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천주”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님을 항시 끊임없이 힘써 길러야만 된다는 설을 주장하였다. 최시형은 “내 핏덩어리가 아니거늘 어찌 시비하는 마음이 없으리오마는 만일 혈기를 생하면 도(道)를 상하게 하므로 내 이를 하지 아니하노라. 나도 역시 오장(五臟)이 있거늘 어찌 탐욕하는 마음이 없으...
  • 주재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받았다. 함교회(咸敎會) 주임, 모교인 성유스티노 신학교 교수를 거쳐, 1942년 전주교구의 제2대교구장으로 있다가 광복이 되자 1946년 제4대 대구교구장으로 서임되었다. 2년 뒤 춘천교구로 옮겨 홍천군 남면 소재 양덕원천주교회의 주임신부로...
    이칭별칭바오로
  • 최시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개하였다. 일본군의 개입으로 1894년 12월 말 동학운동이 진압되자 피신생활을 하면서 포교에 진력을 다하였고, 향아설위(向我設位)‧삼경설(三敬說)‧이심치심설(以心治心說)‧이천식천설(以天食天說)‧설(說) 등의 독특한 신앙관을 피력하였다. 1897년...
    이칭별칭 경오(敬悟)| 해월(海月)
  •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지역영농과 직결된 새로운 영농개발에 힘쓰고 있다. 매년 영천축제(祭)를 지역적 행사로 열고 있으며, 1986년 교악대(校樂隊)를 창설하여 정기적인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다. 교지 ≪서농 西農≫을 발간하였고, 1996년 ≪서농 60년≫을 간행하였다. 전국자...
  • 천도교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신‧독공‧성인지덕화‧천도와 유불선‧오도지삼황‧개벽운수‧부화부순‧부인수도‧향아설위‧용시용활‧삼경‧천어‧이심치심‧이천식천‧‧내칙‧내수도문‧십무천‧임사실천 10개조‧명심수덕‧수도‧삼재‧포덕‧오도지운‧강서‧강시 기타 시문 등이다. 제3세 교주 법설은 무체법경‧후...

고서·고문서(7)

  • 語, 樹州, 卽富平古號也。 前後守臣疏狀及御史, 書啓, 皆稱其便, 廟堂覆奏許之, 而未及擧行矣。 今若合設, 爲一大邑於孔巖津頭, 準備船隻, 多立津夫, 可以臨急艤待, 備儀扈駕, 而雖以捍衛江都之道言之, 移設通津, 使守甲串, 以爲重鎭, 使守孔巖, 限以一衣帶之水, 則其於防禦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上曰, 予缺言之矣。 曙曰, 戶判以賞格無數缺置於廳, 若以此木帖給軍缺必喜矣。 缺賞, 則渠不願受, 欲得帖字, 蓋以此地, 別無用處, 而莊輸不便, 故欲待還都而受用也。 若欲行賞, 則以江都等所在木綿, 爲帖給之甚便矣。 且渠輩, 最以告身爲榮, 而銀子則不願受也。 上曰, 然則爲空帖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上曰, 予缺言之矣。 曙曰, 戶判以賞格無數缺置於廳, 若以此木帖給軍缺必喜矣。 缺賞, 則渠不願受, 欲得帖字, 蓋以此地, 別無用處, 而莊輸不便, 故欲待還都而受用也。 若欲行賞, 則以江都等所在木綿, 爲帖給之甚便矣。 且渠輩, 最以告身爲榮, 而銀子則不願受也。 上曰, 然則爲空帖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樹州, 卽富平古號也。 前後守臣疏狀及御史, 書啓, 皆稱其便, 廟堂覆奏許之, 而未及擧行矣。 今若合設, 爲一大邑於孔巖津頭, 準備船隻, 多立津夫, 可以臨急艤待, 備儀扈駕, 而雖以捍衛江都之道言之, 移設通津, 使守甲串, 以爲重鎭, 使守孔巖, 限以一衣帶之水, 則其於防禦陸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 第十統統首金萬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8년_청양면(靑良面) 1768년 청양면(靑良面) 第九道士菴里 10 第十統統首金萬守 第一戶 閑良金萬守年參拾伍甲寅本金海父閑祖時貞曾祖弘桂外祖黃光札本昌寧妻車姓年參拾參丙辰本延安 父嘉善進雲祖永伯曾祖仁豪外祖辛致安本靈山率妻母辛姓年捌拾伍甲子等乙酉戶口相准 ...
    연도_면이름1768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九道士菴里

신문·잡지(1)

기타자료(3)

  • 령천주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827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35면 - 령천주창;昶 소화17년 3월2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궁주;南宮珠;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151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67면 (학과)본과신제도 남궁주;南宮珠;자;子 경기도 수원읍 남창정 95 16회 193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주철;梁柱鐵;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1240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47면 양주철;梁柱鐵;철;鐵 대덕군 東明공립국민학교 제2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천도교]

    사람의 몸에 한울님을 기른다는 뜻으로, 동학의 근본사상 가운데 하나. 사람의 몸에 이미 모시고 있는 바 그 한울님을 항시 끊임없이 힘써 길러야만 된다는 최시형의 주장이다. 는 동학의 사상적인 극의로서의 시천주의 자각 위에서만 가능하다고 볼 때, 이것은 시천주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