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향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31)
- 양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워두었다. 양향청의 재원은 주로 황무지를 불하받아 개간한 토지 및 죄인들로부터 적몰한 전답을 대여받아 운영하는 수입으로 마련되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
- 양향청(糧餉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양향청 양향청 糧餉廳 재정 기관(財政機關) 양향(糧餉), 군향(軍餉) 군향청(軍餉廳) 훈련도감(訓鍊都監), 호조(戶曹), 삼수미세(三手米稅), 둔전(屯田) 경제재정/군자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상위어재정 기관(財政機關) | 하위어양향(糧餉), 군향(軍餉) | 동의어군향청(軍餉廳) | 관련어훈련도감(訓鍊都監), 호조(戶曹), 삼수미세(三手米稅), 둔전(屯田)
- 근대신어 : 사인(싸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6325 사인 사항 싸인 sine 三角. 正弦 삼각. 정현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233 유의어 手決 수결 糧餉廳穀物六百...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사인(싸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결 糧餉廳穀物六百餘石, 諉以手決, 堂郞分占.(顯宗實錄 12년 4월 21일) 그런데 양향청(粮餉廳) 곡물 6백여 석을 수결(手決)을 핑계 삼아 당상과 낭청이 나누어 차지하고 한) 싸인: 박상진, 1920-30년대 대중잡지의 어휘소개에 대하여, 한국...출전小說家仇甫氏의一日[文章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사인(싸인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932 5 81 유의어 手決 수결 糧餉廳穀物六百餘石, 諉以手決, 堂郞分占.(顯宗實錄 12년 4월 21일) 그런데 양향청(粮餉廳) 곡물 6백여 석을 수결(手決)을 핑계 삼아 당상과 낭청이 나누어 차지하고 한)...출전新東亞[新東亞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7)
- 둔전 (일성록)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둔전에 관한 사항에 대해 일성록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것이다. 작성자와 생산년도는 미상이며 순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자료는 모두 88매이다.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탁지부에서 청의한 전양향청 목조평옥와즙 22개소를 철거하여 매각하는 건을 내각에서 회의한 뒤 상주하여 재가를 받았다는 지령 제86호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탁지부의 조복대로 어염 선박의 사검규칙에 문구의 첨가하는 것은 규칙에 위배되며, 그 대신 탁지부가 전 호조와 양향청과 균역청에서 거둬들이던 각 항 세액을 소상하게 알려주면, 사검하는 농상공부 파원에게 전칙하여 일체 조사해서 찾아내게 하겠다는 조회 제21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사의에 마땅하지 않음. 탁지부대신이 前 戶曹와 糧餉廳과 均役廳에서 거둬들이던 각 항 세액을 소상하게 알려주면, 사검하는 농상공부 파원에게 轉飭하여 일체 조사해서 찾아내게 할 것이며, 그 문제를 사검장정에 첨가하는 것은 규칙에 위배되므로 이에 조회한다는 내용.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농상공부 제21호 조회를 받았고, 대개 그 세금이 전 호조와 양향청에는 없고, 균역청에만 8도에 모두 있는데 경기, 관서, 관북 3도는 보내온 성책이 없으므로 5도의 책자 9권을 보내니 조사해 거두고, 인천, 안산, 남양에 염대정 5양, 소정 4양 중선 20양, 소선 10양, 차소선 5양, 어전 80양, 어망 5양, 휘망 3양을 1895년 5월에 새로 정했다는 조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4122 B024122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3年 4月 15日_039 ○致中曰, 靑山島, 專屬宮家, 後以糧餉廳他屯田, 換給薪智鎭事, 旣承聖敎, 而臣適在引入中, 尙未稟定矣。 古今島屯田一百五十八結零, 而百結, 則屬之本鎭, 五十餘結, 則納稅於糧餉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양향청 / 糧餉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 소속의 재정 관서. 1593년(선조 26) 훈련도감의 발족과 함께 설치되었다. 훈련도감에서 소용되는 의복·무기·비품 등의 물품을 조달하고, 급료 등의 재정을 관리, 운영하였다. 관제로는 도제조 1원, 제조 3인, 낭청(종사관) 1인의 관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