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한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19)
- 양한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2(철종 13)∼1919. 독립운동가. [생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길중(吉仲), 호는 지강(芝江). 전라남도 해남 출신. 상태(相泰)의 아들이다. 1894년 탁지부주사(度支部主事)가 되어 능주세무관(綾州稅務官)으로 근무하다,...이칭별칭 길중(吉仲)| 지강(芝江)
- 동경연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리고 이듬해 1월에 일본에서 귀국하여 조직을 근대적인 교단조직으로 정비하는 한편, 천도교인들의 교화사업을 위해서 새로운 체제의 교리서들을 많이 출판하였다. 그 중 양한묵(梁漢默)이 저술한 책이 바로 ≪동경연의≫였다. 양한묵은 일본에서 손병희 등의 권유로 동학에...
- 나용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洪基兆)‧김완규(金完圭)‧권병덕(權秉悳)‧홍병기(洪秉箕)‧박준승(朴準承)‧양한묵(梁漢默) 등의 동지와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였으며, 그들과 함께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성명을 열기하고 날인하였다.이칭별칭 택암(澤菴)
- 헌정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5년 5월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 운동단체. [내용] 독립협회‧만민공동회의 자주‧민권운동의 영향을 받은 개신 유학자들인 이준(李儁)‧양한묵(梁漢默)‧윤효정(尹孝定) 등이 중심이 되어 국민을 대상으로 근대적 의식을 깨우치고자 1...
- 무체법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설]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한 천도교서. 1책. 1910년 2월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 내원암(內院庵)에서 49일 동안의 수련을 마치고 발표했는데,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손병희의 글들은 대부분 짧고 체계화되지 않은 것이 많으나 이 ≪무체법경≫만은 체...
고서·고문서(5)
- 소유권 확인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서기 중원무(中原茂), 서기 통역 겸무 임광우(林光宇) 정지철(鄭志喆) 경성(京城) 중부(中部) 전동(?洞) 13통 1호 정철규(鄭哲圭) 양한묵(梁漢默) 경성(京城) 중부(中部) 전동(典洞) 6통 4호 피고는 융희(隆熙) 3년 7월 24일에 성립한...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9월 11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회사 해산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원구원칠랑(原口源七郞), 번역관보(?譯官補) 김영배(金榮培) 양한묵(梁漢默) 경성(京城) 중부(中部) 전동(典洞) 6통 4호 변호사(辯護士) 허헌(許憲) 최석창(崔錫彰), 민건식(閔健植) 경성(京城) 북부(北部) 계동(桂洞) 12통 2호, 경성(京城...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3부 | 판결일자1909년 10월 2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책값(冊價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ルモ如此ハ同人等カ有效ニ原告ヲ代表シ爲シタル意思表示ト曰フヲ得サレバ被告カ之ヲ以テ原告ニ對抗スルヲ得サルヤ明ナリ證人梁漢默ノ證言中右認定ニ反スル部分ハ信用セズ 次ニ第二ノ點ニ付案スルニ被告カ右印刷物代金ノ內金千三百五十四圓十錢ヲ辨償シタル事實ハ原告代理人ノ全然否認スル所ナレトモ乙第四號證乃至第十二號...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03월 1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책값(冊價)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고 如此 事 無얏슴은 其成立에 付야 疑 容 餘地가 有아니라 同記錄中 證人 李潤德 同梁漢黙의 明治四十一年〈隆熙二年〉 八月 十八日 當時 普文社의 社長된 原告 崔錫彰이 社印을 封야 使用은 禁止얏더니 同年 九月 二十一日에 至야 李潤德等이 社長의 承諾업시 合...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12월 24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燕巖集補遺 6_附錄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桑日月際休明. 依樣葫蘆日喪眞, 文垣誰掃百年塵? 天敎大手傾銀漢, 一濯雲溪出色新. 早學經綸貫古今, 文章需世豈初心. 胸藏萬卷知無補, 白雪歌高少解音. 文采風流一世傾, 雲衢朝暮竚蜚英. 哲人還有先機見, 不俟名場寵辱騖. 爲問風波不到津, 名都山水太平人. 歐陽翰墨曼卿酒, 遊戲行...대표표제어燕巖集補遺 6_附錄 | 목차附錄
신문·잡지(7)
- 對囚說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하오이시에 텬도교즁앙춍부에셔 량한묵 권병덕 한긔쥰 리겸졔씨를 감옥셔에파견야 죄슈등의게야 선업과 회과신에 관참리치를 셜명 죄슈들이 모다마암이 감동야눈물을 흘녓 죵금 이왕으로 일요일과 비오날에 의례셜명야들니기로 작뎡얏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방적월보_1971_23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화보 페이지없음 UNCTAD 일반특혜관세와 면제품수출 양한묵 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천도교회월보_1917_08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4 천인무이적체용 김문호 27 청산 양한묵 28 고장설환씨 서창수 2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7_07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삽영 광고1 신세일어(新歲一語) 양한묵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천도교회월보_1918_09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연구부 일반 양한묵 19 2년을 격한 경신 4월 5일 (속) 이종린 22 성령의 개발 화곡생 2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주제어사전(3)
-
양한묵 / 梁漢默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62-1919). 1902년 동학에 입교하고, 손병희 등과 함께 이용구로 하여금 진보회를 결성하게 했다. 1905년 귀국하여 헌정연구회를 조직했다. 1919년 2월 27일 김상규의 집에서 천도교 대표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했다. 3월 1일 오후
-
무체법경 / 無體法經 [종교·철학/천도교]
1910년에 간행된 천도교의 수행법을 밝힌 책.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하고,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무체법경이란 말은 무체지례(無體之禮)라는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동학운동과 갑진개혁운동 등 사회운동에 치중하였던 천도교가 사회운동보다 종교적 수행에 치중하기 위
-
국민수지 / 國民須知 [역사/근대사]
(憲政硏究會)에서 국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소개한 것이었다. 헌정연구회 평의원인 양한묵(梁漢默)은 서문(緖文)에서 모두 9장을 연재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제 연재된 것은 8장까지였다.그 목차는 ‘국가의 본의(本義)’, ‘국가급황실(國家及皇室)의 분별(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