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전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4)
- 양전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회, 1972) 『삼‧일운동비사(三‧一運動秘史)』(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양전백 1869(고종 6)-1933. 독립운동가.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다.이칭별칭 격헌(格軒)
- 김이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아들 관근(灌根)과 함께 의주를 중심으로 용천ㆍ삭주 등의 평안북도일대를 순회 전도함과 동시에 교육 사업에도 힘을 쏟아 양전백(梁甸伯)ㆍ김진근(金振瑾)ㆍ한석진(韓錫晉) 등을 배출함으로써 초기 개신교회의 개척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가문은 6...이칭별칭 영수(永受)| 문암(文庵)
- 정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ㆍ장로교 목사. [내용] 평안북도 철산출신. 1915년평양 숭실대학을 졸업하고 선천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 교사로 부임하였다. 1919년 3ㆍ1운동이 일어나자 양전백(梁甸伯)ㆍ김석창...
- 주공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받았다. 1911년 8월 한국기독교사절단의 일원으로 일본교회를 방문하였는데, 당시 동행자는 양전백(梁甸伯)ㆍ장낙도(張樂道)ㆍ최병헌(崔炳憲) 등이었으며, 이 무렵 장ㆍ감 연합선교회 결정에 따라 동경한인연합교회 목사로 부임하게 되었다. 1914년...
- 주현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3‧1운동 때 33인 중 한 사람인 선천교회목사 양전백 (梁甸伯)에게 감화되어 항일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이른바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6년간 복역하였다. 1921년에는 상해로 망명, 흥사단에 가입하였고, 임시정부의 군자금조달에 진력하였다...
고서·고문서(4)
- 答蔓溪【乙卯十一月卄七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兩傳百千,不其愚乎?古有人聞意外大槌聲,驚而成疾,樸樕之聲皆忌,藥不能力,有醫焉令病人座外,不時作大槌聲,更一喫驚,連作百千聲,病則良愈。今欲更圖一會,以療鄕人之病,而懦不能振,深可恨也。一飯而肥,一飯而瘠,則人賤之,士君子相聚講學,乃偶一癲狂憸夫,飾辭詆毀,而崩墜心胆,如土委地,尙何望於進步成器耶...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기독교새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가치 ① 사전사적 가치 한국 개신교 전래 후 27년 만에 양전백 목사의 교열로 1911년 최초의 성서사전, 〈신약성서전림〉이 발간된 후, 여러 종류의 성서 사전이 편찬되었다. 그 후 기독교서회가 1960년 최초로 기독교 전반에 관한 사전 〈基督敎大事典〉을 발간한다. 이...대표표제어〈기독교새사전〉 해제 | 편저자기독교새사전편찬위원회(한영제) | 권수3책(1책 'ㄱ-수맛족속', 2책 '수문-힛데겔', 3책 (부록·색인)
- 武科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武科,不設初試,不限規矩,隨其多寡而取之,一年通計,至一千八百餘人。至今武士之不能制馬ㆍ不能彎弓者,必誚之曰庚辰年武科。自此以後,武選亦輕矣。然成宗ㆍ中宗之朝,別科之規,亦必六兩箭百二十步,騎射四中,講粗ㆍ通,然後參榜,故所取武士,皆傑然可用。至萬曆癸未,北虜尼湯介寇邊陷城,其時李珥主兵,建議爲防戍...권차명經世遺表 卷十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井田之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自別稱,不可遂以六遂爲四郊也。蓋此四郊之內,以近城之七萬五千家爲六遂,名之曰近郊,其餘家之在外者,名之曰遠郊也。六遂民戶七萬五千家,而其授田之法,良田百畝之外,又授萊田,少者五十畝,多者二百畝。若有山林ㆍ川澤ㆍ溝瀆之等,又在此中,則四嚮五十里之內,恐無以容此田地。此所以郊ㆍ遂割界,別無一定之明文也。...권차명經世遺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 신학지남_1933_15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천문강요(20) 이성휘 27 추도 故양전백 목사 31 주일학교선생의게 곽안련 3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기타자료(4)
- 양전백;梁甸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423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2면 양전백;梁甸伯 평안북도 선천군 읍내 신성동 제1회 1908년 戊申;1908년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전백;梁甸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양전백;梁甸伯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전백;梁甸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897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9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 제1회 졸업생 7인(1907년) 양전백;梁甸伯 평북 선천군 선천읍교회 목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12-1. 별첨 1―중대한 음모 (번역)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월 23일 서울 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R. 푸엥카레, 프랑스 외무부 장관 데라우치, 유동열, 양기탁, 맥큔, 스티븐스, 이토, 이완용, 하세가와, 양전백 데라우치 백작 암살 음모 중대한 음모 (번역) 서울 지방법원의 소송담당...집필자서울프레스 | 작성연도1916년 | 작성월일4월 23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R. 푸엥카레,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
-
양전백 / 梁甸伯 [역사/근대사]
1869∼1933.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호는 격헌(格軒), 평안북도 선천 출신이다. 26세에 기독교에 입교하여, 1897년 예수교장로회 전도사가 되었고, 1907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여, 선천 북교회에서 성직자 생활을 하였다. 1919
-
강규찬 / 姜奎燦 [종교·철학/개신교]
승훈·양전백 등과 함께 투옥, 2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출감 뒤 복직되기는 하였으나, 일본경찰의 심한 감시 때문에 1914년 사임하고, 선천북교회 전도사로 일했다. 1917년 평양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 목사가 되어 1936년까지 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