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안향” 에 대한 검색결과 2,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4)

사전(20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회헌사상연구(晦軒思想硏究)』(김병구, 학문사, 1983) 『회헌선생실기(晦軒先生實記)』(안극권 편, 1909) 「()」(민병하, 『한국의 인간상』 4, 신구문화사, 1973) 「()」(이병도, 『조선명인전』,...
    이칭별칭 사온(士蘊)| 회헌(晦軒)| 문성(文成)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국(東國)에서 온 9명 중 하나. 학문에 공은 없으나, 성문의 공을인정받아 소국의 문신이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I3_D_1072 시 風牽, 疎響, 過山鴈 崔匡裕 D_12_01_18 대동운부군옥 12권 1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황해도 연백군(현재의 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 연성리에 있는 향교. [내용] 1394년(태조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뒤 성의 남쪽과 동쪽 등으로 이건하였다가 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7) 예교 경북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에 있는 향교.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8호. 1415년(태종 15)에 창건되어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내삼문, 전사청, 명륜당, 동재, 서재,...
    연계항목예안향교(禮安鄕校)

고서·고문서(1,931)

  • 교(禮校)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1792년 예교(禮校)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신미(辛未) 2월 초 7일 예교(禮校) 등록(謄錄)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신미 2월 초 7일에 작성된 석전제에 사용되는 제수 및 제물의 타 기관의 보조 내역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등록〉의 구체적인 작성년도는 알 수 없으나 그 내용을 보면 수호군과 그에 대한 관청의 보조 내용, 속사인 일출암과 속점인 화현점의 향교에 대한 물납 내용을 기록...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현소장처안동 예안향교
  • 갑인년 예교(禮校) 전장문부(傳掌文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갑인년 5월부터 작성된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기록하여 인수인계를 하고 있는 장부이다. 제례시에 사용되는 각종 제수 및 제복의 지출,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부조금, 심지어 향교 전문의 자물쇠 사용비용까지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일정한 체제의 구분은 없는 편이나 대게 제...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전장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장기 | 현소장처안동 예안향교
  • 1579년 예교(禮校) 진설도(陳設圖)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만력 7년 기묘(1579)년 3월에 작성된 것으로 예교 대성전에는 五聖, 宋朝 四賢, 우리나라 18賢의 위패를 봉안하였는데, 이 문서는 제례시의 진설도를 기록한 것이다. 진설도에는 ‘석전제정배위찬실도’, ‘종향찬실도’, ‘주현사직제찬실도’, ‘악해독찬실도’, ‘산...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진설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진설도 | 현소장처안동 예안향교

구술자료(1)

  • 이인동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한 자료이다. 2) A면 19:00~23:40에 해당한다. 3) 음질 중 이인동 북 안기선 련 소리 판소리 1985-05-03 전라남도 목포시 남교동 국악원 30:58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인동

기초학문(2)

  • 17세기 도산서원과 예교의 비교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125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2 17세기 도산서원과 예교의 비교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A Novel Algorithm for Reducing Restoration Time in Smart Distribution Systems Utilizing Reclosing Dead Tim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Akhtar Hussain, 게재일 : 2014
    0 스마트그리드에서 배전자동화 시스템 보호 및 보상 개선방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21232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9)

  • (岸商店釜山支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岸商店釜山支店) 부산 岸商店釜山支店 大倉町2-43 - - 유류 - 193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岸享(岸商店釜山支店)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유류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무관 김슌근씨가 무건으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관 김슌근씨가 무건으로 항 감리셔리 뎡보셥씨를 취욕지라 외부에셔 법부로 죠회야 김슌근씨를 죠률 징판라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1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郵便難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 쟝산 안무가에 신문이 양 누락된다고 안무 셔인 한쟝니가 편지얏스니 이거슨 졍녕 쟝이 불근이라 통신관리국은 신칙심을 바라오
    게재일1906년 8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로귀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쟝신 락용씨 금년이 칠십샴세인 홍진에 마이 업셔셔 시골집 례산으로 려가셔 랴고 작일에 도셩을 낫다더라
    게재일1899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일쳔만원챠관고 실업경영확장야 십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은 치도슈도젼력야 그관제를 졔출졔 박참졍이반야 그의안이즁지라네 젼일그만두고 참졍의견 올타네 죄를짓고후회나면 과쳔션뎨일이라 국가업만이야 쟝공속죄경영며 독립국권회복야 부귀리로다 오젹이니륙젹이니 젼국인이시비도 발은일만고보면 션텬업셔지고 명...
    게재일1906년 4월 10일 | 기사분류시사

멀티미디어(1)

  •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0)

  • 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0068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07면 렬;烈 청주군 가덕면 병암리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단천고성(牧丹川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목단천고성(牧丹川古城) 중국 목단천고성(牧丹川古城) 관방유적 발해 길림성 왕청현(汪淸縣) 중(仲) 목단천촌(牧丹川村) 동쪽 목단천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
    대표표제어목단천고성(牧丹川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목단천고성(牧丹川古城)
  • 발전고분(發展古墓)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발전고분(發展古墓) 중국 발전고분(發展古墓) 고분유적 발해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흥(興) 발전고분.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대표표제어발전고분(發展古墓)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발전고분(發展古墓)
  • 북대고성(北大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북대고성(北大古城) 중국 북대고성(北大古城) 관방유적 발해 길림성 연길시(延吉市) 흥(興) 북대촌(北大村) 북대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대표표제어북대고성(北大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북대고성(北大古城)
  • 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중국 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관방유적 발해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縣) 중(仲) 흥륭고성보.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대표표제어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흥륭고성보(興隆古城堡)

주제어사전(20)

  • / [종교·철학/유학]

    1243-1306. 고려 충렬왕때의 유학자.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1290년 원나라에 가서 <주자전서>을 보고 유학에 심취하여 돌아왔다. 그후 주자학 연구에 몰도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유학은 원나라 허형의 학풍이었다. 유교의 효, 충, 신, 경, 성

  • 교 / 樂 [교육/교육]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1658년(효종 9)에 군 동쪽 농암등(籠巖嶝)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고 수차에 걸쳐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

  • 교 / 務 [교육/교육]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에 있는 향교. 1394년(태조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성의 남쪽에 있는 공수산(控壽山) 언덕에 설립하였는데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470년(성종 1) 현재의 위치로

  • 교 / 扶 [교육/교육]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에 있는 향교. 1414년(태종 14)에 창건되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건하였으며, 1607년에 만화루(萬化樓)를 신축하고 1848년에 양사재(養士齋) 신축 등 대대적인 확장을

  • 교 / 比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당시 비안현(比安縣)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898년·1924년·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