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74)
사전(308)
- 안수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역(日譯)되어 각각 중국과 일본에 소개되었다. 新韓國文學全集 18(語文閣, 1975) 現代作家論(金永和, 文章社, 1983) 안수길(1911-1977) 1911∼1977. 소설가...이칭별칭 남석(南石)
- 안수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34(세종 16).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순흥(順興). 아버지는 세종 비 소헌왕후 (昭憲王后)의 외조부인 천보(天保)이다. 왕후가 처음에 외조부의 집에서 양육되었기 때문에, 외숙부인 그는 왕후로부터 깊은 총애를 받았다...이칭별칭 소간(昭簡)
- 미안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세안 후에 얼굴과 목‧손‧팔 등에 발라서 살갗을 희고 부드럽게 하는 동시에 화장을 잘 받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액체 상태의 화장품. [내용] 우리 나라 사람들이 언제부터 미안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는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삼국시대 초기...
- 안수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안경서 휘하의 명장. 용력이 뛰어나고, 청룡도를 잘쓴다. 청구 전투에서 꾀로써 장사진을 쳐 곽자의의 휘하 장수인 희운과 효함을 유인하여대승한다. 이광필이 천자에게 주청(奏請)하여 그를 회유(懷柔)시키려 했으나 도리어 막바로 천자를 찌르려 달려들어, 자의가 천자를 보호해...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설안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설풍교와 위씨의 넷째아들이다. 재주와 풍채가 빼어나며, 미모를 갖춘김씨부인과 혼인한다. 과거에 응시해 급제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4)
- 문명의 충격과 근대 동아시아의 전환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송성유(북경대학역사게 교수), 송규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안대옥(고려대학...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2.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燕行과 江華島條約 (4)만주국의 국가 성격과 안수길의 북향정신 (5)동아시아적 맥락에서 본 '만주국' 조선인 문학 (6)낭만: 한국 근대문학사의 은폐된 주체
- 만주, 경계에서 읽는 한국문학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재용, 박수연, 서영인, 서재길, 손유경, 전월매, 한홍화, 이해영, 최일, 최학송, ... | 출판사 : 소명 | 출판일 : 2014.05.23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안에서 본 만주와 만주국 만주국 “선(鮮)계” 문학 건설과 안수길 염상섭과 재만조선인문학 사회주의자 강경애의 만주 인식 만주 조선인 문인의 국민성 한계 현경준 소
- 재중조선인 디아스포라문학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호웅...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9.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상화 제3절 재만조선인 소설문학의 기수-안수길과 그의 소설 제4절 륙도하기슭의 선바위-김창걸과 그의 소설 제5장 1932~1945년의 문학 3-동북과 관내의 문학 제1절 동북항일유격구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사서사: '萬寶山事件'의 문학화를 중심으로 (4)만주국의 실체 고발하기와 사회주의자들의 반만항일투쟁 형상화: 강경애의 간도 체험 작품을 중심으로 (5)일제강점기 간도 이주와 그 형상화의 두 양상: 안수길의《북간도》와 리근전의《
논문(11)
-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 안수길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임몽(中國海洋大學) | 게재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1권, 게재일 : 2013.08유형논문
- 최서해와 안수길의 “만주”인식의 차이-최서해의 『홍염』과 안수길의 『새벽』을 중심으로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郭文昕 | 게재정보 : 東方學術論壇유형논문
- 만주국의 국가 성격과 안수길의 북향정신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 게재정보 : 국어국문학유형논문
- 僞滿洲國 조선계 작가 안수길과 ‘민족협화’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 게재정보 : 국어국문학 172권, 게재일 : 2015.09유형논문
- 안수길의 토성과 고정(古丁)의 막리(莫里)에 나타난 아편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장춘매 | 게재정보 : 한중인문학연구유형논문
고서·고문서(1,164)
- 晏殊【元獻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宋名臣言行錄 前集 卷六 晏殊【元獻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晏殊【元獻公】 字同叔撫州人以神童召試相仁宗 公父本撫州手力節級公幼能文楊大年以聞時年十二真宗面試詩賦疑其宿搆明日再試文采愈美上大奇之即除祕書省正字令於龍圖閣讀書 公爲童子時張文節薦之於朝召至闕下適值御試進士便令公就...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笏谷行,呈遂安守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990 笏谷行,呈遂安守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門9_顔讐由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顔讐由 《孟子》曰: “孔子主於顔讐由.” 《史記》作“顔濁鄒”, 《集註》云“衛之賢大夫也”, 《淮南子》曰“顔啄聚, 梁父之大盜也, 爲齊忠臣”. 按, 《左傳》哀公二十三年: “晉 智伯親擒顔庾.” 