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알자” 에 대한 검색결과 4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8)

사전(155)

  • 중리소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 관직 ()와 같다고 『신당서(新唐書)』 남생전에서 해설하였다. 는 외국 사신의 접견에 관계된 일을 담당하였던 관직이다. 중리는 왕의 측근에서 근무하던 소수의 관인들에게 부여된 일종의 제도적인 칭호였다. 고구려 말기에 중리의 칭호를 지닌 이들은 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내알사(內謁司)ㆍ내시부(內侍府)에 두었던 관직. [내용] 내알사는 종5품, 내시부는 종7품이었다. 일반적으로 알현을 청하는 사람, 또는 빈객을 주인에게 안내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고려시대에는 왕명의 전달과 왕이 사용하는 ...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전(儀典) 행사에서 집전 담당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집사(諸執事)중의 하나. 대관전에서 옥책(玉冊)을 올리는 의식에 임금이 대관전에 나올 무렵에 집례관ㆍ내급사ㆍ내시ㆍ내상시ㆍㆍ내ㆍ전알ㆍ전의ㆍ찬자 등이 먼저 전정으로 들어가 좌우로 갈라 선다고 한 기록이 보...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검은 관을 쓰고 검붉은 패(佩)를 차고 최생을 수부의 왕이 있는조종전(朝宗殿) 청랭각(淸泠閣)으로 안내하여 여전자에게 인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빈객을 안내하거나 대접하는 직무를 맡아보던 관직.
    정의빈객을 안내하거나 대접하는 직무를 맡아보던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alja | MR표기alch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역주 장릉지 속편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4.2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역주 장릉지속편》권1 1. 능침 수개의 사적 2. 능소의 비문 3. 한식제향의 축문식 4. 대제 진설도 5. 찬자의 홀기 6. 의 홀

고서·고문서(25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면 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탕원현(汤原县) 조선족고급중학 2 2 면, 일본어사전, 수요, 반동무, 사전, 빌...
    대표표제어알자면 | 성씨
  • 1794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내(來) 심원록(尋院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49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내(來) 심원록(尋院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91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내(來) 심원록(尋院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上)_耳 귀우개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유해 101 1768_몽어유해(上) 耳 귀우개 1768몽어유해(상)042b.jpg 耳 귀우개 鏡子 거울 照鏡 거울 보다 粧飾了 단장다 文飾 빗나게 미다 絟脚 발 동이다 服飾 紗帽 紗帽 冠 冠 帽子 갓 草帽子 초갓 頂帽子 감토 頂子 딩 帽纓子 마흐래
    편명1768_몽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9)

  • 봉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중안동 | 제보자강상국
  • 붕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상봉서동 | 제보자윤점세
  • 비봉루와 봉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 제보자임봉이
  • 비봉산과 봉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 제보자정문석
  • 비봉산(飛鳳山)과 봉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주시 문화원장을 지냈고, 언론계에도 종사하면서 진주 사정이 밝은 제보자가 경영하는 공원여관에 조사자 일행이 숙소를 정했다. 여관방에서 오전 10시경 부터 진주의 대표적인 건설을 듣기 시작하였다. 청중은 없었다. 비교적 차분히 구술하였다. *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 제보자박세제

기초학문(1)

  • "스인에게 스를!": 20세기 알지스 지역운동과 지역정체성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용희, 게재일 : 2008
    21230 박용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사학회 2008 "스인에게 스를!": 20세기 알지스 지역운동과 지역정체성 모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39)

기타자료(22)

  • 자아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자아를 자아를 自我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기오 | 사료철명조선교육
  • (권두논단) 교육을 바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권두논단) 교육을 바로 (권두논단) 교육을 바로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태호 | 사료철명교육제주
  • (건강교실) 암을 !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건강교실) 암을 ! (건강교실) 암을 ! (건강교실) 癌을 !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창규 | 사료철명충북교육
  • (교육에 바란다) 해외 어학 연수 허와 실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에 바란다) 해외 어학 연수 허와 실을 (교육에 바란다) 해외 어학 연수 허와 실을 교육 문헌 국제협력 유학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하워드 권 | 사료철명교육월보
  • 업(功業)을 떨어뜨리지 말도록 하시오. 지금 겸(兼) 여구은자(閭丘恩子)와 겸부(兼副) 정경자(丁敬子) 등을 파견하여 칙지(勅旨)를 펴고 노고를 위로하고자 하니 짐의 뜻에 맞도록 하시오.” 그 후 백제는 해마다 사신을 보내어 표문을 올리고 방물을 바쳤다....
    대표표제어송이 백제에 조서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25년(乙丑/신라 눌지마립간 9/고구려 장수왕 13/백제 구이신왕 6/劉宋 元嘉 2/倭 允恭 14)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

    의전 행사에서 집전 담당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집사 중의 하나. 대관전에서 옥책을 올리는 의식에 임금이 대관전에 나올 무렵에 집례관ㆍ내급사ㆍ내시ㆍ내상시ㆍㆍ내ㆍ전알ㆍ전의ㆍ찬자 등이 먼저 전정으로 들어가 좌우로 갈라선다고 한 기록이 보인다.

  • / 內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종8품 관직. 액정국은 궁중에서 왕명을 전달하거나 궁문의 자물쇠를 관리하는 등 여러 가지 잡일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7품 이하의 남반(南班) 관직이 설치되어 내료(內僚)들이 속해 있었는데, 내는 남반 관직은 아니었다. 문종 때 품계가 정해졌으며

  • 감 / 內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정6품 관직. 문종 때 액정국의 장관으로 정6품인 내감 1인을 두었으며, 그 아래 내시백(內侍伯, 정7품)·내(內, 종8품) 등을 두었다.

  • 묘표 / 墓表 [문학/한문학]

    때 세우는 표석을 이르는 말이다. 묘표는 후한 안제(安帝) 원년(114)에 「경군묘표(景君墓表)」를 세운 데서 비롯된다. 묘표는 비갈처럼 신분이나 계급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관직의 고하에 관계없이 누구나 세울 수가 있다. 신도(神道)에 세우는 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