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29)
사전(1,255)
- 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64년(공민왕 13) 적신(賊臣) 최유(崔濡)가 덕흥군(德興君)을 받들고 1만의 군사로 압록강을 건너 의주(義州)를 포위하자, 병마부사(兵馬副使)로 싸움에 참전하여 적...
- 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신당서(新唐書)』에 기재된 62주(州) 중의 하나이다. 안변부(安邊府)에 속하며, 또한 이 부의 수주(首州)이기도 하다. 따라서 치소(治所)는 안변부와 동일하다. 속현(屬縣)은 알 수 없다. ...
- 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술을 마실 때에 함께 먹는 음식. [내용] 안주로 적합한 음식은 육포‧어포‧생선회‧육회‧숙회‧생선전‧간전‧천엽전‧채소전, 파나 미나리에 조개를 섞어 지진 적, 전골, 두부 또는 생선찌개 등의 단백질성 요리와 냉채‧탕평채‧파와 미나리 강회...
- 按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9_J_0027 按酒 언어 下酒, 腒鱐, 佐飯 唐 梅聖兪, 李華文 爾雅 J_16_01_02 지봉유설 16권 1장 2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6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安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9_S_0197 安酒 언어 按酒, 添按, 肝炙, 飲酒, 肴, 酒肴 漢時 王世貞, 陸機, 梅宛陵, 鄭玄 草木疏, 芝峯類說, 士昏禮親迎婦至 S_30_01_80 성호사설 30권 1장 80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30권 1장 8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915)
- 安州牧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安州牧 48 使一人兼寧邊道中翼兵馬判官一人亦兼中翼兵馬本高麗 彭原郡太祖十四年辛卯【唐 長興二年】置安北府成宗二年癸未【宋 太平興國八年】改寧州安北大都護府顯宗九年戊午【宋 天禧二年】改安北大都護府恭愍王十八年己酉置安州萬戶府左勇右勇左猛右猛前勇後勇前猛...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還安祝文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應製文 80 還安祝文 41_112_050.jpg 還安祝文 載還仙馭, 原廟孔新。 於昭于天, 永享明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安州哀怨曲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2542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安州哀怨曲 [164] [①] 물레야 돌아라, 가다가 돌아라. 두루고 보면 아주 강(强)하다. [②] 물...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鴈足書索蘇武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1490 鴈足書索蘇武等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3_安酒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安酒 王世貞云: “陸機《草木疏》‘若可按酒’, 梅宛陵詩多用‘按酒’字. 今俗云‘添按’, 蓋出於此.” 《芝峯類說》亦引以爲證, 皆未有深考. 《士昏禮》“親迎婦至”條: “贊以肝從, 皆振祭嚌肝.” 鄭玄《註》: “肝, 肝炙也. 飮酒, 宜有肴以安之.” 今俗謂酒肴爲安酒, 自漢時已有此語...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73)
- 안주면 가나봐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전에 김남기로부터 설화를 듣고 김남기 댁에서 점심을 먹었다. 오후에 김남기가 타령류의 소리 몇 곡을 부르고 있자니, 김남기의 처 변춘 자가 마을 아주머니들 세 분을 모셔왔다. 김남기가 아라리를 연이어 몇 곡 부르고 아주머니들께 소리를 권했다. 처음에는 부르지 못한...조사일시2009. 2. 3(화)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435-3번지 김남기 자택 | 제보자변춘자(#1)
- 안주(安州)옆에 박천(博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심운택씨 이야기에 이어서 권영복씨가 꼬리를 단 것이다.*조사일시1983-07-21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 제보자권영복
- 배워서 남 안주는 복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없음 *조사일시1979-04-27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침산3동 | 제보자현갑진
- 서울 진적굿_대안주거리-무악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의 총칭이다.분야무악 | 지역서울특별시
- 서울 진적굿_대안주거리-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굿의 의식 절차를 일컫는 말이다.분야무의 | 지역서울특별시
기초학문(11)
- 大凌河流域 殷周 靑銅禮器 사용 집단과 箕子朝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호정, 게재일 : 200540939 송호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2005 大凌河流域 殷周 靑銅禮器 사용 집단과 箕子朝鮮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민부, 게재일 : 200928335 이민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09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근대국어 시기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주호, 게재일 : 200637331 안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6 근대국어 시기의 진언표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불복장(佛腹藏) 문헌 자료의 표기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주호, 게재일 : 200537361 안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05 불복장(佛腹藏) 문헌 자료의 표기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무계본 〈진언집〉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주호, 게재일 : 200537362 안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언어학회 2005 무계본 〈진언집〉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431)
