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동차전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안동차전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래 1969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안동차전놀이보전회가 그 보존과 계승에 힘쓰고 있으며, 기능보유자로 이재춘(李載春 : 차전지도)이 있다.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慶北篇-(文化財管理局, 1974) 한국의 민속(임동권, 세종대왕기...이칭별칭동채싸움 | 연계항목안동차전놀이(安東車戰놀이)
- 안동차전놀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전승되는 편싸움 형식의 대동놀이.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전승되는 편싸움 형식의 대동놀이.[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문광부표기Andong Chajeon Nori | MR표기Andong Ch’ajŏn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춘천차전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 없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된 안동차전놀이(그곳 주민은 ‘동채싸움’이라고 함.)는 춘천의 통성놀이인 ‘초안(初顔)놀이’나 ‘외바퀴수레싸움놀이’가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오는 가운데 안동지방으로 전파된 것이 아닌가 한다. 안동차전놀이의 유...
- 차전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이는 민속경기이다. 東國歲時記 安東車戰놀이 指定報告書(任東權, 文化財管理局, 1969) 외바퀴수레[獨輪車]싸움 硏究(金善豊, 韓國民俗學 19, 民俗學會, 1986) 차전놀이 / 외바...
- 한국민속예술축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9회 1968.10.18∼20 대전(공설운동장) 안동차전놀이 경북 제10회 1969.10....이칭별칭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주제어사전(1)
-
안동차전놀이 / 安東車戰─ [생활/민속]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 ‘동채싸움’이라고도 한다. 정월대보름날 마을 청장년들이 패를 갈라 동채(차전놀이할 때 쓰는 물건)를 서로 부딪쳐 승부를 겨루는 집단놀이이다. 안동은 영남의 큰 고을로 행정·문화·교통의 요지이며 명문대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