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산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3)
- 양산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太學志 文化遺蹟總覽(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77) 慶尙南道誌(慶尙南道, 1978) 梁山鄕校誌(梁山郡,...연계항목양산향교(梁山鄕校)
- 효경구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효경』의 본문에 차자표기로 구결을 단 책. [내용] 1권. 목판본. 한문으로 된 「정속편(正俗篇)」과 합철되어 있는데, 장서기에 의하여 1521년(중종 16) 경상도의 양산향교(梁山鄕校)에 수장된 책임이 확인되므로 늦어도 16세기초의
- 양산시(경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안적암(安寂庵,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등이 있다. 교동에 양산향교(梁山鄕校,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옛 웅상읍 신곡리에 (于佛山神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87호), 상북면 소토리에 소로서원‧소계서원, 물금읍 가촌리에 송담서원...
고서·고문서(2)
- 1897년 영산향교(靈山鄕校)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91년 1월 9일, 응와 이원조(1792~1872)의 문집과 관련된 사건으로 영산 향교에서 성주 향교에 보낸 통문이다. 성산이씨 가문에는 이 당시(1896~1897년)에 각지의 향교 등 단체에서 보낸 13건의 통문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두 이재의와 이봉우의 잘못을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학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2(壬午)에 비석을 세웠는데 1740(庚申) 저자가 宜春(=宜寧)에 있을때 사람들과 뜻을 모아 비각을 세웠다. 고을 사람들이 김해일 덕분에 살게되었다면서 고마워했던 내용이 실려 있고, 후반부에는 비각을 세울때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줬던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다. 梁山鄕校移...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양산향교 / 梁山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양산시 교동에 있는 향교. 1406년(태종 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위패는 유생 정호인(鄭好仁)이 송림정결처(松林淨潔處)에 매안(埋安)하여 화를 면하였다. 1603년(선조
-
영산향교 / 靈山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교리에 있는 향교. 조선 중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4년(선조 37) 중건하였다. 1959년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
효경구결 / 孝經口訣 [언어/언어/문자]
『효경』의 본문에 차자표기로 구결을 단 책. 한문으로 된 「정속편(正俗篇)」과 합철되어 있는데, 장서기에 의하여 1521년(중종 16) 경상도의 양산향교(梁山鄕校)에 수장된 책임이 확인되므로 늦어도 16세기초의 간본으로 추정된다. 이 『효경』은 18장으로 된 이른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