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동놋다리밟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안동놋다리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내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음력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여지며, 동교(銅橋)‧기와밟기‧인다리[人橋]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은 군...연계항목안동놋다리밟기(安東놋다리밟기)
- 한국민속예술축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북 32종 하회별신굿놀이 신방가정 쾌지나칭칭나네 안동차전놀이 한장군놀이 영양모내기 상주모내기 성덕왕신종 안동논매기 김천농악 의성가마싸움 안동놋다리밟기 서당놀이 안동저전동달개놀이 영덕탈굿 청도농요 예천통명농요 청도...이칭별칭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구술자료(3)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놋다리밟기에 대한 1999년 대담조사자료로 의미가 있다. 2) B면의 대담자 이대준은 내방가사 수집가로 아낙네들의 가사를 모아 놋다리밟기 꽃게싸움 월월이청청 가사 초한가 십장가 오호소리 달구소리 시조;연희음악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대준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놋다리밟기에 대한 1999년 대담조사자료로 의미가 있다. 2) B면의 대담자 이대준은 내방가사 수집가로 아낙네들의 가사를 모아 놋다리밟기 꽃게싸움 월월이청청 가사 초한가 십장가 오호소리 달구소리 시조;연희음악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배금령
- 안동 임하면, 도산면, 풍천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안동놋다리밟기에 대한 1999년 대담조사자료로 의미가 있다. 2) B면의 대담자 이대준은 내방가사 수집가로 아낙네들의 가사를 모아 놋다리밟기 꽃게싸움 월월이청청 가사 초한가 십장가 오호소리 달구소리 시조;연희음악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희성
주제어사전(1)
-
안동놋다리밟기 / 安東─ [생활/민속]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음력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여지며, 동교(銅橋)·기와밟기·인다리[人橋]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은 군위군, 동쪽은 영덕에 이르고 있어서 주로 내륙지방에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