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현전심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7)
- 양현전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서(與留丞相書)」 등에서 심법을 받은 것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양현 심법의 소재를 밝히며, 정도를 지키고 사설(邪說)을 막는 데 이 책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서문에 기술하였다. 이 책 외에 『양현전심록부록(兩賢傳心錄附錄)』이 필사본으로 전해지고 있는...
-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양현전심록 양현전심록 兩賢傳心錄 심법서 한문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이시원 미상 1795(초간), 1856(중간) 8권 4책 목판본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
- 임장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801년(순조 1)에 송시열(宋時烈)을 추가 배향하였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사우(祠宇)‧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 등이 있었으며, 원내에는 정조가 편찬한 ≪양현전심록 兩賢傳心錄≫의 각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
- 우저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팔작지붕으로 된 강당과 비각(碑閣)‧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조헌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소장전적으로는 『청금록(靑衿錄)』‧『원생안(院生案)』‧『강안(講案)』‧『양현전심록( 兩賢傳心錄)』‧『계...연계항목우저서원(牛渚書院)
- 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크고 작은 천재지변이 잇달아 발생했다. 한편 왕은 ≪양현전심록 兩賢傳心錄≫‧≪사부수권 四部手圈≫‧≪대학유의 大學類義≫‧≪정조어정홍재전서 正祖御定弘齋全書≫‧≪서운관지 書雲觀志≫‧≪동문휘고 同文彙考≫ 등을 간행하게 했다. 그리고, 일본에 통신사를 보내는 등의 치적이...이칭별칭 공보(公寶)| 순재(純齋)
고서·고문서(8)
-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774년 양현전심록서(兩賢傳心錄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서
주제어사전(3)
-
양현전심록 / 兩賢傳心錄 [종교·철학/유학]
정조의 명으로 송대의 주희와 조선 숙종 때의 송시열의 문집 속에서 심법에 관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 8권 4책. 목판본. 1774년(영조 50) 정조가 동궁이었을 때 이시원 등에게 명해 편찬하도록 하였으며, 1795년에 간행되었다. 1856년(철종 7)에는 중간본이
-
임장서원 / 臨漳書院 [교육/교육]
.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사우(祠宇)·강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 등이 있었으며, 원내에는 정조가 편찬한 《양현전심록 兩賢傳心錄》의 각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
-
순조 / 純祖 [역사/조선시대사]
졌다. 한편 《양현전심록》·《사부수권》·《대학유의》·《정조어정홍재전서》·《서운관지》·《동문휘고》 등을 간행하게 하고, 일본에 통신사를 보내는 등의 치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