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애치슨 라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2)
- 외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키고 중국의 티토(Tito)화를 기대하면서, 1949년 말과 1950년 초에 걸쳐 중공이 대만을 점령하더라도 이는 중국의 국내문제로 본다는 태도를 표명하였다. 이어 1950년 1월 12일 미국의 국무장관 애치슨(Acheson,D.)은 미국의 극동정책연설에서 한국...
- 한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립은 한국전쟁을 초래하였다. 북한은 광복 직후부터 소련의 원조를 받아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었다. 정부수립 이후 중국이 공산화되고 미국의 애치슨라인이 발표되는 등 남침에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자 1950년 6월 25일 남침을 감행하였다. 서울이 3일 만에 함락되는...
신문·잡지(14)
- 51. 캔자스라인에 관한 제안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 베이징 기타자료 휴전협정 관련 상황 보고 미국, 적대행위, 외무군사위원회, 소련, 말리크, 북한, 공산군, 평화, 백색 평화, 중국, 전쟁, 한국, 워싱턴, 38선, 분단, 애치슨, 개성회담, 비무장지대, 캔자스라인, 개성, 조이, 리지웨이, 국무부, 긴...대표표제어51. 캔자스라인에 관한 제안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1년 8월 | 작성일25일
- 중국의 한국전 출병 시말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되는 과정까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음. 소련이 북한의 남한 정복 계획을 승인하게 된 것은 당시 미국이 발표한 방위선인 애치슨라인에 한반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임. 즉, “미국이 남북한 사이의 내부충돌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 확실”시 되었으므로 한반도를 탈취해 일...대표표제어중국의 한국전 출병 시말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양규송 | 출처『한국전쟁과 중국』(pp.283-328) | 키워드한국전쟁, 중공군 개입, 애치슨라인, 미국 방위선, 소련 개입
- 미국의 한반도 정책 관련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장에 대해 러스크는 이것은 상당히 한국정부에 “민감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이며 가능한 전략을 진지하게 고려해야한다고 조언함. 이승만 대통령은 이에 대해 코널리 의원의 ‘비합리적인 발언’을 비판하였음을 언급하고, 애치슨라인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인한 한국 정부의 불안 등도...대표표제어미국의 한반도 정책 관련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미국무부(Dean Rusk 외) | 출처FRUS, 1950, Vol.7(pp.64-66,77-78,88-89,96-98,106-109) | 키워드코널리(Senate Tom Connally), 한반도 방어, 전략적 가치, 이승만, 애치슨라인, 덜레스(John Foster Dulles)
- A Report to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by the Secretary of Defense 외 1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y S. Truman Library & Museum 서신/정책보고서 11 이 문서는 중공에 대항하는 미국의 전략적 입장을 정리하고 있음. 또한 한국 문제에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할지도 함께 제시됨. 미국의 목표는 ‘애치슨라인’의 고수, 아시아의 다른 국가들로...대표표제어A Report to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by the Secretary of Defense 외 1건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Harry S. Truman | 출처Harry S. Truman Library & Museum | 키워드미국, 중공국, 애치슨라인,공산주의 확산, 망명정부, UN 제재, 대(對)아시아 정책
- 전란의 와중에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0년 6.25전쟁 당시 정부 사회부장관을 지낸 허정의 회고록임. 6.25전쟁이 발발하자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 부처 각료들과 각계 인사들은 서둘러 남쪽으로 피신함. 애치슨 라인의 조정으로 미국의 아시아 정책이 소극화되고 남한 정부의 안일한 국방태세로 인해 갑작스러운 남...대표표제어전란의 와중에서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허정 | 출처내일을 위한 증언』 (서울: 샘터사, 1979)(pp.165-179) | 키워드6.25전쟁, 서울 점령, 이승만 대통령 피신, 9.28 서울수복 미군 참전, 중공군 개입, 1.4후퇴, 국민 구호
주제어사전(1)
-
애치슨 라인 / Acheson Line [정치·법제/외교]
1950년 1월 미국 국무장관 애치슨이 발표한 태평양에서의 미국의 방위선. 대중공정책상 태평양에서의 미국의 방위선을 알류샨 열도 - 일본 - 오키나와 - 필리핀을 잇는 선으로 정한다는 내용이다. 그 결과 한국과 대만이 방위선에서 제외되었고, 이것이 6.25전쟁 발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