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야철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22)
- 야철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철 생산과 관련된 작업이 이루어진 모든 작업장. [개설] 야철지(冶鐵址)는 철을 생산하고 벼리는 모든 작업공정을 포함한 모든 제철유적을 말한다. 제철로, 제련로 또는 정련로, 단야로와 대장간, 그리고 작업장과 부속 시설물로서 풀무, 노이칭별칭제철유적
- 동래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산시 동래역 앞쪽에 위치하는 낮은 구릉지대의 서남부 경사면과 그 주변의 저습지에 형성된 패총(貝塚: 조개무지)과 야철지(冶鐵址) 유적. [개설] 이 유적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 동해남부선 철도공사 중 4개의 독널(甕棺)이...
- 고성송학동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웃하고 있으며, 회색경질토기‧골각기 등이 채집되었다. 그러나 유적 자체가 표토채집일 뿐이고 뚜렷한 유구(遺構)를 보이고 있지 않아 교란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출토유물로 미루어 동외동패총과 같은 성격의 것으로 여겨지는데, 동외동패총에서 야철지(冶鐵址...
- 동외동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질과 함께 청동기조각과 토기조각 등이 대량 출토되어 긴급구제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유적의 중요성을 감안, 영구보존을 위하여 동아대학교가 매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이 발굴조사에서 야철지(冶鐵址)‧널무덤[土壙墓]‧돌널무덤[石棺墓]‧독무덤[甕棺墓] 등의 각종 유...연계항목동외동패총(東外洞貝塚)
- 개천묵방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마련하였다. 고인돌과 함께 후대의 적석무덤[積石塚], 산성(山城), 가마터[窯址], 야철지(冶鐵址) 등 여러 시기의 유적이 있다. 또한 까치산 서쪽 기슭의 남북으로 뻗은 구릉에는 암석들이 노출되어 있고 고인돌의 석재를 떼어낸 자국들이 남아 있다. [내용] ...
고서·고문서(1)
- 鴨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淮移咨,欲於中江市,許用銀子,朝廷重其事,請令大臣議.於是群議,皆不欲聽其用銀,傳曰"未來之利害,縱難逆覩,已奉之聖旨,實深惶懼. 高之前後耿耿移牒於我者,只是魂迷於把參與銀錢耳.其不肯因許參之喜,而捨銀子也必矣.流涎之極,必至咆哮.一趺之悔,臍不可噬.其差官之若張·若李·若鐵之徒,往來如擲梭,出入...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멀티미디어(3)
- 함안 월촌리야철지 시굴조사 보고서 ss1-0306_#1 유구 도면 1. 유적 위치도 2014-10-11_0.9424707_도면 1. 유적 위치도.JPG ss1-0306_#2 유구 도면 3. 트렌치 위치도 2014-10-11_0.3제목함안 월촌리야철지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터‧빈대절터-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터‧빈대절터- cc2-0054_#1 유구 도판 5. 건물지 전경 2014-12-21_0.910763_도판 5. 건물지 전경.jpg cc2-0054_#2 유구 도판 7. 남편건물제목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터‧빈대절터-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중부내륙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h2-0077_#1 유구 사진7. 야철지① 2013-07-09_0.9201471_사진7. 야철지①.jpg h2-0077_#2 유구 사진29. 오궁리 원터 2013-07-09_0.37제목중부내륙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3)
- 함안 월촌리야철지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ss1-0306 유구 2014-02-16_0.6984827_함안 월촌리 야철지 시굴조사보고서 표지.jpg 함안 월촌리야철지 시굴조사 보고서 咸安 月村里冶鐵址 試掘調査 報告書 2004/02 국립김해박물관 46 손명조,윤태영 배진성 국...발행연도2004/02 | 발굴기관국립김해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터‧빈대절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cc2-0054 유구 2014-01-15_0.5924951_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지‧빈대절터- 표지.jpg 고창 아산댐 수몰지구 발굴조사보고서-청자요지‧야철지‧일명사터‧빈대절터- 高敞 雅山댐 水沒地區 發掘調査報告書-靑...발행연도1985/02 | 발굴기관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한국전력공사 영광원자력건설사무소 | 발굴지역전라북도
- 충주 첨단지방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노계마을 고려시대 야철유적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교열:강경숙,김용성박중균 중원문화재연구원 충북 충주시 이류면 본리 535-10번지 일원 충청북도 충주시 127˚ 39’ 10” 36˚ 47’ 40” 11,718㎡ 충주 노계야철지 유적은 첨단지방산업단지의 진입도로 개설공사로 인해 구체적인...발행연도2011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중부내륙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없다. 그러한 까닭에 공사예정구간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져 문화유산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유적의 보존과 그 성격을 밝히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은 당연하다. 발굴전에는 야철지는 개간되어 밭(고추밭 등)이나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었으며,...발행연도199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울산권 광역상수도(대곡댐)사업 편입부지내 1차 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있었으며, 이 배수로의 북동쪽은 비교적 경사가 심한 편이다. 1999.09.06~1999.11.12 Ⅰ.조사내용 1.장천사지 2.방리 야철지 3.방리 사지 4.방리유적Ⅱ / Ⅱ.맺음말 / 부록 금번에 실시한 1차 발굴조사는 대곡댐 전체 수계로 보아 하류지역에...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울산광역시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3)
-
야철지 / 冶鐵址 [역사/선사시대사]
철 생산과 관련된 작업이 이루어진 모든 작업장. 야철지(冶鐵址)는 철을 생산하고 벼리는 모든 작업공정을 포함한 모든 제철유적을 말한다. 제철로, 제련로 또는 정련로, 단야로와 대장간, 그리고 작업장과 부속 시설물로서 풀무, 노 보호시설, 원료 야적장 등을 모두 포함한
-
고성송학동패총 / 固城松鶴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에 있었던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출토유물로 미루어 동외동패총과 같은 성격의 것으로 여겨지는데, 동외동패총에서 야철지(冶鐵址)·널무덤[土壙墓]·돌널무덤[石棺墓]·독무덤[甕棺墓] 등의 유구와 각종 철기 및 칼자루끝장식[銅劍把頭飾]·한
-
동외동패총 / 東外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동외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현재 유적의 중요성을 감안, 영구보존을 위하여 동아대학교가 매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이 발굴조사에서 야철지(冶鐵址)·널무덤[土壙墓]·돌널무덤[石棺墓]·독무덤[甕棺墓] 등의 각종 유구(遺構)와, 탄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