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명학” 에 대한 검색결과 3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9)

사전(1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어서는 성의, 정심으로 통일을 이루는 간이한 이론이 세워진다. 격물에서의 물(物)은 심(心)의 물인 까닭에 정심(正心)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있어 격물은 정사(正事)‧정물(正物)이고, 위선거악일 뿐이다. 주자학과 의 구별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나라 유학자 왕수인에 의해 주창된 유교의 한 계통
    정의명나라 유학자 왕수인에 의해 주창된 유교의 한 계통 | 문광부표기Yangmyeonghak | MR표기Yangmyŏng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학(儒學), 송명이학(宋明理學) 조선(朝鮮) 박은식(朴殷植), 사구교(四句敎), 송진우(宋鎭禹), 심즉리(心卽理), 왕수인(王守仁), 정감주의(情感主義), 지행합일(知行合一), 치양지(致良知), 심학(...
    상위어유학(儒學), 송명이학(宋明理學) | 하위어조선양명학(朝鮮陽明學) | 관련어박은식(朴殷植), 사구교(四句敎), 송진우(宋鎭禹), 심즉리(心卽理), 왕수인(王守仁), 정감주의(情感主義), 지행합일(知行合一), 치양지(致良知), 심학(心學)
  • 연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학자 정인보(鄭寅普)가 쓴 에 관한 논문. [내용] 1933년 9월 8일부터 12월 17일까지 ≪동아일보≫에 발표하였다. 그 뒤 1955년 8월 20일 문교사(文敎社)에서 ≪담원국학산고 薝園國學散藁≫를 간행하면서 제4편에 게재하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유학자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의 저술로, 제자인 정제두(鄭齊斗, 1649-1736)가 양명학(陽明學)에 기우는 것을 경계하여 지은 글.
    정의조선 후기 유학자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의 저술로, 제자인 정제두(鄭齊斗, 1649-1736)가 양명학(陽明學)에 기우는 것을 경계하여 지은 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Wang Yangmyeong hakbyeon | MR표기Wang Yangmyŏng hakp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2)

  • 저자 : 김윤경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
    본서는 근대 격변기 속에서 속일 수 없는 자기 본심을 자각하고 ‘실현’해 나간 양명학 수용자들의 독자적인 심학을 ’실심실학’으로 규명하고 그것이 역사적 시공간을 관통하여 국학으로 귀결된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실심실학자들의 중심에는 정제두 이래 양명학을 주체적으로 수용...
  • 저자 : 엄연석, 양일모, 강중기, 이원석, 한정길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본서는 19세기 말 이후 서기(西器)의 충격과 도전이 격화되던 시대적 전환기에 지식인들이 동도(東道)를 기초로 한 ’서기’의 수용이라는 소극적 대응으로부터 ’서도(西道)’까지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동서문명의 지평융합과 역전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고서·고문서(8)

  • 심조가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皮封 宮湖門下執事 / 文丈前 謹拜上候書 已意賢咸赴擧 纔詠前書 以付杏湖 卽伏承下惠書 恭審花辰道體萬福 何等伏慰 且聞近來啓居 多在山中 春心晝永 想當日有佳趣 無由陪杖屨徜徉於其間 只增神往而已 奈何 老先生遺稿校過幾許 而何當畢手耶 辨 未及細看 而略士規上面三四條 其論學問及義理...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馳者, 辭闢廓如, 嘗著辨, 觝排其中毒迷惑者, 劈折頭腦, 殆斬釘絶鐵。 資稟粹美, 玉溫金精, 義理辨晢, 日光霜潔, 剛柔俱備, 體用竝全, 和風甘雨之氣像, 兼包春生秋殺之規模, 求之表裏而粹然, 考之本末而無瑕, 眞聖世之眞儒, 百代之師表。 設令有先正一長論, 以向所稱四者之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_王陽明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와세다대본에는 ‘之言’으로 되어 있다. , 而只去上一條也. 術, 雖甚頗僻, 其自好則亦不淺矣, 虐民瀆貨, 其有是耶? 余觀, 陽明十家牌法, 奸僞無所容, 卽必可施者也. 然猶近苛覈豪猾, 不樂者必歸之虐政. 卽登之言, 或指此類而云耳.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하곡선생조천기(荷谷先生朝天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廟從祀)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였다. 주자학의 정통성과 의 이단성에 대해 논하였고, 북경에 가서는 문묘에 배향하고 배향된 자에 대해 특별한 관심과 포폄(褒貶)을 표명하였다. 이 외에도 명나라 관리나 각종 문건등을 통해 명나라 정치 현실을 파악하려는 적극적 자세를 보...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전우(田愚)의 『간재집(艮齋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양명심리설변(陽明心理說辨)」은 〈문헌〉『안(案)』〈/문헌〉의 여러 조목들을 인용하며 반박하는 글이다. 권 16은 서(序) 23편, 기(記) 21편, 제발(題跋) 32편, 명(銘) 13편, 찬(贊) 1편, 고축(告祝) 7편 등이다. 권17은 제문(祭文) 19...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기초학문(105)

  • 한국의 생명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정, 게재일 : 2006
    01831 김세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06 한국의 생명사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79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朝鮮後期 蕩平政治와 政治思想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준석, 게재일 : 2002
    10872 김준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2 朝鮮後期 蕩平政治와 政治思想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明末의 개체 욕망 긍정 경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40482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明末의 개체 욕망 긍정 경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鄭齊斗 의 陽明右派的 特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47864 한국연구재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鄭齊斗 의 陽明右派的 特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경재의 과 민족정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천병돈, 게재일 : 2015
    59716 천병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 2015 경재의 과 민족정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

멀티미디어(2)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17)

  • / [종교·철학/유학]

    명나라의 왕수인(1472∼1528)에 의해 주창된 유학의 한 계통. 왕수인은 송의 육구연과 명의 진헌장의 심학을 계승하고, 격물궁리(格物窮理)를 추구하는 주희의 주지주의적인 이학과 대립하는 간명직절한 심학을 완성해 치양지학(致良知學).

  • 정제두 / 鄭齊斗 [종교·철학]

    1649-1736. 조선 후기의 자.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활동에 전념하였다. 당시 이단시하던 을 고집하여 조선 의 태두가 되었다. 그는 심즉리설에 입각하여 주자학의 성즉리설을 비판했다. 저서로는 <하곡집>이 있다.

  • 이종휘 / 李種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자·역사학자(1731∼1797). 소론의 자로 주자학의 폐쇄성을 비판하고 왕수인을 극찬하였다. 단 왕수인은 《대학》에 오류가 있어 《대학》에서는 주희가 옳고 심학에서는 왕수인이 정당한 것으로 양면적 긍정을 하고 있다. 또 독자적인 사학체계를

  • 허균 / 許筠 [종교·철학/유학]

    조선 광해군때의 자. 1569-1618. 광해군 당시 폐모론을 주장하는 대북파에 가입했다. 그리고 반란을 계획했으나 실패하여 참형당했다. 그는 뿐 아니라 불교와 도교, 나아가 서학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다. 또 <홍길동전>을 지어 당시 봉건사회의 신분

  • 이긍익 / 李肯翊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6∼1806). 이이·김장생·송시열 등 서인계열의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파에 속했으며, 실학을 연구한 고증학파 학자였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로는《연려실기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