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한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3)
- 양한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3(고종 20)∼1949. 독립운동가. [내용] 충청북도 옥천 출생. 1910년 8월 나라를 잃게 되자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독립운동에 뜻을 둔 맹보순(孟甫淳)ㆍ양기탁ㆍ이병옥(李秉玉) 등 10여명과 수시로 회합, ...
- 홍종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聖基)‧황문익(黃文益)을 데리고 1920년말경 국내로 잠입하여 경상남도 밀양‧양산, 경상북도 대구 등을 근거로 동지를 규합하였다. 그러자 양한위(梁漢緯)‧권충락(權忠洛) 등과 같이 이에 가담하여 군자금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 흥업단이 경영하는 백산학교...
- 허병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5(고종 22)∼1943.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북도 경산 출신. 1917년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이 조직한 광복회(光復會)에 가입,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9월경 양한위(梁漢緯)‧권태일(...
고서·고문서(11)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兵曹參知, 黃處浩爲分兵曹正郞, 韓宗纘爲分兵曹佐郞, 李仁倍·邊將讓 爲吏曹正郞, 李激爲兼中學敎授, 李樸爲監察, 尙雨澤爲軍器僉正, 金相翊爲注書, 洪良漢爲慶州府尹, 李世佑爲善山郡守, 金彭齡爲南海縣監, 曺時泰爲海南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兵曹參知, 黃處浩爲分兵曹正郞, 韓宗纘爲分兵曹佐郞, 李仁倍·邊將讓 爲吏曹正郞, 李激爲兼中學敎授, 李樸爲監察, 尙雨澤爲軍器僉正, 金相翊爲注書, 洪良漢爲慶州府尹, 李世佑爲善山郡守, 金彭齡爲南海縣監, 曺時泰爲海南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부도(大阜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523 B041523 대부도 大阜島 도서 경기도 承政院日記 高宗 8年 5月 28日_017 ○兵批, 判書姜㳣進。 兵批啓曰, 慶尙左兵使,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他道中軍竝擬, 何如? 傳曰, 允。 以任百秀爲知事, 姜健欽·尹善應爲副摠管, 李敏正爲宣傳官, 孫亮漢爲內禁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577 B01657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0年 1月 21日_013 。 又啓曰, 臺諫多窠,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外任竝擬, 何如? 傳曰, 允。 李奎采爲大司憲, 洪良漢爲大司諫, 黃榦爲司諫, 韓必壽爲掌令, 李昌任爲持平, 李壽勛爲獻納, 任希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258 B028258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5年 5月 20日_014 之進, 以洪良漢爲大司諫, 申光履爲掌令, 任希簡爲正言, 沈頥之爲修撰, 趙宗鉉爲校理, 洪樂性爲右參贊, 柳焵爲兵曹佐郞, 朴道仁爲禮曹佐郞, 李福徽爲正郞, 具允鈺爲右尹, 鄭昌聖爲同義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전남교육_1973_03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전국교육자대회의 다짐 12 새 입시제도에 대한 기대 14 기미년 3월 1일 그 54주-전남출신 민족대표 지강 양한위선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주제어사전(3)
-
양한위 / 梁漢緯 [역사/근대사]
1883-1949.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옥천 출생. 1910년 8월 나라를 잃게 되자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독립운동에 뜻을 둔 맹보순(孟甫淳)·양기탁(梁起鐸)·이병옥(李秉玉) 등 10여명과 수시로 회합, 협의하면서 독립운동의 기본방략을 수립하고 그 기반 조성을
-
홍종락 / 洪鍾洛 [역사/근대사]
경상남도 밀양·양산, 경상북도 대구 등을 근거로 동지를 규합하자 양한위(梁漢緯)·권충락(權忠洛) 등과 같이 이에 가담하여 군자금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 흥업단이 경영하는 백산학교(白山學校) 운영자금과 독립군 자금모집을 위하여 달성·영천·봉화 등지에서 활동하다
-
허병률 / 許秉律 [역사/근대사]
1885-1943년.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경산 출신. 1917년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이 조직한 광복회(光復會)에 가입,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9월경 양한위(梁漢緯)·권태일(權泰鎰)로부터 상해판 《독립신문》 및 경고문 등을 전달받아 부호와 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