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양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23)
- 안양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名山大刹)』(국제불교도협의회, 1982) 안양암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절. 대한불교원효종의 총본산이다.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
- 통도사안양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뻗었으며, 익공 쇠서가 날카롭다. 건물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넓은 기단 위에 처마가 깊고 공포가 기둥 밖으로 길게 뻗어 전체적으로 안정되었다. 안양암은 통도사에 속한 암자로, 익공양식의 법당은 조선 후기의 목조 건축수법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
- 안양암함풍11년명신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안양암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개설] 불법(佛法)을 옹호하는 신중들을 그린 신중도로서, 함풍 11년(1861, 철종 11)의 명문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이...연계항목안양암함풍11년명신중도(安養庵咸豊十一年銘神衆圖)
- 화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건했으며, 1401년(태종 1) 지장암을 동쪽으로 옮기고 미타암(彌陀庵)으로 이름을 바꿨다. 1623년(인조 1) 불에 타자 1625년 중건하였다. 1628년에는 광명(廣明)이 지장보살상을 조성했으며, 안양암(安養庵)을 창건하였다. 그러나 1635년 산불이 일...
- 임호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옥류동(玉流洞)」‧「금성도중(金城途中)」‧「삼암(三巖)」 등 18수, 칠언절구는 「제화(題畫)」‧「발천감역(發泉甘驛)」‧「백천교(百川橋)」‧「어벽동적소(於碧潼謫所)」 등 25수, 오언율시는 「의의암(欹欹庵)」‧「안양암(安養庵)」‧「비로봉(毗盧峰)」 등 3수. ...
고서·고문서(34)
- 白華庵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위 두렷이 셧네 젼면으로 색인 부쳐 속객을 보고 양수공지 셧는 모양 청수하도다 [ (2.) ] 安養庵과 鳴淵澤을 차려로 보니 盤石 우에 흐르는 물 到處 瀑布세 華麗하다 지은 殿閣 고흔 丹靑은 西山大師 勤苦한 功 分明하도다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백화암가(白華庵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彿岩)의 놉흔 바위 두렷시 섯네 전면(前面)으로 색인 부처 속객(俗客)을 보고 양수공지(兩手拱之) 섯난 모양(貌樣) 쳥수(淸秀)하도다 [ 二, ] 안양암(安養庵)과 명연담(鳴淵潭)을 차레로 보니 반석(盤石) 우에 흐르난 물 도처(到處) 폭포(瀑布)세 화려(華麗)하게 지...구분창가 | 편저자정경운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551 B039551 달산 達山 산악 黃海道邑誌 海州志上 海州 寺刹 ... 寺所屬庵增 道成庵安養庵北庵繼祖庵南庵 亦神光寺所屬庵補 普賢寺在佛足山 舊 棲眞寺在首陽山 舊 金剛寺在池城山 舊 今稱隱寂寺慈悲寺在牛耳山 舊 今淨覺寺命石寺在牛耳山 舊 本名興當寺 舊 址在古邑北中臺寺在...출처전거黃海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朝鮮地誌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出寶城 華班石은 出海南 竹은 出羅州咸平寶城同福海南珍島長興康津 楮ᄂᆞᆫ 出咸平寶城樂安同福 苧ᄂᆞᆫ 出咸平寶城海南 紫檀香은 出珍島 麝香은 出興陽 地黃은 出光州 大棗ᄂᆞᆫ 出光州 胡桃ᄂᆞᆫ 出光州 石榴ᄂᆞᆫ 出和順咸平珍島寶城 柚子ᄂᆞᆫ 出樂安靈巖興陽寶城海南康津長興珍島 柿...서명朝鮮地誌 | 자료명土産
- 普通學校朝鮮語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特히 우리를 感動시켯습니다. 절 구경을 다하고 나니 꼭 열두時가 되엿슴으로 우리는 暎月樓에서 점심을 먹엇습니다. 그리고 住持에게 깊이 謝禮한 後山을 나려가랴한즉 住持는 挽留하며 아즉도 이外에 內院庵·香積庵·碧松坮·白蓮庵·安養庵들의 景致조은 곳이 만타는 말을 하고 [인도...서명普通學校朝鮮語讀本 | 자료명第一課 釋王寺行
신문·잡지(1)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9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p.1. 서울 종로 안양암 수장고 無 1. 소장본: 卷22-24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서울특별시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13), p.185.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92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1)
-
안양암 / 安養庵 [종교·철학/불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대한불교원효종의 총본산인 절. 1926년 이태준이 칠성각을 짓고 창건한 뒤 차례로 당우들을 지어 사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건물로는 대웅전, 관음전, 명부전, 금륜전과 손바닥 크기의 1,500불상이 모셔진 천오백불전, 영각, 산신각, 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