04~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보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본디의 ()에 덧붙어서 그것을 돕는 . [내용] 최현배(崔鉉培)의 도움줄기[補助]에서 유래하였다. 은 실질부로 사전적 의미를 지니고 있고, 어미는 형식부로서 사전적 의미는 없고 통사적(統辭的)인 의미만을 지닌다.

논문(2)

고서·고문서(1,815)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 남자 강원도 고성군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남강구 중산로 11호 3 2 , 철도역,
    대표표제어어간 | 성씨
  • 옛노래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옛노래집 김 여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건설가 4거21조 3분회 11동 1호 2 2 흘옛노래집, 노래...
    대표표제어흘어간옛노래집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옛노래 권 남자 경상북도 영덕군 영하회족자치구 은천시 알수없음 은천사범대학 2 2 흘옛노래, 8도민요...
    대표표제어흘어간옛노래 | 성씨
  • 엿노래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흘엿노래집 권 여자 경상북도 구미시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어홍구사령진집현촌 2 2 흘엿노래집,
    대표표제어흘어간엿노래집 | 성씨
  • 卑幼之殘 【父捉女姦,直所毆殺 ○嘉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80 欽欽新書 卷四 ITKC_MP_0597A_1380_010_0110 卑幼之殘 【父捉女姦,直所毆殺 ○嘉慶】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欽欽新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35)

  • 장수가 쉬 바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깃대배기에 대한 이야기가 끝난 후 지명에 관하여 이야기를 끊지 않고 바로 이어졌다.
    조사일시2011. 01. 28(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1리 테마모텔 297-6 | 제보자황명기
  • 원혼 때문에 죽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속 구연하기를 청하자 애먹겠다며 이어 나갔다. *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금자
  • 야광주를 얻 중국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옆에서 듣기만 하던 제보자는 앞 이야기 끝내자 '나도 한자리 헐까' 하면서 이야기판에 끼어 들었다. 머리에 모자를 쓰고 담배를 피우면서도 위엄을 지키는 것이 인상적이다. *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 제보자김문선
  • 망 넘 놈 내 아들 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계속하다 목이 마른지 냉수를 청했다. 냉수를 마신 다음 다시 들려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4-08-02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 제보자강은상
  • 처녀 채 도둑의 기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달련 씨가 이야기를 마치고, 다시 개미, 원숭이의 형상을 예 들면서 유래담 <page id="610"></page> 을 더 듣고자 했는데, 한 청중이 김봉열 씨더러 _가매 덮어 씨고 상투 끄댕기는 그 얘기 하소. 그거 멋지다._고 부추겼다. 안 하겠다고 피하...
    조사일시1984-08-17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 제보자김봉열

기초학문(76)

  •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신, 게재일 : 2013
    43029 이상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3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ᄉᆞᇦ-} 통합 의 활용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양진, 게재일 : 2010
    41449 김양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10 {-ᄉᆞᇦ-} 통합 의 활용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音韻 變化에 의한 再構造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07
    40969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音韻 變化에 의한 再構造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X프/쁘-’용언의 기저형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승용, 게재일 : 2007
    41130 신승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달말학회 2007 X프/쁘-’용언의 기저형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변이형의 운율적 기능과 어휘표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시택, 게재일 : 2010
    39267 유시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0 변이형의 운율적 기능과 어휘표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66)

  • 작년에 부산항에셔 일본으로 들 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년에 부산항에셔 일본으로 들 금이 십칠만 팔쳔 삼 십일윈이라더라
    게재일1900년 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인 텰도 노키에 들 을 됴샤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인 텰도 노키에 들 을 됴샤 엿대 상등답 두락에 이십팔원식이오 즁등에 십륙원식이오 하등에 륙원식을 준다더라
    게재일1900년 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로들셔 인쳔지 가 텰도에 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로들셔 인쳔지 가 텰도에 들 뎐토가 삼만 륙쳔 구 삼십원 이십젼이오 남문밧 뎡거쟝 짓 집갑과 토디갑 쳔 이십 구원 삼십륙젼이오 인쳔항구 부두 근쳐의 텰도 뎡거쟝 짓 외국인의  갑 팔쳔 삼구원 칠십젼이니 경인 텰도의 디단갑 준 거시 합계 ...
    게재일1900년 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쳥국 북경으로 들 각국 병뎡이 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 북경으로 들 각국 병뎡이 일본은 이십명이오 미국병뎡은 오십이명이오 영국 법국 아라 다 칠십오명이오 리 십명이더라
    게재일1900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군은 북경들후에 은 이 오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군은 북경들후에 은 이 오십만량과 슈다 미곡을 엇엇다더라
    게재일1900년 8월 28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73)

