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재의식” 에 대한 검색결과 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정치적 기능이 천재지변에 대응한다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에 사용된 불교의식의 밀교경전은 『소재일체장다라니경(消災一切障陀羅尼經)』ㆍ『소재일체난다라니경(消災一切難陀羅尼經)』ㆍ『불설치성광대위덕소재길상다라니경(佛說熾盛光大威德消災吉祥...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행하는 천재지변의 소멸을 기원하는 종교의식. 양재를 목적으로 하는 불교의식은 문두루법(文豆婁法), 다라니의 송주 등 밀교의 비법으로 행하여진다. 고려시대에는 양재를 위한 불교의식이 궁전에서 자주 행하여졌다. 그것은 국왕의 정치적 기능이 천재지변에 대응한다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