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희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8)
- 양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대봉집(大峰集)』 양희지(1439-1504) 1439(세종 21)∼15...이칭별칭 가행(可行), 정보(楨父)| 대봉(大峰)|희지(稀枝)
- 楊煕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431 楊煕止 인물 可行, 大峯 中和 我成廟, 任士洪, 燕山 D_09_04_89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8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8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대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양희지(楊熙止)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86년(정조 10) 양희지의 10대손 양낙(楊樂)이 수집한 것을 1907년 이천섭(李天燮)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안정복(安鼎福)‧이민보(李敏輔)의...
- 사약방(司鑰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던 곳. [내용] 사약 외에도 대간(臺諫)이 왕에게 보고할 일이 있을 경우 대기실로 사용하였으며, 여러 명이 대기할 때는 숙장문(肅章門) 밖에서 장막을 치기도 하였다. [용례] 司憲府掌令楊熙止司諫院正言柳崇祖來啓曰 臺諫一員獨來啓事 則雖處司鑰房猶可矣 若兩司會...관련어사약(司鑰), 대간(臺諫), 계사(啓事)
- 정혜사(定惠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혜사(淨惠寺)’로 표기되어 있고, 『정조실록』에는 ‘정혜사(定惠寺)’로 표기되어 있다. 1498년에 충청도 정산(定山)의 정혜사 승려 극동이 다른 승려 월심을 죽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때 승지(承旨) 양희지(楊熙止)가 참형(斬刑)해야 한다고 임금께 아뢰었고,...상위어불교(佛敎), 사찰(寺刹) | 동의어정혜사(淨惠寺) | 관련어내수사(內需司), 도천사(道泉寺), 준시(蹲柿)
고서·고문서(4)
- 대봉선생문집(大峯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회혼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한 것은 중성 ‘ㅡ’와 ‘ㅓ’를 구별하지 못 하는 경상도 방언의 한 특징이다. 지령이라 성자현손 이어나서의관문물 장하시고 조상을 말할진관서부자 내이요 봉선 봉선: 대봉(大峰)선생(先生). 양희지(楊熙止).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다. 자는 가행(可行)이고, 호...가사유형송축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난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를 수집한 것이다. 특히 저자가 만년에 함창에 지은 快哉亭에 대하여 楊熙止와 李荇 등이 시를 지어 보냈다. 전체 목록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鳳兮行(朱溪君 李深源), 贈行(李深源), 又 二首(梅溪 曺偉), 又二首(虛白 洪貴達), 宿安 養寺贈送耆之南行六首(慵齋 成俔),...분야문학 | 유형문헌
- 허백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乞丘史待價詩以嘲戱頗多壓倒之辭余次韻 解其嘲待價別號疥藥叟也, 寄希尹二首, 次磬 叔韻, 送李應敎量田江原道, 送日本國中山僧 道誾, 挽人出葬, 次近仁贈德摻, 積雨初晴寄 中書舍人列位, 寄慶尙道都事洪君自阿, 送泗 川縣監楊熙止, 過金參判子固家有感, 題承文 院樓柱調柳同知希明, 李舍人園...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양희지 / 楊熙止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맹순, 어머니는 정시교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 부수찬, 경연관, 교리, 예조좌랑, 병조좌랑, 상의원정, 직제학, 좌부승지, 대사간, 충
-
대봉문집 / 大峰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양희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1786년(정조 10) 양희지의 10대손 낙(樂)이 수집한 것을 1907년 이천섭(李天燮)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안정복(安鼎福)·이민보(李敏輔)의 서문과 권말에 이천섭의 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