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안달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고서·고문서(3)
- 壽進宮(1808)_황해도 재령군 導掌 崔明岳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76634 18385_0758 奎18385 壽進宮(1808) 황해도 재령군 導掌 崔明岳 私亭筒 황해도 재령군 私亭筒 20 20결 안달삼(安達三) 안달삼(安達三)자료번호18385_0758 [奎18385]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壽進宮(1808)_황해도 재령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74182 18384_0805 奎18384 壽進宮(1808) 황해도 재령군 東窟浦村後坪 황해도 재령군 東窟浦村後坪 20 20결 안달삼(安達三) 안달삼(安達三)자료번호18384_0805 [奎1838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을해년(1875) 정월 28일에 면암 최익현이 아버지 최대에게 올린 추신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望以此意 議及于柳友則可有別般商量矣此 中安達三[出入奇參判宅]金壎[儒林事有功]金羲鼎[謹飭好學] 三人有志士也種種來見聽其言 論果是好善之人特以島俗悖戾箇 中自分等級是誠可咲耳飮禮者證因 實便下送伏望耳或者臨歸時有甚 麽意思而此則看勢爲迁就伏計耳 此兒又云下浦徒撓心曲亦覺支難略 達數字不備上白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안달삼 / 安達三 [종교·철학/유학]
1837년(헌종 3)∼미상. 조선 말기 유학자. 매계 이한진을 사사하였으며, 1883년(고종 20)에는 초시에 합격하였다. 당시 제주에 유배 온 면암 최익현과 교유하면서 도덕과 학문을 겸비한 선비로 칭찬을 받았다. 노사 기정진을 사사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장성으로 이사하