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양대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1)
- 양대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양대박 비각이칭별칭 사진(士眞)| 송암(松巖), 죽암(竹巖), 하곡(荷谷), 청계도인(靑溪道人)| 충장(忠壯)
- 양대박(梁大樸)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476 인물 양대박(梁大樸) 양대박 梁大樸 1544 1592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사진(士眞), 호는 송암(松巖)‧죽암(竹巖)‧하곡(荷谷)‧청계도인(靑溪道人). 1591년 3월, 일본 사신...유형분류인물
- 안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창의기병(倡義起兵)하니, 옥과(玉果)의 유팽로(柳彭老)가 호응하여 모여든 의병 6,000여명을 거느리고 전주를 지나 여산(礪山)에 머물렀다. 적을 멸하고 서울에 있던 어머니를 찾아 충효를 다하려고 양대박(梁大樸)과 더불어 고경명 휘하에 들어갔다. 전라감사 이...이칭별칭 원서(元瑞)
- 용만문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한을 수록하기도 하였다. 끝에는 전라도에서 의병을 일으킨 양대박(梁大樸)의 사적을 기록한 「양대박창의록(梁大樸倡義錄)」이 첨부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용만문견록연계항목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 양형우(梁亨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506 인물 양형우(梁亨遇) 양형우 梁亨遇 1570 16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발(子發), 호는 동애(東厓). 의병장 양대박(梁大樸)의 차남. 1603년 식년시(式年試) 진사시, 16...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6)
- 양대박 치제문(梁大樸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금강산기행록(金剛山紀行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금강산기행록(金剛山紀行錄) 양대박(梁大樸) 金剛山紀行錄 梁大樸 ‘金剛’之名, 未知始何代. 佛經云, “渤海中三萬里, 有金剛山, 金仙所會處.” 又云, “金剛者, 如人食金, 終不消滅. 然則山之骨子, 亦剛氣所鍾, 後天地而猶不爛也.” 二說皆有所據. 山名有六, 曰金剛, 曰皆...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양대박(梁大樸)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추안급국안 : 신유년(1801, 순조 1)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治送有一果得周文謨是乎乃文謨出來之 後藏匿甚難事將綻露故諸議又以爲神父一人其勢甚孤西 洋大舶不可不邀致是如云云是乎矣伊時則矣身果未參聽 是遣乙卯年周文謨下來矣家時要貸三百兩錢曰吾欲買舍 而池洪處所付銀子姑未推出待其收舍當卽報償云故矣兄 果依其言貸錢矣又於丙辰冬文謨欲通信中原而難其人故 矣身兄弟與尹...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5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擬請疏通庶孼疏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呼! 儒宗文師, 磊落相望, 一轉而局於名分之論, 再轉而屈於門地之尙. 宋翼弼、李仲虎、金謹恭之道學, 朴枝華、李大純、曺伸之行誼, 魚無迹、魚叔權、楊士彥、李達、辛喜季、梁大樸、朴淲 淲 : 신호열·김명호 옮김 『연암집』에는 ‘箎’의 오자인 듯하다고 하였음. 之文章, 柳祖認、崔命龍、柳...대표표제어擬請疏通庶孼疏 | 목차孔雀舘文稿○疏
- 영동산수기(嶺東山水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붉도다[鳴沙十里海棠紅]’라고 한 것 명사……것 : 원문의 ‘鳴沙十里海棠紅’은 고려 때 승려 선탄(禪坦)이 읊은 시의 한 구절이다. 이후 금강산을 유람하는 이들에게 알려져 양대박‧윤휴 등의 유람록에서 자주 언급되곤 하였다.이다. 말발굽 소리를 말한다면 위와 아래로 천 리...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최유해(崔有海)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
- 청계 양대박의 지리산 읽기, 두류기행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6136 한국연구재단 동방한문학회 2011 청계 양대박의 지리산 읽기, 두류기행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11
기타자료(1)
- 밀양읍성 -밀양읍성 기초자료조사 및 기본설계용역 결과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2002 밀양시/밀양대학교 박물관 324 이호열,곽종철,문백성,금동욱 이호여,곽종철,문백성,남훈철,이진주,금동욱 밀양대박물관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318-2 경상남도 밀양시 3,200㎡ 밀양시는 경상남도기념물 제167호로 지정...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밀양시/밀양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3)
-
양대박 / 梁大樸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관으로서 아들 경우와 가동 50명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같은 해 6월 고경명이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고경명을 맹주로 추대하고 유학 유팽로와 함께 종사관으로 활약
-
용장서원 / 龍章書院 [교육/교육]
배향하였다. 그 뒤 김구용(金九容)과 양대박(梁大樸)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그 뒤 유림에 의하여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청계집 / 靑溪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인·의병장 양대박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은 시 312수, 권2는 시 115수, 권3은 내조한 왜사(倭使)를 참하자는 내용의 「청참왜사서상송강정상국 請斬倭使書上松江鄭相國」, 임진왜란 때에 창의모병의 격문인 「창의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