《註》云: “齊大夫涿聚.” 二十七年: “齊師將興, 召顔涿聚之子.” 此則涿聚所以爲齊忠...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66년 임안수(林安洙) 혼서(婚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66년3월 26일에 나주임씨 임안수가 해남윤씨 윤응호에게 장손인 임갑묵의 배필로 딸을 허락해줘 감사드린다며 보낸 편지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1822년 안수택(安壽宅)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22년(순조22)3월 9일에 안수택이 하백원에게 보낸 서간이다. 형 안수록과 조카 안명집은 향시에 참여하여 합격했으나 나 같이 노둔한 사람은 어떻게 그렇게 되길 바라겠느냐고 한탄했다. 그리고 심부름꾼을 보내니 흑시목을 보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구술자료(8)
- 전라북도 완주군_입말형 논매기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213 전북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북도 완주군_입말형 논매기소리 입말형 논매기소리 계곡리 논매기소리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원계곡 재실 2015.7.28 素2015-7-28(전북 보충녹음 CD) 안수현 안수현(192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에헤야 류녹음지역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원계곡 재실 | 녹음날짜2015.7.28
- 경상남도 합천군_산유해 곡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6_397 경남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_산유해 곡 산유해 곡 어산영 곡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택리, 대동리 1986.6.9 素86-6-9①B 안수정 안수정(1915년 택리 출생.남.19세에 택리에서 농요 부른 경험 있다.일본 가서 1년 거주. 택리에서 가녹음지역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택리, 대동리 | 녹음날짜1986.6.9 | 가창방식독창
- 경상남도 합천군_1~5. 칭칭이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면 두곡리 5. 초계면 택리,대동리) 1. 1986.6.12. 4. 1986.6.9. 5. 1986.6.9. 1. 素 86-6-12①A 4. 素 86-6-9② 5.素 86-6-9 1.김준석 2.김길수 3. 진조희 4.안직상 5. 안수정녹음지역경상남도 합천군 (1.초계면 택리, 율곡면 율진리 못골마을 2. 대병면 3. 율곡면 두사리, 적중면 누하리 4. 청덕면 두곡리 5. 초계면 택리,대동리) | 녹음날짜1. 1986.6.12. 4. 1986.6.9. 5. 1986.6.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보형 안수임 1936 여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수임
- 충청남도 천안시_1.올러가세 2.만물소리 3.얼카덩어리 넘어가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얼른, 매고, 장구배미로나, 올러를 가세 2.저건너- 안수작, 묵밭슨, 작년에도 묵고사,올히두 묵네헤 3.크신 뎅이루 넨겨를 주고 1. {도(레)미솔(라)} + {미라(도)} 2. 도(레)미솔라 3. 도(레)미솔라(도‘) 1,2 : t3g. 3 : t1.녹음지역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신덕리 | 녹음날짜1989.8.25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24)
- 불가능한 명랑, 그 슬픔의 기원 -1960년대 안수길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유경, 게재일 : 201353799 임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불가능한 명랑, 그 슬픔의 기원 -1960년대 안수길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만주(滿洲)의 문학사적 표상과 안수길의 『북간도』에 나타난 ‘이산(移散)’의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수영, 게재일 : 200308394 한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상허학회 2003 만주(滿洲)의 문학사적 표상과 안수길의 『북간도』에 나타난 ‘이산(移散)’의 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일제 강점기 만주의 농업 기술을 통해 본 민족 문제 시론(試論)-안수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주현, 게재일 : 201146922 김주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회 2011 일제 강점기 만주의 농업 기술을 통해 본 민족 문제 시론(試論)-안수길의 작품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법 앞에서' 물어진 것: 조선인 공동체의 모색과 농민 연대의 이상 - 안수길의 〈장〉, 김남천의 〈장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6735 한국연구재단 한국방송통신대 통합인문학연구소 2015 법 앞에서' 물어진 것: 조선인 공동체의 모색과 농민 연대의 이상 - 안수길의 〈장〉, 김남천의 〈장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유형논문 | 게재일2015
- An Electropalatographic Study of English 1,r and the Korean Liquid Sound 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수웅, 게재일 : 200109182 안수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성과학회 2001 An Electropalatographic Study of English 1,r and the Korean Liquid Sound ㄹ https://ww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68)
