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응정” 에 대한 검색결과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9(중종 14)∼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공섭(公燮), 호는 송천(松川). 담(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하(以河)이고, 아버지는 교리 팽손(彭孫)이며, 어머니는 금산김씨(錦山...
    이칭별칭 공섭(公燮)| 송천(松川)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양산숙의 아버지로 대사성을 지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최경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범(尹範)이고, 아버지는 천부(天符)이다. 경장(慶長)의 형이다. [내용] ()ㆍ기대승(奇大升)에게 수학하였으며, 1561년(명종 16)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영해군수 등을 지냈는데...
    이칭별칭 선우(善遇)| 삼계(三溪), 일휴당(日休堂)| 충의(忠毅)
  • 최경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朴淳)의 문인이다. [새애와 활동사항] 최경창은 백광훈(白光勳)‧이후백(李後白)과 함께 ()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555년(명종 10) 17세 때에 을묘왜란으로 왜구를 만나자, 퉁소를 구슬피 불어 왜구들을 향수에 젖게 하여 물리...
    이칭별칭 가운(嘉運)| 고죽(孤竹)
  • 정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있는 전라도 담양 창평당지산(唐旨山) 아래로 이주하게 된다. 이곳에서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10여년을 보냈다. 여기에서 임억령(林億齡)에게 시를 배우고 ()‧김인후(金麟厚)‧송순(宋純)‧기대승(奇大升)에게 학문을 배웠다. 또, 이이(李珥)‧성혼(成...
    이칭별칭 계함(季涵)| 송강(松江)| 문청(文淸)

고서·고문서(10)

  • ()의 『송천유집(松川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松川遺集』은 7권 3책의 목활자본이다. 의 글은 丁酉再亂 때에 대부분 유실되었으나, 의 손자 孫子 梁曼容이 100여 수를 모아 1650년淸風 郡守로 나갔을 때 愼天翊의 序文을 받고 간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만용이 1651년 타계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4213 B00421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3年 3月 10日_002 家何限, 而一時節義之聚, 亦莫如羅州故府尹之門也。 當倭寇充斥之日, 三京陸沈, 大駕西狩二十日, 肉食之徒, 皆捧頭鼠竄, 未聞有一人臨危蹈難, 出死力衛君父者, 而獨應鼎子生員臣梁山龍, 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373 B00437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3年 3月 10日_002 家何限, 而一時節義之聚, 亦莫如羅州故府尹之門也。 當倭寇充斥之日, 三京陸沈, 大駕西狩二十日, 肉食之徒, 皆捧頭鼠竄, 未聞有一人臨危蹈難, 出死力衛君父者, 而獨應鼎子生員臣梁山龍, 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기대승(奇大升)의 『고봉집(高峯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琢, 吳謙, 李後白, 李山海, 鄭澈, 鄭之雲, 金麟厚, 許曄, 盧禛, 成守琛, 尙震, 盧守愼, 崔慶昌, 梁, 蘇世讓등 사림출신의 당대의 정치가나 학자, 그리고 호남지방의 많은 문인과도 많은 시를 주고 받았다. 권2는 雜著이다. 表 10편, 祭文...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519(중종 14)∼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담 증손, 할아버지는 이하, 아버지는 팽손, 어머니는 김화의 딸이다. 응태의 아우이다. 1552년(명종 7)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공조좌랑, 진주목사, 공조참판,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 김질 / 金質 [종교·철학/유학]

    기대승·과도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영모록』·『육사자책설』이 있다.

  • 백광훈 / 白光勳 [종교·철학/유학]

    1537년(중종 32)∼1582년(선조 15). 조선 중기의 시인. 아버지는 세인, 어머니는 신광통의 딸이다. 형인 광안과 광홍 및 종제 광성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노수신 등에게서 수학하였다. 예빈시, 소격서 참봉을 역임하였다.

  • 정철 / 鄭澈 [정치·법제/법제·행정]

    1536-1593. 조선 중기 문신 겸 시인. 당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와 함께 한국 시가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진다. 기대승·김인후·의 문하생. 어려서 인종의 귀인인 맏누이와 계림군 유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로 인하여 궁중에 출입하였는데 이 때 어린

  • 최경회 / 崔慶會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충 후손, 혼 증손, 할아버지는 윤범, 아버지는 천부이다. 경장의 형이다. ·기대승에게 수학하였으며,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영해군수, 경상우병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