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
사전(74)
- 안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82(충렬왕 8)~1348년(충목왕 4). 고려 후기 문신‧문인.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할아버지는 희서(希諝), 아버지는 석(碩)이며 어머니는 안성기(安成器)의 딸이다. 경기체가 「관동별...이칭별칭 당지(當之)| 근재(謹齋)| 문정(文貞)
- 安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540 安軸 인물 持家, 勤儉, 處心, 公正 麗史 D_12_07_09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安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778 安軸 인물 當之, 謹齋, 表箋詞命, 贊成事 興州, 元朝 忠宣王, 輔, 輯, 文貞, 宗源 關東瓦注集 D_04_04_08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安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162 安軸 인물 四爲士師 麗史 D_02_01_104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10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10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안경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석(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사 축(軸)이고, 아버지는 판문하부사 종원(宗源)이며, 집현전대제학 경공(景恭)의 동생이다. [내용] ...
고서·고문서(59)
- 還安祝文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應製文 80 還安祝文 41_112_050.jpg 還安祝文 載還仙馭, 原廟孔新。 於昭于天, 永享明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임오년 이로(李潞) 이안축(移安祝)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임오년 이로(李潞) 환안축문(還安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이익운(李益運) 경주부윤(慶州府尹) 용산서원환안축문(龍山書院還安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793년 이익운(李益運) 경주부윤(慶州府尹) 용산서원이안축(龍山書院移安祝)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기초학문(1)
- 고려후기 사대부 한시에 나타난 정신지향에 대한 연구 -이제현,안축,최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9963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고려후기 사대부 한시에 나타난 정신지향에 대한 연구 -이제현,안축,최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
- 조선신문_1948_060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공장 탄광 철도의 작업반에 호응하여 농촌에서도 작업반을 선두로 민청원들은 경지면적 확장 공지 리용 제방 공사 관개 수리공사 등 제반건설사업에 궐기하였다. 실례로 영흥군 민청원들은 토량 6만입방미 기리 1500미의 룡흥강 물 안축제 년간 공사에 모범적인 활동을 하여 금년...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608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13)
-
안축 / 安軸 [종교·철학/유학]
1282(충렬왕 8)~1348년(충목왕 4). 고려 후기 문신·문인. 할아버지는 희서, 아버지는 석, 어머니는 안성기의 딸이다. 경기체가「관동별곡」과「죽계별곡」의 작가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금주사록·사헌규정·단양부주부를 지내고, 1324년(충숙왕 11)에 원나라 제과에
-
근재집 / 謹齋集 [문학/한문학]
고려 말기의 문인 안축(安軸)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안축의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1364년(공민왕 13)청주에서 판각한 『관동와주 關東瓦注』를 현손 안숭선(安崇善)이 보유를 붙여 1445년(세종 27) 목판으로 중간한 후, 후손 경운(慶運)과 필선(弼善)이
-
죽계별곡 / 竹溪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전체 5장. 『근재집(謹齋集)』 권2와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작품의 배경인 죽계는 지금의 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시내 이름이며, 풍기의 옛 지명인 순흥(順興)은 안축의 관향(貫鄕)인 동시에 고향이다. 형식은
-
관동별곡 / 關東別曲 [문학/고전시가]
1330년(충숙왕 17)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전체 9장으로, 1장은 작품의 서사(序詞)로서 위풍당당한 순찰(巡察)의 정경을, 2장은 학성(鶴城)을, 3장은 총석정(叢石亭)을, 4장은 삼일포(三日浦)를, 5장은 영랑호(永郎湖)를, 6장은 양양(襄陽)의 풍경을,
-
관동팔경 / 關東八景 [지리/자연지리]
월송정 대신 흡곡의 시중대(侍中臺)를 넣기도 한다. 고려 말의 문인 안축(安軸)은 경기체가인 「관동별곡」에서 총석정·삼일포·낙산사 등의 경치를 읊었고, 조선 선조 때의 문인이자 시인인 정철(鄭澈)은 가사인 「관동별곡」에서 금강산일대의 산수미와 더불어 관동팔경의 경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