- 安守扶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안셩군 립소학교에셔 졍이 군졸야 이 엄동에 시유탄비를 지치 못야 폐학 지경이더니 군슈 리죵두씨가 나무 오십와 셕유 두상를 연조야 학교가 부지게 되얏다더라게재일1903년 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林殷洙(林殷洙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林殷洙(林殷洙商店) 서울 林殷洙 林殷洙商店 南米倉町市天 8호 식료품 - 해산물 도매 175.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林殷洙(林殷洙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해산물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林殷洙(林殷洙)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林殷洙(林殷洙) 서울 林殷洙 林殷洙 南米倉町 28 기타 - 연초(煙草) 소매 17.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林殷洙(林殷洙)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연초(煙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安壽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安壽奉(-) 원산 安壽奉 - 榮町 - - 양복상 조제 10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安壽奉(-)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양복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安壽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安壽天(-) 원산 安壽天 - 榮町 - - 고물,남루상(襤褸商) - 10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安壽天(-)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고물,남루상(襤褸商)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기타자료(87)
- 안수학;安洙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안수학;安洙學 경상남도 함안 소화12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수홍;安守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200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31면 안수홍;安守洪 경산군 경산면 삼남동 89 제6회 192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수홍;安守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51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34면 안수홍;安守洪 경상북도 경산군 경산면 삼남동 89;경북 경산군 慶山酒造주식회사 新令 제6회 192...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수남;安秀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028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53-1면 안수남;安秀男 제12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수원;安守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23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41면 안수원;安守遠 경남 김해군 하계면 의전리 본과 제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0)
-
안수 / 按手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 및 유대교의 의례. 구약성서에 의하면 제사의식 중 번제와 속죄제에서 제사를 드리는 자들은 희생제물을 살해하기 이전에 그 제물들에 손을 얹도록 되어 있었다. 안수는 또한 축복을 하기 위해서도 쓰였다. 오늘날에도 안수는 축복의 원초적인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
-
신의명 / 申義命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유학자·문신. 부친 신양세와 모친 김직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84년(숙종 10) 문과에 급제, 가주서·전적·예조좌랑·직강·강령현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김간·이동표·권두경 등의 문인들과는 도의로써 교유
-
알목하 / 斡木河 [지리/인문지리]
야인(野人)이 습격하여 추장 부자를 죽이자 그들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세종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다음 해에 석막(石幕)에 있던 영북진(寧北鎭)을 백안수소(伯顔愁所)에 옮겨 성을 쌓았다. 백안수소가 알목하와 거리가 있으므로 뒤에 알목하에 따로 진을 설치하여, 풍산(豊山)
-
구암문집 / 懼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입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78년 6대손인 근수(根洙)·안수(安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현우(柳賢佑)의 서문과 권말에 안수·정동락(鄭東洛)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
-
독노회 / 獨老會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의 조직. 1907년 평양장로회 신학교 제1회 졸업생 7명이 목사안수를 받으면서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선교사 33명, 찬성회원 9명이 참여하여 독노회를 구성하였다. 이 독노회에서 최초의 한국인 장로교 목사가 7명 탄생하였다. 독노회는 한국장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