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양기탁” 에 대한 검색결과 1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

사전(8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동녕과 이회영을 만주로 보내어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와 독립군 기지를 세우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안명근(安明根)에 의한 군자금 모금 사건이 일어나자 신민회의 독립군 기지 창건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1911년 1월 등 16명을 체포, 구금하...
    이칭별칭 우강(雩岡)
  • 의성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0년 만주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설립목적] 편강렬(片康烈)ㆍ()ㆍ남정(南正) 등이 중심이 되어 조국의 광복과 자유독립국가의 완성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실천행동으로 대원 양성ㆍ농촌 부흥ㆍ친일분자 숙청ㆍ일본인 기관 파...
    이칭별칭정의부(正義府)
  • 안윤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7(고종 14)∼1944. 독립운동가. [내용] 황해도 송화 출신. 1907년 4월 ()‧안창호(安昌浩)‧전덕기(全德基) 등을 중심으로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로서 신민회(新民會)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황...
  • 김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락을 취하다가 12월 일본경찰에 붙잡혀 서울로 이송, 2개월간 악형과 고문을 받다가 유동열‧()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1920년?전라남도 광양지방의 부호들로부터 군자금으로 6만7천원을 모금하여 신태현(申泰鉉)‧ 등에게 전달하고, 미국 의원단이...
    이칭별칭 소아(素我)
  • 이덕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6(고종 13)∼?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남도 평양 출신. 1907년 9월 일제의 침략이 가중되어 국운이 위태로워지자 안창호(安昌浩)ㆍ()ㆍ이갑(李甲) 등과 항일민족운동단체인 신민회(新民會)를 결성하였다....

고서·고문서(6)

  • 敏曰, 如有實蹟之可褒者, 多士齊籲, 實係公議, 豈惜其勞, 而至於無實蹟而干恩者, 或有收斂資糧, 自有沾漑之益, 故此是惟利是取之徒, 而至於御史所奏, 俱行毅烈, 誠可尙矣。 上曰, 東萊物衆地大乎? 愚在曰, 東萊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주한영국총영사 퇴임과 언론 보도에 관한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A.17658 보고 주한영국총영사 Cockburn이 귀국휴가 떠남. 휴가 후 은퇴 예정. 일본 신문 등은 Cockburn의 퇴임을 베델, 옹호와 연관짓고 영국정부가 Cockburn을 소환헀다고 보도함. 주일영국대사는 Cockburn에 대한 일본언론...
    대표표제어주한영국총영사 퇴임과 언론 보도에 관한 보고 | 발신자 | 수신자뷜로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干恩者, 或有收斂資糧, 自有沾漑之益, 故此是惟利是取之徒, 而至於御史所奏, 俱行毅烈, 誠可尙矣。 上曰, 東萊物衆地大乎? 愚在曰, 東萊之繁華, 無異於全州矣。 上曰, 慶尙道土俗人物, 與京畿何如乎? 愚在曰, 嶺外本是質樸, 不尙華飾, 故未與京等耳。 上曰, 書啓外, 又有民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蓋曰人臣事君, 不徒以趨走承命爲禮, 而必以分爲義, 故義之所在, 禮有時而變。 然則可就而不就, 可去而不去, 均爲不義, 而其所以藉手事君者, 不過一義字而已。 臣本才識蔑蔑, 百無一取, 則前日之冒膺, 固未知必合於義。 然河陽晨炊, 君子有取焉, 則才識堪否, 在所不論, 而百世尙論...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丙寅 4월에 집안 동생 檾이 집안 형님에게 보낸 간찰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人檾拜 自春以後漠未嗣音居常嚮迋 與日俱長卽玆初夏伏未審 靜連向康安子婦將 稚善樣否仰溯且鬱族弟連以 風頭齒痛浹旬呻苦是爲憫事 季女新婦禮定在今二十四日凡具 卒難措備愁亂不可言窮節治 送初非所料而只緣有緊故不得 已以未暑前送去勢也柰何大 松山事俄聞安東新官下來 擬爲呈狀於山陽市邊其或如 意而無...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3)

