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안전농촌”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부재 속에서 파생된 한인 피난민들과, 경비력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오지(奧地)의 농민들을 방치함으로써 야기될 이들의 항일세력화를 방지하기 위해 조직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서는 빈한한 한인 농민들을 자작농으로 만들겠다는 경제적인 목적도 아울러 가지고...
  • 만선척식주식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인 소작농을 자작농으로 만드는 사업, 소위 조선인자작농창정(朝鮮人自作農創定) 사업을 동아권업주식회사로부터 인수해 추진하였다. 게다가 동 회사는 자작농창정 사업의 일환으로 만주의 여러 곳에 소위 ()을 건립했고 토지 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수전의 조...
    이칭별칭만선척식고빈유한공사
  • 만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에서의 수전(水田) 개발 및 항일세력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그리고 만주를 대소(對蘇) 방어 진지구축과 대륙침략을 위한 전초기지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의 일환으로 일제는 이른바 조선인 자작농창정사업(自作農創定事業)을 실시하고, ()과...

단행본(1)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제1부 재중 조선인의 이주와 정착 (1)1930년대 초반 북간도 지역 한인자치운동과 중국공산당 대응 (2)1930년대 초반 만주 지역 의 설치와 성격 (3)'민족협화'와 '자치'

신문·잡지(7)

  • 1933년12월_조선경제잡지_216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경성 1933년12월 조선경제잡지 216 1933년12월_조선경제잡지_216호 섬유공업, 전장대(田莊臺), , 일만실업협회, 만주국 상표등록 ...
    대표표제어1933년12월_조선경제잡지_216호 | 지역경성 | 키워드섬유공업, 전장대(田莊臺), 안전농촌, 일만실업협회, 만주국 상표등록 | 연월일1933년12월 | 자료명조선경제잡지
  • 競技入場式, 137. 彙報-アメリカ新聞記者團入城, 137. 彙報-朝鮮穀物協會聯合會, 139. 彙報-宇垣總督咸北視察, 141. 彙報-營口移民出發, 142. 彙報-道衛生技術官打合會, 143. 彙報-道統計主任打合會, 145. 彙報-第二回治水調査會, 146. 彙報-植桑...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定資金の各道割當, 153. 彙報-道地籍技術員打合會, 154. 彙報-癩豫防御下賜金と寄附狀況, 155. 彙報-洛東江上の二大橋, 156. 彙報-醫專昇格と師範演習科, 157. 彙報-陸上より表彰された朝鮮の軍事切勞者, 158. 彙報-色服奬勵講習會, 158. 彙報-表満州に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彙報-滿洲國武官入城 262 彙報-海雲臺, 佐川間の鐵道開通 263 彙報-滿洲の收穫狀況 263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표지 및 목차 朝鮮に於ける化學工業の現勢 石井市重郞 1 朝鮮人の經營管理と福利增進施設 松葉秀文 23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기타자료(1)

  • 이옥기;李沃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659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70면 1. 卒業生;18) 18회(47명: 1927년 3월 졸업) 이옥기;李沃基 營口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조선총독부 및 만선척식주식회사(滿鮮拓植株式會社)가 만주에 조직한 집단농촌. 은 조선의 빈한한 농민들을 만주로 이주시켜 조선에서 빚어지고 있던 소작쟁의 등의 사회 경제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항일세력에 대한 일제의 대항 거점으로서의 성격도 띠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