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안란창”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南道)에 12개소의 조창이 있어 세곡을 운송, 보관하고 있었는데, 문종 때에 이르러 지배체제가 완성되면서 서해도방면에도 조창제가 확대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에 수집하였다가,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하도록 하였다. 그 수경가(輸京價)는 8석당 1석이었다. 에 보...
  • TD_E3_D_0062 水郡 법률 十二倉, , 判官, 州郡, 租稅, 漕運 麗初 南道, 西海道 漕運志 D_15_03_16 대동운부군옥 15권 3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3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초마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의 부용창(芙蓉倉), 영암의 장흥창(長興倉), 순천의 해룡창(海龍倉), 사천의 통양창(通陽倉), 창원의 석두창(石頭倉) 등 10개 조창(漕倉)과 내륙에 충주의 덕흥창(德興倉), 원주의 흥원창(興元倉) 등 2개 조창과 황해도 장연현에 ()을 두어 수로를 이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城倉)이, 제안포(濟安浦)에 안흥창(安興倉)이, 편섭포(便涉浦)에 하양창(河陽倉)이, 여수포(麗水浦)에 덕흥창(德興倉)이, 은섬포(銀蟾浦)에 흥원창(興元昌)이, 해위포(海葦浦)에 ()이 설치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연 해위포)을 두었다. 이는 [표 1]와 같다. [표 1] 高麗時代의 十三漕倉 조창명 옛지명 위 치 通陽...

고서·고문서(1)

  • 34248 B034248 남해포 南海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404]長淵縣海葦浦前號葦浦以附近州郡租稅輸入漕至京師置判官○右二處今長淵○平原郡銀蟾浦前號蟾口浦○今原州○承化郡速通浦前號所津浦○今全州○通義郡南海浦前號木浦○今羅州○昇平郡風調浦前號馬西良...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경제·산업/경제]

    도 조창제가 확대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에 수집하였다. 에 보관된 세곡은 때로는 군량미나 진휼미로도 전용되었다.

  • 조창 / 漕倉 [경제·산업/경제]

    , 개경 이남에 덕흥창 등의 12창을, 개경 이북에 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