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안방준” 에 대한 검색결과 2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

사전(6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3(선조 6)∼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峰)‧우산(牛山)‧빙호(氷壺).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중관(重寬)이며, 처는 경주 정씨로서 판관 승복(承復)의 딸...
    이칭별칭 사언(士彦)| 은봉(隱峰), 우산(牛山)| 문강(文康)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318 인물 () 1573 165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峰)‧우산(牛山)‧빙호(氷壺). 박광전(朴光前)‧박종정(朴宗挺)‧성혼(成渾...
    유형분류인물
  • 양위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렀으나, 권문(權門)에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여 과업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과 더불어 강론하며 세월을 보냈다.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격문을 돌려 100여명을 모아 의병을 조직하고 여산(礪山)까지 나아갔으나 적병이 물러갔다는 소식을 듣고 북향재배한 뒤...
    이칭별칭경섭(景涉)
  • 혼정편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인조 때 공조참의이자 우국지사인 ()이 지은 동서당쟁의 기사를 적은 책. [내용] 필사본. 18권 10책. 이 책은 동서붕당에 대한 시말과 당시의 대유신(大儒臣) 이이(李珥)와 저자의 스승이었던 기호파(畿湖派)의 거두 성...
  • 박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副校尉) 유겸(惟謙)의 딸이다. 일찍이 양친을 잃고 실심한 나머지 학문에 뜻을 두지 아니했다가 30세가 되어 배움이 없음을 부끄럽게 여기고 맏형 춘수(春秀)로부터 처음으로 수학하였고, 36세 때 은봉(隱峯)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자호...
    이칭별칭 언승(彦承)| 동계(東溪)

고서·고문서(143)

  •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이 손자 안태일에게 훈계한 편지이다. 요사이 무슨 책을 읽고 있는지를 물었으며,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부지런히 공부하라고 훈계한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온양면(溫陽面) 1765년 온양면(溫陽面) 第二新庚里 4 第四統統首 第一戶 幼學年伍拾柒己丑本順興父忠義衛自謙祖學生汝晋曾祖學生成敏外祖學生朴智達本密陽妻 閔氏年肆拾捌戊戌本醴泉父通政月贊祖通政玉得曾祖通政道碩外祖忠順衛金時九本慶州率女召史年拾伍...
    연도_면이름1765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二新庚里
  • 7 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1년_온양면(溫陽面) 1771년 온양면(溫陽面) 新庚里 7 七統統首 第七統一戶 幼學年陸拾參己丑本順興父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自謙祖學生汝晋曾祖學生成敏外祖學生朴 智建本密陽妻閔氏年伍拾肆戊戌籍醴泉父幼學明-祖學生玉得曾祖學生道碩外祖學生金時九本慶州買...
    연도_면이름1771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新庚里
  • 1636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36년(인조14)10월 5일에 이 조생원에게 보낸 편지이다. 사는 곳이 멀지도 않은데 만볼 기회가 없으니 한탄스럽고, 유자 약간을 정으로 보낸다고 말한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39년 ()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39년(인조17)4월 18일에 이조에서 을 승의랑(承議郞) 행(行)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전생서는 나라의 제사에 쓸 짐승을 기르는 일을 맡아본 관청이며, 주부는 종6품의 관직이다. 승의랑은 정6품의 품계이다. 이는 조선...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573(선조 6)∼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중관, 처는 정승복의 딸이다. 중돈에게 입양되었다. 박광전·박종정에게서 수학, 1591년(선조 24) 파산에 가서 성혼의 문인이 되었다. 지평,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편저로 ≪항의신편≫·≪이대

  • 은봉야사별록 / 隱峯野史別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잡사류(雜史類) () 저, 목판본, 1663년(현종 4), 불분권 1책(24장). 판심제는 야사별록(野史別錄), 간기는 계묘(癸卯, 1663) 흥양현향교개간(興陽縣鄕校開刊)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기록한 책이다. 책 일부가 훼손되어 있

  • 노랄수사 / 老辣隨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귀가 인조반정 전반에 걸친내용을 수록한 문집. 1651년(효종 2) ()이 편집하였다. 권수에 의 서문이 있다. 권1은 평거언행(平居言行)·반정시사(反正時事)·치역논변(治逆論辨), 권2는 추숭논변(追崇論辨)·편당논변(偏黨論辨),

  • 대계서원 / 大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던 조선시대 서원.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훼철과 복설이 거듭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사우에 대한

  • 도원서원 / 道源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서원. 1670년(현종 11)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산두(崔山斗)·정구(鄭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76년(현종 5)에 임억령(林億齡)을 추가배양하였으며, 1687년(숙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