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팽손” 에 대한 검색결과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8(성종 19)∼1545(인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 능성(綾城) 출신. 직장 사위(思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사복시정 담(湛)이고, 아버지는 이하(以...
    이칭별칭 대춘(大椿)| 학포(學圃)| 혜강(惠康)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양산숙의 조부이다. 홍문관 교리로 조광조와 함께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학포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9권 2책. 목판본. 1814년(순조 14)에 12대손 즙(楫)이 처음 간행했고, 1924년 후손 재경(在慶)이 능주(綾州)에서 중간하였다. 권두에 조형복(趙亨復)‧홍경모(洪敬謨...
  • 양응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9(중종 14)∼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공섭(公燮), 호는 송천(松川). 담(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하(以河)이고, 아버지는 교리 팽손(彭孫)이며, 어머니는 금산김씨(錦山...
    이칭별칭 공섭(公燮)| 송천(松川)
  • 양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에 올라와 기묘명현(己卯名賢)인 ()의 시호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선비들과 향음례(鄕飮禮)를 많이가졌으며 시작에도 매우 뛰어났다. 최익현(崔益鉉) 등 많은 사림들이 그의 시를찬탄하여 ‘풍아명어좌해(風雅鳴於左海)’라고 평하였다. 저서로는 『만희집...
    이칭별칭 경원(景遠)| 만희(晩羲)

고서·고문서(10)

  • ()의 『학포선생유집(學圃先生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學圃先生遺集』은 목활자본 5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시문을 형식별로 나누어 모두 10제 15수를 실었고, 권2에는 賦ㆍ辭 贊․銘․碣文․雜著․疏 등을 담았으며, 권3부터 마지막 권5까지는 부록으로서 사후 지어진 글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己卯黨籍」을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학포선생문집(學圃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양회락(梁會洛)의 『동계당유고(東溪堂遺稿)』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東溪堂遺稿』는 梁會洛의 시문집으로 아우 會龍이 遺稿를 정리하여 9권 2책 석인본으로 1946년간행하였다. 양회락은 학포 의 후손으로 능주지방의 대표적인 사족 가문 출신으로 기정진의 대표적인 문인인 정의림과 정재규의 학문을 전수받아 능주일대에 위정척사사상의 보급...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양상엽(梁相曄)의 『포운유집(圃雲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梁相曄의 자는 致三이고, 호는 圃雲이며, 본관은 제주이다. 아버지는 琪永이고, 어머니는 김해 金씨 正鳴의 딸이며, 의 후손으로 화순 쌍봉리에서 태어났다. 연재와 심석재 두 선생 문하에 나아가 학문하였고, 奇宇萬․ 鄭載圭․ 成大永․ 鄭範朝․ 李建昌․ 鄭義林․ 尹慈...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양응정(梁應鼎)의 『송천유집(松川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양응정은 조광조와 절의를 함께한 기묘명현 의 후손으로 가학을 계승하였으며, 두 번이나 장원 급제할 정도로 古文에 뛰어났다. 절구나 율시, 배율시, 고시 등 각종 시체에 능숙하였으며, 賦나 策에서도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글을 통해 당대 원숙했던 사림...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45(인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사위 증손, 할아버지는 담, 아버지는 이하, 어머니는 최혼의 딸이다. ,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으며, 또 현량과에 발탁되었다. 교리, 정언, 용담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포유집≫ 2

  • 심곡서원 / 深谷書院 [교육/교육]

    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 제향의 충렬서원(忠烈書院)에 입향하였다가 위패를 옮겨오게 되었다. 설립과 동시에 ‘심곡’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을 추가 배향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당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서, 선현 제향과 지방교육의

  • 죽수서원 / 竹樹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에 있는 서원. 1570년(선조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같은 해에 ‘죽수(竹樹)’라고 사액되었으며, 1630년(인조 8)에 ()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