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문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안문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38(충숙왕 복위 7).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21년(충숙왕 8)에 좌대언(左代言)이 되었다. 왕이 심양왕 고(瀋陽王暠)의 일로 원나라에 불리어 가 4년동안 억류되어 있었을 때 함께 있으면서 왕을 위한 경비를...이칭별칭 국평(國平)| 질재(質齋)| 문의(文懿)
- 安文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716 安文凱 인물 代言, 忘身, 奮義, 輔佐, 東還, 保節盡忠功臣, 贊成事 興寧縣, 元 質齋, 忠肅王, 瀋王暠, 文懿 D_10_04_16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193 B038193 다구 茶丘 인물 東史綱目第十一下 辛未十二年 春正月 _ ... 珍島隊正宋思鈞⁄告變命將軍崔文本鞫之俄而祇侯辛宣佐見閭巷七八人偶語奔告于王⁄曰事急矣時日暮宰樞及承宣重房內侍茶房相顧失色計無所出王使人⁄請救於脫朶兒卽與洪茶丘等會宰樞捕崇謙等十餘人按問皆服茶丘欲⁄使崇謙...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計無所出王遣知樞密院事李玄原上將軍鄭子璵請救於脫朶兒脫朶兒與洪茶丘等會宰樞捕崇謙等十餘人按問皆服출처전거『高麗史』 27卷, 世家27 元宗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告變命將軍崔文本鞫之俄而祇侯辛宣佐見閭巷七八人偶語奔告于王⁄曰事急矣時日暮宰樞及承宣重房內侍茶房相顧失色計無所出王使人⁄請救於脫朶兒卽與洪茶丘等會宰樞捕崇謙等十餘人按問皆服茶丘欲⁄使崇謙等辭連本國因起兵襲取京城密引脫朶兒議之蒙古法凡議事意⁄合則脫冠以示茶丘等皆脫冠脫朶兒不脫爲之明辨故免於是崇謙等四...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侍茶房相顧失色計無所出王使人⁄請救於脫朶兒卽與洪茶丘等會宰樞捕崇謙等十餘人按問皆服茶丘欲⁄使崇謙等辭連本國因起兵襲取京城密引脫朶兒議之蒙古法凡議事意⁄合則脫冠以示茶丘等皆脫冠脫朶兒不脫爲之明辨故免於是崇謙等四⁄人棄市餘悉釋之拜思鈞攝郞將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안문개 / 安文凱 [종교·철학/유학]
?∼1338(충숙왕 복위 7). 고려 후기의 문신. 1321년(충숙왕 8)에 좌대언이 되었다. 왕을 따라 귀국한 뒤에 첨의참리가 되었고, 1327년(충숙왕 14)에는 왕이 원나라에 있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1등공신이 되었으며 순흥부원군의 호를 받았다.1338년 찬
-
안진석 / 安晉石 [종교·철학/유학]
1644(인조 22) - 1725(영조 1). 안문개의 후손, 아버지는 도징, 어머니는 진주유씨이다. 우복 정경세에게 수학하고 퇴계를 사숙하여 학문으로 명성이 있었다. 저자는 학문에 뜻을 두고 전념하였다. 1725년(영조1) 1월 16일 천수를 다하고 정침에서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