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암행어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8)
사전(774)
- 암행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륭한 정치와 탐학한 정치)과 백성의 질고(疾苦 : 고통이나 어려움)를 탐문해 돌아와서 임금에게 사실대로 아뢰는 것을 직무로 하였다. 수의(繡衣) 또는 직지(直指)라고도 한다. [내용] 암행어사가 일반어사와 다른 점은 일반어사는 이조(吏曹)에서 임명하고 그...이칭별칭수의|어사
- 암행어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임금의 특명을 받아 비밀리에 지방관의 치적과 비위를 탐문하고 백성의 어려움을 살펴 개선하는 일을 맡은 특명 사신.정의조선시대 임금의 특명을 받아 비밀리에 지방관의 치적과 비위를 탐문하고 백성의 어려움을 살펴 개선하는 일을 맡은 특명 사신.[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amhaeng eosa | MR표기amhaeng ŏ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暗行御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S_0018 暗行御史 정책-제도 御使, 廉察, 分遣, 侍者, 微服, 單行, 州縣, 觀採, 風謡, 王政, 末俗, 監司, 都事, 巡歷, 列邑, 廚傳, 閭里, 橫暴, 夫婦, 寃欎, 守宰, 虐使, 橫歛, 細民, 上書, 朝家, 賊民, 宿獘, 贜猾, 振刷,...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8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암행어사(暗行御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암행어사 암행어사 暗行御史 감찰(監察), 사신(使臣) 수의사자(繡衣使者) 경차관(敬差官), 어사(御史)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임용한 1485년(성종 16) 이전 1829년(순조 29)상위어감찰(監察), 사신(使臣) | 동의어수의사자(繡衣使者) | 관련어경차관(敬差官), 어사(御史)
- 북새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12년(순조 12) 9월에 관북지방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고산석왕사원산영흥함흥황초령삼수이송령구절령강팔령허항령무산회령종성경홍경원온성종성회령부령북청홍원함흥영흥고원덕원안변석왕사철령왕십리 등지를 돌아 이듬해 3월에 복명하고서...
단행본(1)
- 국왕과 민의 소통 방식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방식(疏通方式) | 단국대학교]저자 : 원창애,신명호,이왕무,정해은 ... | 출판사 : 도서출판 역사산책 | 출판일 : 20190730군주가 나라의 실정을 다 알아서 현명한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유학 사상의 군주론이다. 고려를 부정하고 성리학적 정치이념을 내세운 조선에서는 아랫사람의 실정을 윗사람에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하정상달(下情上達)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였다. 조선 국왕은 나라의 실정을 파...
고서·고문서(333)
- 암행어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기타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암행어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암행어사 박 여자 요녕성(辽宁省) 봉성현(凤城县) 면마연공사 2 2 암행어사, 출두, 남산, 꽃향기, 꽃구경, 문구, 해...대표표제어암행어사 | 성씨박
- 암행어사시문(暗行御史時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人事門2_暗行御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暗行御史 御史之暗行廉察, 始於漢和之世. 和帝卽位, 分遣侍者, 皆微服單行, 各至至: 와세다대본에는 ‘主’로 되어 있다. 州縣, 觀採風謠. 其微服出沒, 苛察隱暗, 疑若不侔於王政之光明. 然以末俗觀之, 恐亦有助. 雖有監司、都事之巡歷, 但呼唱於大路, 煩費列邑之廚傳, 其閭里之橫...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42년 암행어사(暗行御史) 관(關)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관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관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구술자료(11)
- 암행어사와 부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시 30분경에 정상박과 남자 조교가 할머니들이 노는 조사자의 숙소에서 나와서 용지 마을 손출헌옹 집을 찾아갔다. 손옹은 도착 당일 저녁에 마을회관 2층 경로당에서 이야기할 때 이 마을 노인들 중에서 가장 이야기를 잘 하는 분이어서, 낮에도 찾아갔으나 산에 소 먹...조사일시1981-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출헌
- 암행어사와 효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1동 | 제보자도무연
- 누명을 벗겨 준 암행어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20]에 이어서 계속 ‘신원 설화’가 이야기되었다.*조사일시1984-08-02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상북면 | 제보자김금순
- 암행어사 박문수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민요를 잘 부른다는 소문을 듣고, 저녁에 제보자댁으로 찾아가서 20편에 가까운 민요를 들었다. 밤이 너무 깊어 민요를 부르게 하기가 민망하여 조사자가 설화를 유도하였더니, 청중이 한 사람 ‘귀신 이얘기’ 해보라고 하자 이 설화를 구술하기 시작했다. 청중으...조사일시1984-07-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온양면 | 제보자김원연
- 암행어사 박문수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1]에 이어서 같은 박문수 일화를 계속하여 구술하였다. 청중은 꽤 흥미롭게 들었다.*조사일시1984-07-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온양면 | 제보자김원연
신문·잡지(9)
- 은하수_1988_07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노벨의 8대모순 림승환 28 암행어사를 쫓은 이야기 설송 29 분석추리해보세요 유일명 33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8
- 조선행정_1941_20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防空について北村防護課長に訊く 30 太平洋戰に面して 二神直士 34 韓末の錄音 (10)-暗行御使の活動 奧...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 우리들_1967_0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달의 새영화-암행어사 73 독자페이지-유혹 김옥필 74 독자페이지-예의지국 유감 이우춘 7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춘추_1942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銖 93 新字音假名遣ひ法-原則そして發音通り 96 세계해양사 김상기 101 친절암행어사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2
- 청년생활_1992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겨울을 지나는 양떼 김재옥 49 운동과민증 50 암행어사의 이야기 51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2
주제어사전(66)
-
암행어사 / 暗行御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측근의 당하 관원을 지방군현에 비밀리에 파견해 위장된 복장으로 암행하게 한 왕의 특명사신. 당하 관원 중에서 임시적으로 특명해 이들을 비밀리에 보내면서 수령의 득실과 백성의 질고를 탐문해 돌아와서 임금에게 사실대로 아뢰는 것을 직무로 하였다. 암행어사
-
암행어사박종순봉서 / 暗行御史朴鍾淳封書 [정치·법제]
1795년(정조 19). 정조가 박종순(朴鍾淳)을 충청도 암행어사로 파견하며 내린 문서. 《홍재전서》에 실려 있고《정조실록》에 정조가 박종순을 소견했다는 기사가 나오는 것으로 발급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내용은 흉년의 진휼에 관한 행정에 대한 것이다.
-
전라도암행어사봉서 / 全羅道暗行御史封書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정조가 김이영을 전라도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초서로 작성되어 있다. 김이영이 암행할 지역은 당시 흉년이 극심한 임피, 옥구, 김제, 만경, 고부, 부안 등 6개 고을이다. 정조는 6개 고을 백성들의 고통과 수령들의 근만을 상탐하여
-
호서암행어사봉서 / 湖西暗行御史封書 [정치·법제]
1793년(정조 17) 4월. 정조가 이조원을 충청도 지역에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이 봉서에는 충청도의 서산, 해미, 결성 지역에 암행어사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을 하명하면서 진정과 곡부에 유념하라고 당부하였다. 이 문서는 호서어사 윤노동, 영남어사
-
영남암행어사여준영봉서 / 嶺南暗行御史呂駿永封書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정조가 여준영을 암행어사로 봉하며 영남지방의 공진을 감찰하라는 문서. 《홍재전서》에 이 내용이 실려 있어 이 문서가 발급된 시기를 알 수 있다. 내용은 영남지방의 공진이 오히려 폐단을 낳자, 암행어사를 보내어 대구, 밀양, 하양, 용궁, 청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