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앙부일구” 에 대한 검색결과 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평면인 것, 연직으로 벽면을 이룬 것 등이다. 그 중 1434년(세종 16)에 세종이 장영실(蔣英實)에게 명하여 만든 는 중국에도 없었던 발명품으로 유명하며, 이것을 흠경각(欽敬閣)에 설치하고,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앞에도 비치하여 대중에게 이용하...
    이칭별칭앙부일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세기 전후에 제작된 해시계. [내용] 보물 제845호. 오목해시계인 는 1434년(세종 16)에 세종이 장영실(蔣英實)에게 명하여 만들었으며, 당시의 는 지금 남아 있지 않다. 18세기 전후의 것이 남아 있으며 그 가...
    연계항목앙부일구(仰釜日晷)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해시계.
    정의조선시대에 사용했던 해시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angbu ilgu | MR표기angbu ilg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P5_D_0003 관측도구 子對午, 鑄銅, 爲器, 似釜, 經設圓 金墩 D_10_01_78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7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7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0_D_0056 학문 기타 金墩 D_09_04_68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6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6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

  • 諸家曆象集 券四 晷漏 諸家曆象集 跋文 이순지(李純之, ?~1465) 7 帝王之政莫大於曆象授時也而吾東國日官之疎於其術久矣宣德癸丑秋 我殿下發於宸衷凡諸儀象晷漏之器天文曆法之書靡不講究皆極精緻在儀 象則曰大小簡儀日星定時儀渾儀及渾象也在晷漏則曰天平日晷懸珠曰晷 定南日晷大小圭表及欽...
    서명諸家曆象集 | 저자이순지(李純之, ?~1465)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바람과 천둥이 그들을 쫓아내어 그 성을 옮겨서 막았기 때문에 이성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했다. 화룡담(火龍潭) 가에 이르니 바위 하나가 패어서 두 개의 못으로 되어 있었다. 둥글고 큰 것이 앙부(仰釜) 앙부(仰釜) : ()로서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해시계이...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의현(李宜顯)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 [과학/과학기술]

    1434년(세종 16)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 1434년(세종 16)에 제작되었다. 의 제작자는 불분명하지만 “(세종이) 이순지(李純之)에게 명해 의상(儀象)을 교정(校正)하게 하니, 곧 지금의 간의(簡儀)·규표(圭表)·대평(大平 또는 天平)·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