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43)
- 안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동잡록(海東雜錄)』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안침...이칭별칭 자진(子珍)| 죽창(竹窓), 죽제(竹齊)| 공평(恭平)
- 安琛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565 安琛 남자 人名, 登第, 判書, 文名, 早歿 順興 可珍, 我光廟, 處善, 處誠 D_08_02_09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안침(安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안침 안침 安琛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종~중종 홍현보 박종국 2012 자진(子珍) 죽창(竹窓), 죽제(竹齊), 죽계(竹溪) ...
- 이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12년 일본의 화호(和好) 요청을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1513년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진봉되고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만년에는 영의정 유순(柳洵), 판서 안침(安琛) 등 남학(南學)의 친우들과 구로회(九老會)를 만들어 서로 왕래하며 즐겼다. 시호는 호간(...이칭별칭 자방(子芳)| 호간(胡簡)|한산군(漢山君)
- 근대신어 : 쿼터마스터(쿼터‧마스터)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56893 쿼터마스터 카항 쿼터‧마스터 quarter-master (航海)舵手, 按針手 조타수, 안침수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482 직업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직업 [사회생활] 교통수단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01)
- 남해안침투 北(북)반잠수정 격침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남해안침투 北(북)반잠수정 격침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북한, 잠수정, 격...대표표제어남해안침투 北(북)반잠수정 격침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잠수정, 격침
- 동해안침투공비 60명 소탕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동해안침투공비 60명 소탕 대한민국(남한) 국방홍보원 기타(신문)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국방일보』: 1964년 11월 324일 창간 공...대표표제어동해안침투공비 60명 소탕 | 저작권자국방홍보원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공비, 침투, 북괴, 무장공비, 사살, 기관단총, 권총, 수류탄
- 최대11명탑승…해안침투용 北(북)유고급 잠수정 제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최대11명탑승…해안침투용 北(북)유고급 잠수정 제원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6...대표표제어최대11명탑승…해안침투용 北(북)유고급 잠수정 제원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잠수정, 침투, 동해
- 5명까지 탑승가능 北(북) 해안침투용 장비 수중잠행 추진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5명까지 탑승가능 北(북) 해안침투용 장비 수중잠행 추진기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대표표제어5명까지 탑승가능 北(북) 해안침투용 장비 수중잠행 추진기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간첩, 시체, 동해
- 함께 발견된 수중침투 추진기 母船(모선)서 해안침투때 사용 최대 5명 탑승 가능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함께 발견된 수중침투 추진기 母船(모선)서 해안침투때 사용 최대 5명 탑승 가능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대표표제어함께 발견된 수중침투 추진기 母船(모선)서 해안침투때 사용 최대 5명 탑승 가능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간첩, 시체, 동해
기초학문(1)
-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태안반도를 사례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한별, 게재일 : 201046730 우한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형학회 2010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태안반도를 사례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
- 씽거봉긔계회의셜명말[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득지못거슨 원통외다 봉긔계연구회의일 씽거봉긔계회는 집안침공 봉업을 혁신코져오니 일본의셔는 봉녀학교 셜시엿소 셜시이 결과본즉 셔양의복이라도 봉기지 진보던도가되야셔 참고마은결과보앗소차쳐에셔도연구소셜시여 아무라도 긔계봉을공부고져는사...게재일1905년 12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4)
- 신안해저유물 종합편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와 調.過程 第3節 海軍支援團의 海底作業狀況 第4節 遺物의 種類와 數量 / 第Ⅲ章 遺物의 綜合的 考察 第1節 金屬類(銅錢포함) 第2節 木製品,石製品,骨製品 및 유리 玉製品 第3節 木牌 第4節 植物類(紫擅木 포함) 第5節 新安沈沒船의 樹種調查 第6節 船體 第7節 日本...발행연도1988 | 발굴기관문화재관리국 | 발굴지역전라남도
- 신안해저유물 자료편Ⅲ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는 별이 주로된 층이 5.5cm깊이로 퇴적되어 있었다. 신안침선으로부터의 유물의 인양작업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실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단계에서는 선창내 상부에 적재되었던 유물들이 인양되었다. 이 침선은 선수의 방향이 서북(323°)을 향하고 있었으며 우현...발행연도1985 | 발굴기관문화재관리국 | 발굴지역전라남도
- 신안해저유물 자료편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판단되어 수중작업인원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해저표면에서 0.5cm까지는 모래,자갈, 조개껍질이 주성분으로 되어있는 중이고 그 밑에는 별이 주로된 층이 5.5cm깊이로 퇴적되어 있었다. 신안침선으로부터의 유물의 인양작업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실시된 것으로 볼...발행연도1981 | 발굴기관문화재관리국 | 발굴지역전라남도
- 신안해저유물 자료편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지 않는다. 해저표면에서 0.5cm까지는 모래,자갈, 조개껍질이 주성분으로 되어있는 중이고 그 밑에는 별이 주로된 층이 5.5cm깊이로 퇴적되어 있었다. 신안침선으로부터의 유물의 인양작업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실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단계에서는 선창내 상부에...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문화재관리국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5)
-
안침 / 安琛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5(중종 10). 조선 전기의 문신. 종약의 증손, 할아버지는 구이다. 아버지는 지귀, 어머니는 박이창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중형 선과 함께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다. 1466년 고성별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정자·사록·사
-
이손 / 李蓀 [종교·철학/유학]
부사·판교, 한산부원군에 진봉되고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만년에는 영의정 유순, 판서 안침 등 남학의 친우들과 구로회를 만들어 서로 왕래하며 즐겼다.
-
구산해수욕장 / 邱山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사계절 방문객이 찾는 지역의 명물이 되었지만, 방파제 설치로 인한 해안류의 이상변동으로 구산리 일대의 백사장 모래의 유실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해안침식 방지시설 공사가 이루어졌다.
-
사빈 / 沙濱 [지리/자연지리]
는 바람에 의하여 사빈에서 불어와 쌓인 것으로 초본류 등이 정착하거나 인공적으로 방풍림을 조성한 경우가 많다. 사빈은 사구와 더불어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며, 관광자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해안침식의 문제는 단순히 동해안의 문제가 아니라 범세계적인 현상으로 해안지역 주민의
-
선유도해수욕장 / 仙遊島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해수욕장의 호안침식 방지공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선유도 선착장에서 해수욕장 입구까지 길이 726m, 폭 15m의 진입로 호안정비를 2010년에 완공할 계획이다. 또한, 신시도와 무녀도를 잇는 연륙교 건설계획 중으로 선유도의 육로 진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자전거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