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6)
사전(130)
- 안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2(광해군 14)∼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경진(景鎭), 호는 퇴우(退憂) 또는 송촌(松村). 아버지는 후지(厚之)이며, 어머니는 창녕성씨(昌寧成氏) 문준(文濬)의 딸이다. 김집(...이칭별칭 경진(景鎭)| 퇴우(退憂), 송촌(松村)
- 안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子和) 등의 무고사건이 일어나 자화는 강 속에 던져 죽이고 현은 강등시켜 부곡(部曲)이 되었다. 1390년 복구되어 감음에 감무를 두고 이안현을 예속시켰다. 1415년(태종 15) 비로소 안음현으로 고치고 치소를 이안으로 옮겼다. 그 뒤 약 300년...이칭별칭마리현(馬利縣)|이안(利安)
- 西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694 西門 인물 中原, 安陰 D_04_03_50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5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六十峴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220 六十峴 산림 要害之地, 劫掠 長水, 安陰, 新羅 勝覽 D_11_04_11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1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朴仁孫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272 朴仁孫 인물 父得惡疾, 斷指, 和藥 安陰 D_18_03_30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07)
- 安陰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 慶尙道 安陰縣 68 利安縣本馬利縣景德王改今名爲天嶺郡領縣减陰縣本南內縣景德王改名餘萬爲居昌郡領縣高麗改今名顯宗戊午皆屬陜州任內恭讓王庚午置减陰監務以利安屬之本朝太宗十七年丁酉採二縣名改爲安陰所一加乙山【舊屬咸陽今亡爲直村】 知雨山在縣北黃石山在縣西四境東距居昌十...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안음(安陰)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55_384_096 1555년4월 ○안음(安陰)에 머물렀다 1555년 4월 8일 임신, 맑다 흐리고, 동풍이 붊. ○안음(安陰)에 머물렀다. ○주인이 아침에 나와서 만나고 이른 아침밥을 함께 했다. 내가 바둑판을 내어서 함께 두었다. (주인이) 나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함양(咸陽)에서 안음(安陰)으로 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55_384_095 1555년4월 ○함양(咸陽)에서 안음(安陰)으로 갔다 1555년 4월 7일 신미, 맑음. ○함양(咸陽)에서 안음(安陰)으로 갔다. ○새벽에 일어나 머리를 빗고 아침을 기다렸다. 주인이 나와서 이른 아침밥과 아침밥을 함께 했다. 밥...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673년 안음(安崟)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73년(현종14)6월 24일에 이조에서 안음을 통덕랑(通德郞) 행(行) 형조좌랑(刑曹佐郞)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덕랑은 정5품의 문관의 품계이다. 형조는 6조(曹)의 하나로서 법률, 사건 심리, 소송, 노예에 관한 정사를 관장하였으며, 좌랑은 6...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겸백 죽산안씨 송촌가
- 1680년 안음(安崟)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80년(숙종6)7월 14일에 이조에서 안음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 공조좌랑(工曹佐郞)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하는 문관 품계이다. 공조는 6조의 하나로서, 산림‧ 소택(沼澤)‧ 공장(工匠)‧ 영선(營繕)‧ 도요(...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겸백 죽산안씨 송촌가
기초학문(1)
- 하위집단화(subgrouping) 방법을 이용한 中古漢語 문헌과 非自然接觸 한자음의 관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노혜정, 게재일 : 2018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3783&local_id=10076504 唐代 長安音을 중심으로 한 非自然接觸의 親緣關係 연구 https://www.krm.or.kr/krm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106)
- 인민의상이 변치안음이 탄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우리가 향일에도 무슈히 셜명 바어니와 나라이 결단날근인은 외국몰건 사쓰일이라 언으사의몸에 닙은옷이 외국물건이 안이며 언으집에 쓰그릇이 외국물건이안이며 언으집에 켜길음이 외국것이 안이며 언으사에 쓰죠희가 외국것이안이며 언으사에 먹담가 외국것이안인가 외국...게재일1906년 11월 26일 | 기사분류논설
- 인민의상이 변치안음이 탄일 젼호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말바와갓치 젼국토디가 외국인의 슈즁으로들어가고 여간산이 당목 양갑으로 녹아지면 진소위 물업고기와 갓허셔 인민이 스로 말나쥭기 면거슨 분명리치라 이당야 젼국인민의상이 일층변야 이젼 완고던폐습을바리고 신션일을 힘연후에야 나라을 가히 ...게재일1906년 11월 27일 | 기사분류논설
- 米國艦隊集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군에셔 쳥국형편이 안뎡치안음을보고 아셰아함 령관에야 함를 뎍당디방으로 모으라고명령얏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6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日淸談判困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경에셔 일쳥담판이되지 안음으로 일본동경에서난 젹은 졍당파들이 련합야큰운동을 닐으키기로 쥰비즁이라더라게재일1905년 1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間島淸兵의作亂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간도에 쥬 쳥국 군 봉급을 지발치 안음으로 거민의 산을 로략 지라 봉텬에 잇 일본 총령사츄원씨가 길림에 슌무의게 경고 엿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기타자료(2)
-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 - 역사분야-제원 황강역지 발굴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안음역지 발굴조사 보고 / 제원 권일원지 발굴조사 보고 / 청풍 읍창지 발굴조사 보고 / 청풍 북창지 발굴조사 보고 / 청풍 남창지 발굴조사 보고 / 청풍 서창지 발굴조사 보고 / A지구는 황강역지의 마방(馬房)터라고 불리우는 지역이며, B지구는 철을...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82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약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발굴조사보고 / 청풍 신담 발굴조사 약보고 / 청풍 읍창지 발굴조사 약보고 / 청풍부 관아건물지 발굴조사보고 / 청풍 남창지 발굴조사 약보고 / 제원 안음역지 발굴조사보고 / 사지(불적분야) / 傳 정금사지 / 읍리 일명사지 / 사회민속(민속분야) /...발행연도198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14)
-
안음 / 安崟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22∼1673). 조선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후지, 어머니는 성문준의 딸이다. 김집과 송준길에게서 수학하였다.1650년(효종 1)에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주부, 감찰, 예조·형조의 좌랑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60년을 전후하여 노
-
안음 / 安陰 [지리/인문지리]
)이 되었다. 1390년 복구되어 감음에 감무를 두고 이안현을 예속시켰다. 1415년(태종 15) 비로소 안음현으로 고치고 치소를 이안으로 옮겼다. 그 뒤 약 300년이 지난 1728년(영조 4) 읍사람의 반란사건이 일어나 이 현을 거창ㆍ함양의 두 현에 나누어 예속시켰
-
언음첩고 / 諺音捷考 [언어/언어/문자]
1846년(헌종 12)에 시곡병부(詩谷病夫) 또는 석범(石帆)이 우리말의 소리나 한자음을 구별하기 위한 편람으로 만든 책. 2권 1책. 필사본. 상권의 끝에는 ㄷ종성고(終聲考)라 하여 ≪훈몽자회≫·≪동의보감≫·≪소학언해≫·≪사성통해≫에서 뽑은 ‘ㄷ’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
안의 / 安義 [지리/인문지리]
감음과 이안(利安)을 합쳐 안음(安陰)으로 고치고 현의 치소를 이안쪽으로 옮겼다. 1767년(영조 43) 안음을 안의로 고쳤으며, 1895년(고종 32)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함양군 안의면이 되었다.
-
강식 / 姜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48∼?). 1669년(현종 10) 식년시 생원 3등 48위로 합격, 1689년(숙종 15) 증광시 진사 3등 68위에 합격 후 안음현감·금정찰방·은율현감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