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창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
- 문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뇌사(哀誄詞) 3편, 제문 31편, 권9‧10에 묘갈명‧묘지명, 부록으로 만사‧행기(行記)‧묘갈명‧통모록(痛慕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당시 영남의 대유학자인 김소락(金紹洛)‧안창렬(安昌烈)‧장화식(張華植)‧황재진(黃在鎭)‧이기호(李琦浩)‧유동준(柳東濬)‧...
고서·고문서(13)
- 안창렬(安昌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안창렬(安昌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1900년 안창렬(安昌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1897년 안창렬(安昌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 1874년 안창렬(安昌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갈전 순흥안씨
신문·잡지(1)
- 강원인민보_1947_0806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승이 되었다. 차씨는 이렇게 열과 땀으로 이루어진 쌀을 지난 6월 하순 인민경제계획 수행에 힘을 합하겠다는 지성으로 이앙에 수고하는 이웃 빈농에게 자진 무상으로 분여하여 이 민들을 감격시켰다. (안창렬)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806_04 | 날짜1947년 8월 6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기타자료(1)
- 안창렬;安昌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304 북한 평남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3-01 光成 제8호 1934―02―20 157면 1. 제14회 졸업생명부 1934년 (가나다 순) 108명 (현 재학) 안창렬;安昌烈 평양부 염점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안창렬 / 安昌烈 [종교·철학/유학]
1847년(헌종 13)∼1925년. 안윤식의 후손, 안병례의 아들, 유주목의 문인이다. 천거로 관직에 올라 1882년 임오군요에 십조소로 의정을 밝혔다. 갑신정변 때에 왕을 호종한 공으로 통정대부에 승계되고, 문경·영천·하양·이천·인제현감을 역임하고 괴산군수가 되어
-
안창렬 문경현감 해유문서 / 安昌烈 聞慶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안창렬(安昌烈)은 담수(聃壽)의 10세손이다. 이 문서는 후임관이 관찰사에게 올린 해유첩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결락이 심하여 자세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안창렬은 문경현감, 영천군수, 하양현감, 이천부사, 인제현감 등 외관직을 여러 번 역임하였는데 이
-
동려집 / 東旅集 [종교·철학/유학]
동려 안창렬의 문집. 목판본, 서: 이명상(1931), 발: 이중균(1927), 6권 3책. 권두에 이명상의 서문과 목차가 나온다. 권1에 사 1수, 부 1수, 시 166수, 권2에 시 191수, 권3에 소 2편, 서 74편, 권4에 서 3편, 기 8편, 발 5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