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안동시” 에 대한 검색결과 3,0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15)

사전(403)

  • (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21.09㎢이고, 인구는 16만 7,300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3개 면, 10개 동, 275개 리가 있다. 시청은 경상북도 명륜동에 있다. [자연환경] 지형은 일종의 화강암 개석분지를 이루고 있으며,시의 남서는...
    이칭별칭복주|영가
  • 길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년 안동군과 가 통합되어 이 시에 속하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지지(大東地志)』
    이칭별칭길안부곡(吉安部曲)
  • 예안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상북도 예안군(지금의 예안면) 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5년(고종 32) 예안현에서 편찬된 『예안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고, 1846년...
  • 미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과 사곡면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의성군의 일부와 를 북서류하여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내용] 황학산(黃鶴山) 동쪽을 지나는 계류와 서쪽을 지나는 계류가 북쪽으로 흘러 만나 계속 북류하다 점곡면에
  • 안동사월동초가토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성곡동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4호. 이 집은 원래 권영락(權寧洛)의 주택으로 월곡면 사월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수몰로 인하여 안동댐 민속경...
    연계항목안동사월동초가토담집(安東沙月洞草家토담집)

고서·고문서(2,512)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성 남자 경상남도 창녕군 요녕성(辽宁省) 단동시(丹东市) 조선족 중학교 6 4 , 봉황성, 뚱탕,
    대표표제어안동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황 남자 경상북도 길림성(吉林省) 해룡현(海龙县) 일좌영중학 3 3 , 금곡동, 130번지,
    대표표제어안동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우리 김 남자 경상북도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석현진 용성촌 3 3 우리, 방문, 경상북도,
    대표표제어우리 | 성씨
  • 1730년 김찬(金巑)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30년(영조6) 김찬이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 계약서이다. 사는 사람은 문서의 아랫부분이 떨어져 나가 알 수 없다. 김찬은 예안면 오천리에 살았던 광산김씨가 인물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913년 안동군 서후면(西後面) 자품동(者品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者品洞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者品里와 昌豊洞에 耳開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서후면에 속하게 되었다. 그리고 1995년 ‧군이 통폐합되면서 에 속하게 되었다. 자품동은 서후면의 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者品(재품), 天柱(느릇), 昌豊(월래),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구술자료(28)

  • 안동 차전놀이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명한 녹음자료이다. 2) 음질 중. 안동 차전놀이 동채싸움 연희음악 1983-10-20 경상북도 남원동 김명환의 집 30:01 10:25 A면 김명환 대담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 1999-11-28 경상북도 임하면 금소리, 경상북도 도산면 토계리, 경상북도 풍천면 갈전리 30:51 32:01 A면 1) 배금령의 기억으로 놋다리밟기, 실감기(가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배금령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 1999-11-28 경상북도 임하면 금소리, 경상북도 도산면 토계리, 경상북도 풍천면 갈전리 30:51 32:01 A면 1) 배금령의 기억으로 놋다리밟기, 실감기(가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대준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 1999-11-28 경상북도 임하면 금소리, 경상북도 도산면 토계리, 경상북도 풍천면 갈전리 30:51 32:01 A면 1) 배금령의 기억으로 놋다리밟기, 실감기(가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희성
  • , 옥천군, 영동군, 칠곡군, 군위군, 의성군, 와 문경군에 분포한다.
    녹음지역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동정리, 차정리 | 녹음날짜1987.4.2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신문·잡지(14)

  • 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사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사신보 사신보(事新報) 미기재 미기재 안동(安東) 조선_1929년 12월 18일 차압 미기재 일본어 산리반조, 야마나시 한조 산리(山梨) 대...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안동시사신보 | 출판물명안동시사신보(安東時事新報)
  • 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사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사신보 사신보(事新報) 미기재 미기재 안동(安東) 조선_1929년 12월 20일 차압 미기재 일본어 사신보 세상(世上) 냉담(冷淡) 제강...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6호 안동시사신보 | 출판물명안동시사신보(安東時事新報)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9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0x16.5 K46, p.1.; H5, p.1. 경북 朴東燮 無 韓國典籍綜合調査目錄 第5輯 :.郡(文化財管理局. 1991), p.86
    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90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서울시 을지로 2가 199 [런던 15일발 AP 합동] 소련 당국은 소련 비행기가 조만 국경 를 폭격하였다는 영국 신문 보도는 철두철미 소련 중상에 불과한 허위보도라고 이 사실을 부정하였다. □ 「로이타」 통신은 주□부 「타임스」 특파원 보도라...
    대표표제어제3특보_1946_1116_01 | 책임주필이윤종
  • 한 긍정적 결정을 채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억류되었던 1명의 호주 사민은 고국으로 송환되기 위하여 5월 26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쏘련 대표에게 인도되였다. 1953년 5월 26일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3_0528_01_01 | 책임주필천률

기타자료(58)

  • 교육청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중개정조례공포통지(조례120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청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중개정조례공포통지(조례1209호) 교육청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중개정조례공포통지(조례1209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안동시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개정공포(830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개정공포(830호)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개정공포(830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안동시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 교육청학교환경정화위원회설치조례번호부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청학교환경정화위원회설치조례번호부여 교육청학교환경정화위원회설치조례번호부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안동군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본
  •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767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767호) (군)교육청지방공무원복무조례(767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안동시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 교육청공적심사위원회규정제정공포(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청공적심사위원회규정제정공포(9호) 교육청공적심사위원회규정제정공포(9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안동시교육청 | 사료철명예규(일반)

주제어사전(76)

  • / [지리/인문지리]

    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3개 면, 10개 행정동(42개 법정동), 274개 행정리(175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경상북도 명륜동에 있다.

  • 미천 / 眉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과 사곡면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의성군의 일부와 를 북서류하여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황학산(黃鶴山) 동쪽을 지나는 계류와 서쪽을 지나는 계류가 북쪽으로 흘러 만나 계속 북류하다 점곡면에 이르러 여러 계류를 합하고 유로를 서쪽으로 바꾼다.

  • 반변천 / 半邊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일월산(日月山)에서 발원하여 입암면의 화매천(花梅川)과 합류하여 청송군·를 지나 낙동강 상류로 흘러드는 하천. 반변천은 일월산에서 발원하여 청송군 파천면 어천리에서 용전천과 합류하여 임하댐을 이루고, 길안면 신덕리에서 길안천과 합류

  • 안동만휴정원림 / 安東晩休亭園林 [지리/자연지리]

    경북 길안면 묵계리에 위치한 명승. 만휴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계행(金係行)이 노년에 고향인 안동 풍산을 떠나 독서와 사색을 즐기기 위해 지은 별서로서, 폭포, 계류, 산림경관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명승이다. 김계행은 연산군으로 인하여 정사가 어지럽게 되자

  • 길안 / 吉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충혜왕 때 현으로 승격되고 안동부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따랐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안동군에 포함되어 길안면이 되었다. 1995년 안동군과 가 통합되어 이 시에 속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