- 安州郡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안쥬군공보 거즉 본군공즁에 대쳥과 평남문과 소동문이 모다 년구퇴비야 일본병참소권고인야 임의 훼쳘얏 일병참소에셔그목과 와의죠금 견고것을 골나여 본군 풍파강과 신쳔강에 역부 츌야 달이 건츅며 본군셔편 놉흔우 요망뎡이라 뎡 오간을 건츅...게재일1905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宣告案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모살건에 관계자로 피슈 라인영 리용 민형식씨등 삼십인의 죄범을 쳐판션고 말은 임의긔 얏거니와 법부대신 죠즁응씨가 그 션고 쥬본안건을 텬폐에 상쥬가기 위야 작일 오후 십시경에 폐현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安周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安周植(-) 부산 安周植 - 富平町市場 - - 면사포 - 12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安周植(-)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면사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久野睦平(安州炭販賣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久野睦平(安州炭販賣所) 평양 久野睦平 安州炭販賣所 本町 10 - - 석탄상 - - - 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久野睦平(安州炭販賣所) | 지역평양 | 품목- | 영업종목석탄상 | 자료출처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 민세안재홍전집 : 保釋突然取消 安主筆收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431 1928 5 30 1 1 保釋突然取消 安主筆收監 朝鮮日報筆禍 신문 동아일보 2면10단석간 동정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保釋, 朝鮮日報, 安在鴻, 筆禍事件, 禁錮, 西大門刑務所 A19280530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
- 790 194. 조선_평안_안주.pdf 조선시대 역사행정구역도[평안_안주] 행정구역자료문의성신여대 양보경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기타자료(243)
- 안주호;安周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주호;安周鎬 경상남도 창원 소화7년 3월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주홍;安周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370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26면 안주홍;安周洪 경상북도 경산군 경산면 삼남동 90;경상북도 경산군 경산면 삼남동 90(농업) 新令 제2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주홍;安周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077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27면 안주홍;安周洪 경산군 경산면 삼남동 90(농업) 제2회 192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주흥;安周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759 일본 山口 山口高等商業學校 山口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14年 ~ 大正15年 1925―10―05 101면 안주흥;安周興 조선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주흥;安周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773 일본 山口 山口高等商業學校 山口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15年 ~ 大正16年 1926―10―25 99면 안주흥;安周興 조선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학제간 연구 및 공동 연구를 통한, 이탈리아 한국학 공고화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Andrea De Benedittis | 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L'Orientale (University of Naples L'Orientale) | 2022 | 국외
주제어사전(77)
-
안주 / 按酒 [생활/식생활]
술을 마실 때에 함께 먹는 음식. 안주로 적합한 음식은 육포·어포·생선회·육회·숙회·생선전·간전·천엽전·채소전, 파나 미나리에 조개를 섞어 지진 적, 전골, 두부 또는 생선찌개 등의 단백질성 요리와 냉채·탕평채·파와 미나리 강회 같은 신선한 채소요리가 적합하다. 대체
-
안주군 / 安州郡 [지리/인문지리]
현재)이다. 1개 읍 7개 면 169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안주읍 북문리이다. 1972년 11월 구안주노동자구를 신안주노동자구로 개칭하였다. 1980년 6월 평안북도 박천군 남흥노동자구와 송도리·남흥리·용흥리·덕성리가 안주군으로 편입되었다. 1987년 8
-
안주시 / 安州市 [지리/인문지리]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시 안주군 대미면·용화면·연호면·입석면의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문덕군이 신설되었으며, 나머지 안주읍·동면·운곡면·신안주면의 면 행정단위가 폐지되고 이 단위로 분할, 통폐합되어 군의 행정구역이 개편되었다. 1954년 개천군의 서남리와 상서리
-
안주탄전 / 安州炭田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안주군 입석면 일대에 걸쳐 있는 탄전. 경의선만성역의 서쪽 12㎞, 신안주역의 남쪽 약 20㎞의 거리에 있다. 1909년에 우리나라 사람이 석탄의 노두를 발견하였으나 1911년에 일본인 마쓰이(松井民治郎)가 일방적으로 광업권을 가로챘으며, 메이지광업회사(明治
-
안주평야 / 安州平野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경계를 이루는 청천강 하류 남안의 안주군과 평원군 일대에 펼쳐진 평야. 안주평야의 경계를 확실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동쪽은 자모산맥(慈母山脈)을 경계로 대동강유역과 분리되며, 남쪽은 평원군 어파현(魚波峴)의 이북으로 안주군과 평원군 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