  • 상록수 이야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전남 해남군 영안부락으로 농촌계몽운동을 하러 들 손정자는 문맹퇴치운동, 식생활 개선, 위생지도 등의 활동을 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2월 10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 방법으로서의 여성_1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한국철학을 한국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며 만들다양한 사고의 방식과 형태로 넓게 정의한다면, 한국철학을
    강좌제목여성의 삶 속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혜숙 김세서리아 신상후 이지 박무영 고연희 김수진 정해은 김윤정 김미선

기타자료(104)

  •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유치원에 들 아이와 어머니 幼稚園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교육 문헌 현대 평생교육 가정교육 취학전ㆍ특수교육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수일 | 사료철명여원
  •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국민학교에 들 아이와 어머니 國民學校에 들 아이와 어머니 교육 문헌 현대 평생교육 가정교육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정동 | 사료철명여원
  • 21) 신라 흑수→고려 【번역】 여름 4월 을유일(29)에 흑수의 아오한(阿)이 200명을 이끌고 와서 의탁하였다. (󰡔高麗史󰡕 1 世家 1 太祖 1) 【번역】 여름 4월에 흑수의 아오간(阿)이 200명을 이끌고 와서 의탁하였다. (󰡔高麗史節要...
    대표표제어흑수가 고려에 의탁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1년(辛巳/신라 경명왕 5/발해 애왕 21/후백제 견훤 22/고려 태조 4 天授 4/後梁 貞明 7, 龍德 1/日本 延喜 21)
  • 신라가 당에 보낸 김운경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회창(會昌)원년 7월에 조서를 내려, “신라로 귀국한 관인으로서 먼저 신라에 들 선위부사·전(前) 충연주도독부사마·사비어대 김운경은 치주장사로 삼을 만하다.”라고 하였다. (󰡔舊唐書󰡕 199上 列傳 149上 東夷 新羅) 【번역】 회창 원년 7월에 칙서를...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김운경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1년(辛酉/신라 문성왕 3/발해 이진 12 咸和 12/唐 會昌 1/日本 承和 8)
  • 신라가 당에 보낸 사신 김포질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日本 天平 9) 신라 신라→당 【번역】 겨울 10월에 당에 들 사찬 김포질이 돌아왔다. (󰡔三國史記󰡕 9 新羅本紀 9 孝成王 1年) 【원문】 冬十月 入唐沙湌抱質迴 (󰡔三國史記󰡕 9 新羅本紀 9 孝成王 1年)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사신 김포질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1/唐 開元 25/日本 天平 9)

연구과제(6)

주제어사전(120)

  • /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단어의 굴절(屈折)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는 기간부(基幹部). 굴절(어미변화)의 두 유형에는 곡용과 활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곡용과 활용이 있으나 실제로 곡용 자체가 자립형식인 체언이나 체언상당어구(體言相當語句)이므로 그냥 체언

  • 보조 / 補助 [언어/언어/문자]

    본디의 ()에 덧붙어서 그것을 돕는 . 보조의 갈래로는 하임[使動]의 ‘-이-, -히-, -기-, -리-, -우-, -구-, -추-’, 입음[被動]의 ‘-이-, -히-, -기-, -리-’, 낮춤[謙卑]의 ‘-옵-, -읍-, -습-, -오-, -ㅂ-, -

  • 그림 속으로 들 사람 / [문학/구비문학]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 도둑으로 잡혀가게 되자 자기가 그린 그림 속으로 들어가 숨어 버린 이인(異人)에 관한 설화이다. 자신에게 닥친 위기를 도술로 벗어난 신이담(神異譚)이다. ‘그림을 타고 간 사람’으로도 불리며 널리 전해진다.

  • 만화단석 / 滿花單席 [정치·법제]

    꽃 문양이 들 단석. 단석은 홑겹으로 만든 자리를 말한다. 만화단석은 가례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하였다. 꽃문양이 들 단석을 연화단석, 채화단석이라고 하였다.

  • 어미 / 語尾 [언어/언어/문자]

    어형변화(語形變化)를 가지게 되는 단어에서 ()을 제외하고 어말(語末) 위치에 오는 형태소(形態素, morpheme). 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용어미는 체언(곡용)에 붙고 활용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