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알성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6)
사전(145)
- 알성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알성시에는 문과와 무과의 두 과만 있었다. 알성문과는 다른 시험과는 달리 단 한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되었으며, 국왕의 친림 하에 거행되던 친림과(親臨科)의 하나였다. 알성문과는 시험 당일에 합격자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고시 시간이 극히 짧아 응시자들이 충분한 실력을...이칭별칭알성과
- 알성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임금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실시하던 비정규적인 과거 시험정의임금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실시하던 비정규적인 과거 시험 | 문광부표기alseongsi | MR표기alsŏng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謁聖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100 謁聖試 관직 四館, 放榜, 獄起, 震怒, 竄配, 經席, 侍臣, 眞奇才, 愛惜人才 先王朝丙戌年 衡山 李泌, 車天輅, 呂繼先, 先王 J_04_01_09 지봉유설 4권 1장 9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알성시(謁聖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알성시 알성시 謁聖試 과거(科擧) 알성문과(謁聖文科), 알성무과(謁聖武科) 알성과(謁聖科) 문과(文科), 무과(武科), 친림시(親臨試), 작헌례(爵獻禮)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조선 조선 최진옥상위어과거(科擧) | 하위어알성문과(謁聖文科), 알성무과(謁聖武科) | 동의어알성과(謁聖科) | 관련어문과(文科), 무과(武科), 친림시(親臨試), 작헌례(爵獻禮)
- 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특히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행해진 외방별시를 북도과(北道科)‧서도과(西道科)라 불렀는데, 10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한편 별시는 위의 뜻 이외에 넓은 의미로는, 식년시 이외에 비정규적으로 설행된 모든 임시 과거시험, 예컨대 증광시(增廣試)‧알성시(謁聖...
고서·고문서(21)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2)이 謁聖試 試官에 낙점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알성시는 조선시대 시행되었던 비정기 과거시험의 하나로서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뒤 성균관 유생들에게 시행하던 제술 시험이었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912)이 謁聖試 試官으로 낙점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알성시는 조선시대 시행되었던 비정기 과거시험의 하나로서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뒤 성균관 유생들에게 시행하던 제술 시험이었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912)이 大內 謁聖試에 試官으로 참여한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알성시는 조선시대 시행되었던 비정기 과거시험의 하나로서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뒤 성균관 유생들에게 시행하던 제술 시험이었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5143 B065143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9年 5月 1日_002 而本道事情, 宜所參量移作京貢, 事係變通, 令廟堂稟處,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蓍東曰, 臣於院中, 見濟州人梁擎天稱以上策, 而投呈一紙於前月謁聖試券中者語極荒雜, 間多干恩, 島俗本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皇明科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唯有大比,而我朝式年之外,有增廣試ㆍ別試ㆍ庭試ㆍ謁聖試ㆍ登俊試,又有節日製ㆍ黃柑製ㆍ到記製,科名煩數,僥倖多門矣。 129쪽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연구과제(1)
-
조선시대 文科 試券 複本의 수집 및 정리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문종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4)
-
알성시 / 謁聖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실시되었던 비정규 문과·무과 시험.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시험을 실시, 1414년(태종 14)에 처음 시작되었다. 알성시에는 문과와 무과만 있었다. 알성문과는 다른 시험과는 달리 단 한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 시험 당일에 합격자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
홍언방 / 洪彦邦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홍득우, 조부는 홍효손이다. 부친 홍귀달과 모친 김숙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홍언충이다. 1502년(연산군 8) 알성시 문과에서 3등 1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박사, 언양현감을 역임하였다.
-
녹명 / 錄名 [정치·법제/법제·행정]
과거 응시자의 자격을 심사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던 제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이 결정되는 알성시·정시·춘당대시를 제외한 식년시(式年試)·증광시(增廣試)의 경우는 시험 전에 반드시 녹명을 해야만 하였다. 시한은 시험 10일 전에 녹명소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었
-
무과 / 武科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에 무관을 임용하기 위해 실시된 과거. 조선시대 무과에는 문과와 마찬가지로 3년에 한번씩 정규적으로 실시되는 식년무과와 그 밖에 임시로 특설되는 증광시·별시·알성시·정시·춘당대시 등 각종 비정규 무과가 있었다. 합격자에게는 합격증으로 홍패를 주었다.
-
박찬신 / 朴纘新 [역사/조선시대사]
1679년(숙종 5)~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박종발이다. 동생은 박재신‧박태신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시에서 병과 6위로 무과 급제하였다. 충청수사, 경상우병사, 배왕대장, 어영대장, 총융사, 평안병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