  • 민세안재홍전집 : 新聞人淪落記(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61 1935 7 28 19 19 民世學人 안재홍 舊韓末年 新聞人淪落記(下)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논문 문화 직접자료 4권 庚戌變局 吳世昌, , 申菜浩, 張道斌, 李鍾麟, 朴容萬 A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glass Cater) 54 신문인평전-한제국말 언론계의 두거벽-장지연과 최준 60 기자들에 대한 폭력사건후문 6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 잊혀지지않는 사람들-현진건 군 박종화 138 138~143쪽만 따로 기사 분할할 것. 잊혀지지않는 사람들- 선생 이상협 144 144~152쪽만 따로 기사 분할할 것.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4

기타자료(13)

  • 27. 한국인 체포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27. 한국인 체포에 대하여 n° 20. Au sujet de l’arrestation du Coréen Yang Ki Taik C, E 정치 법제, 사회 문헌, 사건, 인물 근대 한국 고서/고문서 한국인 체포에 대한 보고 ...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3월 05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38. 안명근과 재판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38. 안명근과 재판 n°48. Procès An Myöng-keun et Yang Ki-taik C, E, N 정치 법제, 사회, 국제 문헌, 인물 근대 한국 고서/고문서 안명근과 재판에 대한 보고 총독 암살, 기소장, 종...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7월 25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 38-1. 별첨 1―「서울 프레스」의 에 대한 기소장 요약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38-1. 별첨 1―「서울 프레스」의 에 대한 기소장 요약 Seoul Press du 12 Juillet 1911. Résumé de l’acte d’accusation concernant Yang Ki-taik C, K, N 정치 법제, 언론 출판, 국...
    집필자서울 프레스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7월 13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 27. 조선인 공모자들에 대한 소송과 판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6년 10월 02일 서울 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R. 푸엥카레, 프랑스 외무부 장관 데라우치, 윤치호, , 임치정, 이승훈, 안태국, 유동열, 나가이, 이강, 김응록 데라우치 백작 암살 기도 지난 9월 2일 제 65호 보고서를...
    집필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6년 | 작성월일10월 02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R. 푸엥카레, 프랑스 외무부 장관
  • 28. 한국인들이 꾸민 음모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을 비롯한 몇몇 혐의자들이 우리 국민인 트레물레 씨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언론―이번 음모에 대해 단 한 줄도 실을 수 없는 한국 언론 얘기가 아니라―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르면, 이 봉기에 쓸 기금 마련을 위해 한국 부유층과 교섭을 하다가...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3월 24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크뤼피,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언론인(1871∼1938). 만민공동회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대한협동회를 조직하였다.《대한매일신보》를 발행하고 독립운동에 힘썼다. 상해로 가서 광복운동에 종사하였다. 임시정부 국무령에 추대되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데라우치암살미수사건 / 寺內正毅暗殺未遂事件 [역사/근대사]

    1910년 12월 안명근이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를 사살하려던 항일투쟁. 1910년 10월 1일부터 위압을 떨치기 시작한 조선총독부는 이 의거를 계기로 105인 사건을 일으켜 민족지도자 윤치호, , 이승훈 등을 전국에 수배, 일제히 검거하였다.

  • 이동녕 / 李東寧 [역사/근대사]

    합격하였고, 다음해 아버지를 따라 원산으로 가서 육영사업에 조력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에 가담하였고, 1904년 한일협약이 강제 체결되자 전덕기‧()‧신채호(申采浩)‧조성환(曺成煥) 등과 함께 청년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1929년 김구(

  • 전덕명 / 全德明 [역사/근대사]

    활동하였다. 이해에 남만주 각 단체 통일후원회를 조직하여 단체통합을 주선하다가 마적에게 체포되어 고생한 바 있다. 1922년 ()과 같이 각단체통합을 목표로 통일위원회를 구성하고 선전공작대(宣傳工作隊)를 조직, 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그 결과 한족회(韓族會)

  • 양한위 / 梁漢緯 [역사/근대사]

    1883-1949.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옥천 출생. 1910년 8월 나라를 잃게 되자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독립운동에 뜻을 둔 맹보순(孟甫淳)·()·이병옥(李秉玉) 등 10여명과 수시로 회합, 협의하면서 독립운동의 기본방략을 수립하고 그 기반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